여의도역

최근 편집일시 :

/ Yeouido

여 의 도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여의나루
1.0 km →
중앙보훈병원 방면샛 강
0.8 km →
중앙보훈병원 방면
노량진
2.0 km →



다국어 표기
영어
Yeouido
한자
汝矣島
중국어
汝矣岛
일본어
ヨイド
주소
5호선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지하 40 (여의도동 3번지)
9호선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지하 101 (여의도동 2-6번지)
운영 기관
5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신안산선
9호선
파일:서울시메트로9호선주식회사_CI_가로형.png
개업일
5호선
1996년 8월 12일
9호선
2009년 7월 24일
신안산선
2024년
역사 구조
지하 4층 (5호선)
지하 2층 (9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5호선, 9호선)

1. 개요
2. 역 정보
2.1. 역명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버스
7. 기타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 역 정보[편집]


파일:여의도역(5호선) 안내도.jpg
역 안내도[1]

5호선은 한강 밑으로 깊이 들어가야 하다 보니 심도가 깊어야 했다. 처음 설계할 때는 지하 3층 역사였지만, 착공 전 이미 3기 지하철 계획에 9호선 계획이 잡혀있던 터라 지하 4층 역사로 설계를 변경하고, 지하 2층에 9호선을 위한 공간을 통째로 미리 지어 놓았다. 덕분에 환승동선이 나름 합리적으로 짜여지게 되었고, 대합실은 공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파일:여의도역4.gif
서울 지하철 9호선 여의도역 역사 구조도

5호선과 9호선 승강장 사이의 계단은 2개로, 9호선에서 5호선으로 환승할 때는 우선 한 층을 내려간 뒤에 환승 방향을 결정하고, 환승 방향에 따라 계단을 타고 내려가야 한다. 하지만 에스컬레이터는 아니다. 하기야 당시 5호선 시공사 분들이 미래를 예측할 수 없었겠지만 말이다. 철도 동호인 중에는 이 두 노선 사이의 텅 빈 공간을 경전철 노선과의 환승층으로 만들자는 의견을 가진 사람도 많다.[2]

현재까지도 환승통로에 에스컬레이터 하나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항상 출퇴근길에는 5호선에서 내린 승객들이 환승통로로 질주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9호선 여의도역은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묘앞역처럼 승강장에 화장실이 있는 역이다. 9호선 여의도역에 가서 급한 볼일은 승강장에서 해결할 수 있다. 승강장은 9호선 개화 방면에만 위치하여, 중앙보훈병원 방면은 승강장을 횡단해야 한다.

5호선의 여의도역에서 여의나루역으로 가는 터널에 영화광고 등을 하는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영상 시작부터 끝까지 지하철 지나가는 속도에 맞춰져 있어 심심하다면 구경하자.

5호선 방화 방향 한정으로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가 존재한다.[3][4] 9호선 역시 중앙보훈병원 방면 연장 개통 이후 샛강역의 지위를 이어받아 여의도발 중앙보훈병원행 일반열차 첫차와 중앙보훈병원발 여의도행 막차가 존재한다.

3기 지하철 계획 당시에는 10호선도 이 역에서 환승시키는 방안을 검토한 적이 있다. 다만 계획 당시에는 영등포시장역에서 환승할 계획도 잡혀 있었는데, 그렇게 되면 선형이 지나치게 휘어지기에 국회의사당역으로 변경한 것으로 추측된다.

역 내에 매점이 많은 편인데, 5호선의 편의점인 세븐일레븐이 있고 9호선 1단계가 유치한 CU는 어느 시점에서인가 GS25로 바뀌고 있는 중이다. 특히 이 역은 1단계역 중 그 리뉴얼하는 과정이 빠른 편에 속한다. 9호선 출구 앞에는 공차 커피숍이 있다.

장기적으로는 신안산선과 환승이 예정되어 있다. 신안산선 승강장 위치는 신안산선 운영회사 넥스트레인에 의하면[5] 5호선 하부로 보이는데[6], 5호선 하부에 지어질 경우 지상에서의 접근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서부선의 경우 선형으로 봤을 때 의사당대로가 아닌 국제금융로를 지날 가능성이 더 크기에 여기를 직접 통과하긴 어려울 수도 있다.

5호선에서 방화행 열차를 타고 이 역에서 물건을 두고 내렸다면 , 편성번호를 기억한 후에 9호선 급행을 타고 김포공항역으로 가면 5호선보다 빠르기 때문에 찾을 수 있다. 그러나 9호선 일반의 경우 5호선보다 느리기 때문에 이 방법을 쓸 수 없다.


2.1. 역명[편집]


옛날에 여의도 한강주변이 내린 비 때문에 물에 잠겨 있을 때 지금 국회의사당 자리에 양말산이 머리를 내밀고 있어 주변 사람들이 "나의 섬", "너의 섬" 하고 지칭하다가 지금 한자어로 여의도라 함.


3. 역 주변 정보[편집]


여의도국회의사당, 한국방송공사, 한국거래소, 여의도우체국 등 금융 및 방송 등 주요시설이 몰려 있어 한국의 맨해튼이라 불리는 곳으로 유명하다. 지상파 3사 중에 KBS는 1976년 여의도 사옥을 지은 후 지금까지 여의도에 쭉 머무르고 있지만[7] 나머지 두 곳은 여의도를 이미 떠났다. MBC는 1982년 이 곳에 본사 사옥을 지었다가 2014년 8월 4일에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로 본사를 옮겼고[8] SBS도 1990년 개국 이후부터 쭉 이곳에 본사가 있었다가[9] 2004년 3월 1일에 양천구 목동으로 본사를 옮겼다.

옛 비행장에서 시작해 아스팔트가 깔린 삭막한 광장으로 변했다가 1999년 도심 속 숲 공간으로 탈바꿈한 여의도공원도 이 역 주변의 볼거리다. 특히 점심시간대인 오후 12시~1시 30분쯤이 되면 커피 한잔을 들고 공원 산책로를 걷는 직장인들을 다수 만날 수 있다.

여의도역을 포함해 근처 샛강역 부근까지는 보조출연자(엑스트라)들의 성지로 불린다. 주요 업체들이 근처에 많이 모여있고 촬영집합과 해산장소로 여의도역이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보조출연자들은 이 곳을 매우 익숙히 여기며 자연스레 자주 방문하게 된다. 물론 촬영장소로도 활용하기도 하며, KBS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도 5번 출구에서 자주 촬영됐다.

여의도역이 있는 여의도 동부 지역은 여의도에서도 가장 번화한 곳 중 하나로 평소 유동인구가 엄청난 지역이다. 특히 출퇴근 시간에 인파로 매우 붐비는 5번 출구 주변은 여의도 포스트타워와 한국거래소 서울사무소를 비롯해 다수의 기업이 몰려있다. 특히 유독 증권 관련 기업과 기관이 많은 탓에[10] 이 지역을 "여의도 증권가"라고 말하기도 한다. 유동인구가 워낙 많은 지점이라서 5번 출구 앞 공간은 지상파 방송의 아침뉴스[11] 때 날씨를 전달하는 장소로 곧잘 등장한다. 각 방송사들의 본사가 한때 여의도에 몰려 있었고 다른 출구에 비해 출구 앞 인도가 넓은 편이며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 출구로 나오기 때문에[12] 출근길로 바쁘게 움직이는 이들을 화면에 담아내기가 가장 수월하기 때문이다. 특히 겨울 한파가 몰아칠 때면 어김없이 이 지점에서 패딩과 장갑 등으로 중무장한 기상캐스터들이 살벌한 추위를 화면 그대로 전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18년 무한도전에 출연했던 조세호일일 기상캐스터 체험을 했던 장소도 바로 이 곳이다.

여의도는 조선시대만 해도 모두가 기피했던 버려진 섬이었으나 일제강점기 이후 1916년 여의도에 여의도공항이라는 군용비행장이 들어서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군용비행장은 광복 후에도 여객용 공항으로 쓰이다가 지금의 김포국제공항 자리로 옮겨졌다.

그 후 1968년 김현옥 당시 서울특별시장은 서울 도심 지역의 주택문제를 해결하고자 여의도를 개발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국내 최초의 신도시 건설로 기록되고 있다. 그 후 여의도에는 아파트 및 각종 시설을 지을 수 있는 땅 매립과 함께 마포대교, 원효대교, 서강대교 등이 개통되면서 지금의 여의도로 성장하였다.

여의도 지역의 중심가에 위치해 있어 역명이 여의도역이며 여의도환승센터와도 거리가 다소 애매하지만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여의도에서 회차하는 주요 버스 노선이 여의도역과 여의도환승센터를 연계해주기 때문이다. 다만 한강공원은 여의나루역이나 국회의사당역이 훨씬 가깝다.[13]

여의대로 방면에 있는 서울국제금융센터 건물[14]파크원[15]으로 연결되는 지하통로가 있다. 꽤 긴 편이라서인지 무빙워크만 열댓개가 놓여있다.

나가는 곳 Exit 出口
파일:지하철 출구_1.png
광장아파트
사학연금회관
파일:지하철 출구_2.png
금융감독원
전경련회관
요트마리나 방면
파일:지하철 출구_3.png
국회의사당 방면
여의도공원
서울국제금융센터(IFC)
여의도환승센터
한국방송공사(KBS)
현대백화점
파크원타워
한국의료재단 건강검진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등포북부지사
파일:지하철 출구_4.png
중소기업진흥공단
현대백화점
파크원타워
여의나루역 방면
KMI 한국의학연구소
파일:지하철 출구_5.png
국민은행(여의도)
한국거래소
한국교직원공제회관(The-K타워)
한국방송공사(KBS) 별관
여의도우체국
한강시민공원 방면
파일:지하철 출구_6.png
미성아파트
여의도자이아파트
윤중초등학교
윤중중학교
여의도샛강생태공원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9_icon.svg
총합
환승객 수
비고
파일:Seoulmetro5_icon.svg파일:Seoulmetro9_icon.svg

[ 2000년~2009년 ]
2000년
59,857명
42,874명


비고
2001년
64,494명

2002년
65,546명

2003년
64,928명

2004년
57,421명

2005년
58,666명

2006년
57,973명

2007년
58,574명

2008년
56,827명

2009년
50,425명
15,721명
66,146명
23,140명


2010년
42,342명
19,753명
62,095명
31,136명

2011년
41,789명
22,367명
64,156명
34,954명

2012년
43,783명
27,073명
70,856명
39,970명

2013년
45,982명
31,404명
77,386명
42,416명

2014년
46,292명
33,113명
79,405명
44,090명

2015년
47,248명
34,891명
82,139명
45,429명

2016년
48,363명
36,760명
85,123명
46,390명

2017년
47,281명
37,488명
84,769명
46,944명

2018년
47,482명
38,094명
85,576명
47,401명

2019년
49,262명
42,874명
92,136명
48,917명

2020년
39,466명
34,165명
73,631명
37,957명

2021년
43,223명
39,214명
82,437명
39,414명



두 노선을 합치면 하루 평균 82,437명(2021년 기준)이 타고 내리는 역이다. 영등포구에서 영등포역[16], 당산역[17]과 함께 핵심으로 손꼽히는 3대 역으로서, 여의도의 업무지구에 수많은 기업들이 입주하면서 이들이 출퇴근용으로 요긴하게 사용하는 공간이다.

이 역의 승하차객 추이를 보면 5호선의 한계와 9호선의 가능성을 동시에 엿볼 수 있다. 5호선이 전부였던 2000년대 초반에도 약 65,000여 명이 타고 내리는 역이었다. 이 당시의 여의도역은 5호선을 비롯해 서울도시철도공사 전체에서 일시적으로 이용객이 늘어날때가 있는 광화문역 보다[18] 사람이 많이 타고 내리는 1위 역이었다.[19] 이미 헬게이트였던 것. 1996년 이전까지 여의도로 가는 지하철이 없었기 때문에 여의도로 가는 사람들은 주로 대방역에서 마을버스로 갈아탔는데[20], 5호선이 개통되고 이들의 수요를 흡수하면서 여의도역은 순식간에 5호선에서 한 손에 꼽히는 주요 역이 되었다. 5호선 여의도역은 영등포구 내 도시철도역 중[21]에서 승객이 가장 많은 셈.

그러나 2004년 환승할인이 도입되면서 2003년 65,000여 명에서 2004년 57,000여 명으로 1년 새 7,500명의 승객이 빠져나갔다. 왜냐하면 1호선과 5호선이 만나는 신길역이 상당한 막장환승이었기 때문에[22], 출퇴근시간마다 사람이 붐비는 환승통로를 한참 걷는데 지친 이용객들이 다시 대방역에서 마을버스 환승으로 돌아가거나, 아예 새로 생긴 여의도환승센터를 통해 버스로 곧장 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방역의 이용객은 이 시기 하루 이용객이 약 4천여 명이 증가했었다.

노선 개통 이전의 환승 동선으로 돌아가는 것은 모든 지하철의 역사를 통틀어도 전례가 없던 일이었다. 신길역 환승이 웬만큼만 했어도 고객이 버스로 이탈하는 일이 적었겠지만, 걸어서 5분은 걸리고 한참을 오르내리는 불편함이 고객 불만족을 극대화시켰기 때문에 차라리 5호선이 없던 시절로 되돌아가는 고객들이 상당수 생겼던 것이다.

이후로 약 5년 간 하루 이용객 5만 명대 후반에 머물던 여의도역은 2009년에 9호선이 개통되면서 전례 없는 대호황을 맞았다. 5호선의 이용객은 9호선 개통 이전보다 약 15,000여 명이 하락했고, 그 이상의 승하차객이 9호선에 생긴 것이다. 엄청난 가축수송의 악명에도 불구하고 차츰차츰 이용객을 늘려간 9호선은 2015년에 하루 이용객 4만 명을 돌파해 5호선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따라왔다. 그리고 여기서 늘어난 이용객 숫자는 5호선 이탈 고객이 절반, 버스 및 자가용 수요가 절반이었다. 즉 두 노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역세권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9호선 쪽에 더 쏠리고, 5호선이 미처 커버해주지 못했던 수요를 9호선이 보충하면서 하루 평균 9만 명 언저리까지 이용객이 늘어난 것이다. 이러한 여의도역 수요의 역사는 5호선과 9호선의 특징들을 대략 알 수 있는 지표가 되어준다. 심지어 5호선 여의도역~김포공항역 구간을 9호선으로 가면 더 빨리 갈 수 있기 때문에[23] 오히려 9호선으로 몰리는 승객도 많다.

게다가 2019년에는 9호선에서 승하차 인원이 4위로 최상위권인데 3단계 구간이 뚫리면서 강동 지역 사람들이 9호선을 타고 곧바로 여의도로 올 수 있게 되자[24]승하차 인원이 다시 한 번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4단계 연장으로 이 현상은 더 심각해질 것이다. 실제로 오랫동안 승하차 인원 3위였던 가양역까지도 넘어섰다. 이도 그럴 것이 출근시간때 김포공항행 급행 열차가 굉장히 혼잡하다가 여의도역 지나면 바로 한산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산역을 지나면 빈자리가 생긴다.

시공할 때 이미 9호선 계획이 확정됐던 만큼 충분히 개념환승으로 만들 수 있었지만, 수요의 증가를 고려해서 일부러 환승동선을 늘린 것으로 볼 수 있겠다. 9호선이 가축수송으로 유명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5호선 역시 수요예측이 빗나가서 적자 난다고 한탄하기는 해도 이용객 수는 전국 전철 노선들 중 상위권에 있다.

거기에 신안산선이 뚫리면 시흥대로, 시흥시, 안산시 수요가 더해지게 됨으로 헬게이트는 더 심해진다. 5호선은 도심으로, 9호선은 김포공항 및 강남으로 빠른 이동이 가능하며, 급행의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021년 2월 말 더현대 서울의 오픈으로 승하차 수가 급증하고 있다.


5. 승강장[편집]


서울교통공사 5호선, 9호선 모두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5.1. 수도권 전철 5호선[편집]



파일:5호선 여의도역 승강장.jpg

5호선 승강장


파일:역명판여의도역5.png

5호선 역명판

신길




여의나루



5.2. 서울 지하철 9호선[편집]



파일:여의도역1.jpg

9호선 승강장


파일:여의도역_9호선.jpg

9호선 역명판

일반: 국회의사당, 급행: 당산




↓ 일반: 샛강, 급행: 노량진



5.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편집]


신도림
1


2
용산



6. 연계 버스[편집]


서울 버스 153
서울 버스 261
서울 버스 262
서울 버스 503
서울 버스 753
서울 버스 362
서울 버스 162
서울 버스 5012
서울 버스 6513
서울 버스 5618
서울 버스 5623
서울 버스 영등포10
서울 버스 영등포11
서울 버스 600[25]
서울 버스 6628
서울 버스 5713
서울 버스 7613[26]
서울 버스 461
서울 버스 6654
부천 버스 700
부천 버스 83
부천 버스 88
안산 버스 5609
용인 버스 7007-1
광명 버스 11-1
광명 버스 11-2
고양 버스 871
파주 버스 G7625
공항버스 6030


7. 기타[편집]


  • Mini Metro의 서울 맵에서 항상 처음부터 나오는데, 난이도 상승의 주요 요인이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2:17:00에 나무위키 여의도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번 출구를 제외하면 모든 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나 모두 빠져 있다.[2] 정확한 선형은 알 수 없지만, 3기 지하철 12호선까지 완공한 다음 경량전철도 추가로 더 건설할 계획도 있었다. 아마 그 경전철 까지 대비했을 가능성 역시 볼 수 있다.[3] 평일 동계 5708(하계 5698, 구 동계 5716), 주말 5184(명절 5158)[4] 과거에는 방화발 여의도행도 있었지만 사라졌다. 시기는 불명이며 완전 개통 때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5] http://www.nextrain.co.kr/railroad/station[6] 여의도역 위치가 5호선과 동일하며, 지하 6층으로 계획되어 있다.[7] 언론통폐합으로 KBS에 흡수된 TBC의 최후 사옥도 여의도에 있었다. 샛강역과 바로 붙어있는 현재의 KBS 별관 사옥이 옛 TBC 여의도 사옥이었다. 1980년 7월에 완공됐지만 실질적으로 TBC가 이 사옥을 써먹은 역사는 4개월 남짓 밖에 안 된다. TBC와 함께 KBS로 흡수된 DBS도 1980년대 TV 방송 개시를 추진하면서 여의도 KBS 사옥 옆에 별관 사옥을 크게 지었으나 방송국 자체가 사라지면서 해당 건물을 방송국으로 활용하지 못했다. DBS 폐국 후 해당 건물은 동아문화센터로 쓰여졌고 2004년에 철거돼 현재는 주상복합 아파트가 지어져 있다.[8] 다만 여의도 MBC 사옥은 여의도역보다 여의나루역이 조금 더 가깝다. 여의나루역에도 이정표에 MBC가 표기돼 있다.[9] 1985년에 지은 건물로 SBS가 개국하기 전에는 SBS의 모기업 태영건설의 서울 본사 건물로 쓰였다.[10] 1979년부터 한국거래소가 이 지역에 터를 잡은 영향으로 국내 증권회사 대부분의 본사가 이 역 주변에 몰려 있다. 대형 증권사 중에는 미래에셋증권(을지로), 삼성증권(서초동), 대신증권(명동) 정도가 여의도 이외 지역에 본사를 둔 곳들이다.[11] KBS 뉴스광장, MBC 뉴스투데이, SBS 모닝와이드.[12] 아침 출근길 피크시간대인 오전 7시 30분~8시 30분 쯤에는 5번 출구 주변의 사무공간으로 출근하기 위해 지하 대합실에서부터 시민들이 길게 줄을 서서 이동한다. 퇴근시간대인 오후 6시 남짓에는 반대로 밖에서 많은 시민들이 줄을 서서 지하철역으로 들어간다.[13] 그나마 9호선은 급행이 국회의사당역을 통과하기에 여기서 공원을 찾을 명분이라도 있다(역 시설도 9호선이 밖으로 나가기 쉽다).[14] CGV 여의도 입주.[15] 더현대 서울 입점.[16] 12만 7천명[17] 8만 3천명[18] 광화문광장으로 이어지는 통로가 있다.[19] 9호선 개통 이전에는 서울도시철도공사 노선들중에서 5호선이 제일 이용객이 많고 잘나가는 메인노선이었다.[20] 목동 주민들은 그 당시 여의나루터까지 가는 122-1번을 주로 이용했다. 그 당시 이용객은 예나 지금이나 미어터져나가는 수준. 그 외에도 부천 버스 88 등을 오랫동안 먹여 살리기도 했다.[21] 철도와 연결되고 광역철도가 된 영등포역은 제외.[22] 당시에는 없었는데, 2022년 현재는 1호선 신길역에서 영등포역 쪽으로 내려가다 보면 여의도를 잇는 초대형 구름다리가 생겨서 여기를 통해서 여의도로 건너가는 사람들도 있다.[23] 5호선의 선형이 상당히 꼬여있어서 9호선 일반을 타도 3분 차이 밖에 나지 않는다. 평균 6~7분 시격에서 하남선 개통으로 인해 10분 이상으로 벌어지는 지금으로 따져도 5호선의 경쟁력이 딸리기 때문이다(...)[24] 올림픽공원역 기준으로 여의도역까지 오려면 5호선으로 47분이 걸렸는데, 9호선으로는 일반을 타도 48분, 급행으로 가면 무려 30분 만에 주파한다.[25] 광화문, 시청 방향[26] 구산동종점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