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표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설명


1. 개요[편집]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편집]


파일:五月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오월표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ruby>五月豹<rp>(</rp><rt>ゴガツビョウ</rt><rp>)</rp></ruby>,
영어판명칭=May Malaipar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종족=야수족, 레벨=2, 공격력=100, 수비력=100,
효과1=①: 패가 이 카드 1장뿐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 턴 종료시까지 2500이 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그 전투로 발생하는 상대에게의 전투 데미지는 대신 자신이 받는다.,
효과4=④: 이 카드의 전투로 자신이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0이 된다. 그 후\, 자신의 LP가 2000 이하일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0이 된다.)]
인피니트 포비든의 노말 레어 몬스터 카드. 노말 레어 답게 해괴한 효과로 무장했다.

①의 효과는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이 카드 1장만 패에 있을 때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버블맨과 마찬가지로 애매한 효과로, 꺼낸다면 버블맨처럼 마함을 먼저 세트해두는 방식으로 꺼내야 할 것이다.

②의 효과는 공격력을 2500으로 하는 효과. 이 정도면 상급 몬스터들과 비슷해진다. 허나 전투 능력은 기대하기 어려운데 이는 ③의 효과 때문.

③의 효과는 상대에게 올 전투 데미지를 자신이 받는 효과. 즉 공격력이 2500이 된 이 카드를 공격 표시의 하루 우라라에게 들이받아봤자 자신만 2500 데미지를 입는다. 다만 파괴까지 막지는 않고, 전투 데미지만 반사당한다. 직접 공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④의 효과는 전투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공격력을 0으로 하는 효과. ③의 효과에 의해 충족시키는 것은 매우 쉽다. 그러나 공격력을 0으로 만들고 싶다면 애초에 이 카드가 아닌 다른 카드를 쓰면 해결되는 일이고, 핵심은 LP가 2000 이하일 때 공격력이 5000이 되는 효과이다. LP를 줄여가면서 이 카드의 공격력을 조율시켜 보자. 하지만 이것에도 여러가지 허점이 있다. 직접 공격에는 ③의 효과가 적용되지 않아 특정 상황에서는 피니셔가 될 수 있겠지만, 안타깝게도 ③④의 효과 전부 이 카드가 공격한 후에 발동하므로 추가 공격의 기회가 없으면 이대로 상대 턴을 버텨야 할 텐데 전투 내성마저 없다. 따라서 상대는 몬스터 1장을 아무거나 소환하고 오월표를 공격하여, 반사 데미지로 오월표를 꺼낸 플레이어를 끝장내려고 할 것이다.

모티브는 일본의 골든 위크 주간에 흔히 나타나는 우울 증세를 표현한 단어인 5월병. 등장 팩인 인피니트 포비든은 출시일이 골든 위크 첫날이다. 이렇게 보면 공격력의 변동을 조울증으로 표현할 수 있겠다. 일러스트에선 단오(단고노셋쿠)의 상징 중 하나인 코이노보리가 보이고 표범이 드러누운 상태로 우울해하고 있는데, 정황상 연휴가 끝나 출근하게 된 표범이 조울증에 걸린 것으로 보인다. 굳이 표범을 고른 이유는 '5월병'과 발음이 같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단오에 가정에 장식하는 인형 중 하나인 5월 호랑이(五月虎)와의 유사성 또한 모티브로 삼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6 08:14:06에 나무위키 오월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