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KBS 2TV에서 방영하였던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아내(드라마) 문서
아내(드라마)번 문단을
아내(드라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사랑과 연애

[ 펼치기 · 접기 ]
솔로
싱글 · 모태솔로 · 모쏠아다 · 도태남녀 · 안 생겨요 · 솔로부대 · 솔로천국 커플지옥
만남
자만추 · 소개팅 · 헌팅 · 미팅 · 온라인 데이팅 · 데이팅앱 · 결혼정보회사 · 맞선 · 7의 여자 · 이상형 · 남녀 공학 · 대학 생활 · 동아리 · 소모임 · 선섹후사 · 마담뚜
친구
프렌드 존 · 남사친 · 여사친 · 소꿉친구 · 베스트 프렌드 · 지인 · FWB
동료
직장생활 · 오피스 스파우스 · 동료애 · 전우애

밀당 · 고백 · 짝사랑 · 그린라이트 · 러브레터 · 삼각관계 · 라면 먹고 갈래? · 오빠믿지 · 금사빠
연애
가짜 연애 · 첫사랑 · 여자친구 · 남자친구 · 애인 · 사랑 · 사내 연애 · 비밀 연애 · 캠퍼스 커플 · 적과의 로맨스 · 곰신 · 꾸나 · 꽃신 · 랜선 연애 · 플라토닉 러브 · 장거리 연애 · 인종간 연애 · 연상연하 · 스킨십 · 데이트 · 동거 · 천생연분 · 소울메이트
이별
권태 · 실연 · 전남친 · 전여친 · 미련 · 떡정 · 애증 · 재회 · 잠수 · 사별
결혼
프러포즈 · 끝사랑 · 부부 · 남편 · 아내 · 배우자 · 유부남 · 유부녀 · 결혼식 · 신혼 · 혼인신고 · 약혼 · 파혼 · 사실혼 · 재혼 · 부부 싸움 · 정략결혼 · 동질혼 · 승강혼 · 귀천상혼 · 도둑놈
이혼
전남편 · 전처 · 홀아비 · 과부 · 돌싱 · 황혼이혼 · 졸혼 · 별거
독신
철벽녀 · 초식남 · 절식남 · 건어물녀 · 무관심 · 비연애 · 무성애 · 비혼 · 비혼주의 · 비혼모 · 비혼부 · 노총각 · 노처녀 · 골드미스
바람
바람둥이 · 어장관리 · 금단의 사랑 · 불륜 · 간통 · 네토라레 · 네토리 · 양다리 · 환승이별 · 내연남 · 내연녀
범죄
데이트 폭력 · 데이트 강간 · 스토킹 · 가정폭력 · 강제결혼 · 로맨스 스캠
기타
유사연애 · 모성애 · 부성애 · 형제애



1. 개요
2. 상세
3. 기타
4. 언어별 명칭


1. 개요[편집]


기혼자가 자신의 여성 배우자를 지칭할 때 쓰는 표현.


2. 상세[편집]


어원은 '안(內)ㅎ[1]'+'애(사람이나 물건을 뜻하는 접미사[2])'로 '안사람' 이라는 뜻이며, 바깥사람(=남편)에 대응된다. 16세기 정도에 유교적 질서가 뿌리내리면서 등장한 표현이다. 그러므로 중화권을 제외한 나라에서는 여성인 배우자를 '집 안의 사람'이라고 부르는 사례가 거의 없다. 유교적 질서가 약했던 제주도에서는 '아내'에 정확히 대응되는 표현없이 '각씨', '부인' 같은 표현이 많이 쓰였다고 한다.

전근대까지는 '안해'[3]라고 불렀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아내', 북한중국 조선족들 사이에서는 '안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둘 다 표기는 달라도 발음은 같다. 1935년 출간된 김유정봄·봄 초판을 보면 '내 안해가 될 점순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당시만 해도 '안해'라는 표기가 더 보편적이었던 것. 1988년 맞춤법 개정 전까지는 안해, 안애, 아내 등이 혼재했다. 맞춤법 개정 당시 어원 의식이 희박해졌다고 보고 '안애'를 소리나는 대로 적은 '아내'만 표준어로 남겨지고, 어원에 가까운 형태였던 '안해'는 비표준어가 되었다.

보통 갓 결혼한 여성에게는 신부새댁 등의 명칭을 쓰며, 아내라고 부르는 경우는 공식 석상이 아니라면 의외로 많지 않은 편이다. 아내와 비슷하게 공식 석상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은 '안사람', '집사람' 등이 있으며, 속된 말로는 '여편네'가 있다.

남편이 아내를 부르는 호칭은 세대마다 다른 편이다. 보통 20대의 젊은 부부는 이름으로 부르거나 '자기', 애칭 등을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으며, 30대 이상에서는 '여보', '당신'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인다. 자녀가 있다면 '○○(자녀이름) 엄마'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4]

제3자에게 자신의 아내를 지칭할 때에도 여러가지 표현들이 쓰인다. 대표적인 예시가 '마누라'[5], '집사람', '안사람', '처' 등이 있고 요즘에는 '와이프(wife)'라는 영어 표현으로도 흔하게 부른다. 특이한 점은 와이프에 상응하는 남편을 뜻하는 영단어인 husband(허스번드)는 쓰이지 않는다. 나이가 많은 세대들은 남편을 바깥양반, 아내는 안주인으로 부르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남편, 아내를 뜻하는 夫(옷토), 妻(츠마) 외에도 제3자에게 자신의 배우자를 지칭할 때나 타인의 배우자를 칭할 때는 남편을 슈진(主人: 주인), 아내를 카나이(家内: 가내)라 부르기도 한다. 일본의 정서로는 집 안의 사람이라는 '카나이'가 상당히 가부장적인 표현이라 현대에는 사용 빈도가 많이 줄어들었으며#, 旦那様(단나사마), 奥様(오쿠사마) 등과 더불어 타인의 배우자를 정중하게 부르는 말로서는 아직도 쓰이는 편이나 지금와서는 그냥 '남편', '아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내를 몹시 사랑하는 남편을 애처가라고 하며, 아내를 무서워하는 남편을 공처가라고 한다.


3. 기타[편집]


기혼자들의 가정에서, 아내들이 가정의 경제를 맡는 경향이 있다. 물론 요즘엔 같이 관리하거나 남편이 관리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따라 영어권에서 재치 있는 대화가 인터넷에 올라왔다.
경찰: 도난당한 신용카드, 왜 신고 안 했어요? (Why didn't you report your stolen credit card?)
피해자: 도둑이 아내보다 돈을 덜 쓰던데요. (The thief was spending less than my wife.)
경찰: 그러면… 왜 이제서야 신고했어요? (Then… why did you report now?)
피해자: 도둑의 아내가 카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 같아요. (I think now the thief's wife started using it!!)

결혼을 권하지 않는 사람은 지갑의 두께로써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 같다.
회식날 사장이 회식자리에 방문해서 회식하던 중,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사원들에게 결혼하지 말라고 했다. 증거를 보여준다고 하니, 유부남 사원들더러 지갑을 꺼내보라고 한다. 이에 과장1, 과장2, 대리의 지갑에 각각 현금 2만원, 7천원, 5천원이 있었다. 사장은 미혼남들더러 지갑을 꺼내보라고 지시하니, 차장, 대리, 과장의 지갑에 각각 현금 22만원, 7만원, 6만원이 있었다.


4. 언어별 명칭[편집]


한국어: , 아내(안해), 마누라, 부인, 집사람, 안사람, 와이프, 여편네, 유부녀, 각시, 색시, 당신, 자기, 지어미

일본어: 츠마((つま)), 카나이(家内(かない)), 요메(嫁(よめ)), 와이후(ワイフ)

한자: 妻, 夫人, 內子

중국어: 妻子, 老婆, 《호창》太太

영어: Wife,[6] 《애칭》Sweetheart, 《속어》Ball and Chain

러시아어: Жена, Супруга

독일어: Wirtin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3:49:21에 나무위키 아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것을 ㅎ 덧생김 체언이라고 부른다.[2] "철수야, 영희야" 의 '야' 와 쓰임이 비슷하다.[3] 과거에는 발음을 이용한 개그도 있었다. 문천식: 나 안해!, 정준하: 알았어! 너 아내! 나 남편![4] 자녀가 2명 이상일 경우 보통 첫째 자녀의 이름을 붙여 부르는 편이다.[5] 원래 마누라(마노라)는 왕세자의 아내인 왕세자빈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조선시대에는 "대비 마노라", "대전 마노라"처럼 '마마'와 같이 쓰이던 왕실의 극존칭어였다. 이와 비슷하게 영감이라는 단어도 조선시대에는 종2품~정3품의 (지금으로서는 차관이나 국장 정도)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쓰는 말이었으며, 첨지라는 말 역시 3품직인 첨지중추부사를 지칭하는 말이었다.[6] f와 p발음에 신경 써야 되는 부분인데, Wife를 잘못 발음하면 "닦아내다"라는 뜻의 Wipe로 자칫 오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