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어

최근 편집일시 :

슬라브어파

[ 펼치기 · 접기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1><height=34><bgcolor=#ffd500><color=#005bbb>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호 · 국가(소련 시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 · 내무부
선거
대통령 선거 · 최고 라다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우크라이나 여권 · 대외관계 틀
국방
우크라이나군() · 육군 · 해군 · 해군 보병대 · 공군 · 공수군 · 특수작전군 · 국토방위군 · 국방부(정보국)
역사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갈리치아-볼히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코사크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러시아 제국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 소련(우크라이나 SSR · 우크라이나 대기근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1991년 12월 1일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 · 오렌지 혁명 · 유로마이단 혁명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 돈바스 전쟁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경제
경제 전반 ·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 · 로셴 · GSC Game World · 암스트리트
지리
행정구역 · 갈리치아 · 돈바스 · 부자크 · 붉은 숲 · 아조프해 · 초르노젬 · 카르파티아 산맥 · 크림반도 · 북 크림 운하 · 푸스타 · 흑해 · 남부크 강 ·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드니프로강 · 부크 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프루트 강
사회
우체국· 대학 목록(키이우 공과대학교 · 키이우 대학교 · 하르키우 대학교) · 언론 목록(우크린포름 · 유로마이단 프레스 · 키이우 인디펜던트) · 우크라이나 마피아
언어
언어 전반 · 우크라이나어 · 키릴 문자 · 루신어 · 우룸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가가우즈어
교통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 키이우 지하철 · 하르키우 지하철 · 드니프로 지하철 ·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 안토노프 항공 · 보리스필 국제공항 ·줄리아니 국제공항 · 호스토멜 공항 · 헤르손 국제공항 · 르비우 국제공항 · 도네츠크 국제공항 · 루한스크 국제공항
문화
공휴일 · 요리(보르시 · 샤슐릭 · 치킨 키이우 · 크바스) · 축구 국가대표팀(여자) · 농구 국가대표팀 · 풋살 국가대표팀 · 프리미어 리그 · 퍼스트 리그 · 우크라이나컵 · 우크라이나 정교회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 반두라 · 오, 난 알아요, 내게 죄가 있다는 것을 · 우리는 위대한 순간에 태어났다 · 종들의 캐럴 · 타라스 셰우첸코 · 1+1 · 국민의 일꾼 · Natus Vincere · 호팍
민족
우크라이나인 · 루신인 · 헝가리계 · 폴란드계 · 러시아계 · 불가리아계 · 한국계 · 루마니아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디아스포라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 우크라이나계 폴란드인 · 우크라이나계 파라과이인 · 우크라이나계 영국인 · 우크라이나계 멕시코인
#!end|| ||우크라이나 소련의 적통설 ||
}}}}}} ||}}}


우크라이나어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1]
Ukrainian languag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krainians_en.svg.png


20세기 초 우크라이나어 사용자 분포도.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키릴 문자
점자
우크라이나어 점자
주요 사용 지역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display: none; display: 우크라이나"
행정구
]]

[[트란스니스트리아|

트란스니스트리아
display: none; display: 트란스니스트리아"
행정구
]]

[[러시아|

러시아
display: none; display: 러시아"
행정구
]]

원어민
약 4500만 명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우크라이나어
언어
코드

ISO 639-1
UK
ISO 639-2
UKR
ISO 639-3
UKR
글로톨로그
ukra1253

1. 개요
2. 문자와 발음
4. 역사
5. 한국에서의 학습
5.1. 우크라이나어 표기법
6. 회화
7. 들어보기
8. 언어별 명칭
9. 관련 문서

Намувікі — дерево знань, яке ми вирощуємо разом.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편집]


우크라이나의 공용어이자 동슬라브어에 속하는 언어. 우크라이나 헌법 제10조에 우크라이나의 국어는 우크라이나어로 규정되어 있다.#

우크라이나에서 주로 쓰이며 비공식 독립국인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도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우크라이나인들의 모국어이며 러시아[2], 벨라루스[3], 루마니아, 카자흐스탄, 폴란드[4], 캐나다[5], 미국우크라이나인 공동체에서도 쓰인다.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루신어[6]와 같은 동슬라브어 계통이라 매우 비슷하고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분화된 지 오래되지 않았다. 동슬라브어 분열이 아주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에 방언 정도로 들린다. 하지만 실제로 의사소통에서 서로의 언어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이해하기 어렵다.[7] 많은 어휘를 공유하지만 다른 단어들 또한 많다.[8] 기본적인 문법에서도 차이가 난다. 그러나 러시아어를 포함한 다른 슬라브어를 배운 사람이라면 우크라이나어를 배울 때 조금 더 공부하면 쉽게 배울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어정쩡한 친연성 때문에 한쪽 언어를 어설프게 익힌 경우 오히려 언어멀미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러시아인들이나 친러 우크라이나인러시아 제국주의 관점에서 우크라이나어를 러시아의 방언 소러시아어로 주장하기도 한다. 반대로 러시아나 러시아어에 반감을 느끼는 반러 우크라이나인들은 아예 우크라이나어가 러시아어와 같은 동슬라브어라는 것 자체를 부정하고 폴란드어와의 유사성을 부각하여 서슬라브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러시아어에서는 현재 사라졌지만, 폴란드어에서는 아직 존재하는 '호격(Кличний відмінок 혹은 Вокатив)'이 존재한다. 또한 기본어휘만 봐도 '감사합니다'라는 표현을 'Дякую'라고 쓰는데, 이는 폴란드어 'Dziękuję'와 유사하다. 러시아어 'Спасибо'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사실 우크라이나어는 오랫동안 폴란드-리투아니아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거치면서 서슬라브어와 동슬라브어의 요소가 모두 섞인 언어이다. 러시아는 정교회, 폴란드는 가톨릭으로 종교가 달랐기 때문에 러시아어는 정교회에서 쓰는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고[9] 우크라이나어는 교회 슬라브어 영향을 덜 받아서 차이가 두드러지는 점도 있고, 특히 19세기에서 20세기에 들어설 무렵 우크라이나어가 체계화될 때 우크라이나 언어학자, 민족주의자들이 고대 슬라브어 표현이나 전통적인 표현을 차용하는 과정에서 폴란드어 등 서슬라브어 어휘를 대폭 차용하기도 하였다.

학술적으로는 폴란드어보다 러시아어와 좀 더 비슷하다고 인정되는 편이라서 '동슬라브어군'으로 분류된다. 한국어에서 중국에서 수입한 한자어가 많다고 해서 계통적으로 중국어와 묶이지 않는 것처럼, 어휘를 차용한 것과 어족-어파-어군 계통 설정은 별개기 때문이다.

문법적인 면에서는 러시아어와 가까워서, 인칭변화가 거의 러시아어와 비슷하다. 차용어에서는 폴란드어, 벨라루스어, 루마니아어, 터키어, 독일어, 라틴어, 그리스어, 교회 슬라브어,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된 단어들이 많이 보이고 있다. 우크라이나어도 자국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인 크림 타타르인의 영향을 받아서 튀르크어 계통의 어휘들을 러시아어와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같이 동슬라브로 묶이는 벨라루스어와도 매우 가깝고 비슷하다. 우크라이나어 화자는 러시아어 화자보다 벨라루스어 화자와 말이 훨씬 잘 통한다. 실제로 벨라루스어는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의 중간쯤에 위치해 있다고 봐도 크게 틀린 건 아니다. 사실 이는 벨라루스어가 우크라이나어와 마찬가지로 서슬라브어 계통인 폴란드어와 동슬라브어 계통인 러시아어 두 언어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2. 문자와 발음[편집]



2.1. 키릴 문자[편집]


이웃한 러시아벨라루스와 마찬가지로 정교회권이기 때문에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1990년 개정된 현행 알파벳은 33자로 이루어져 있다.

키릴 문자
(대문자/소문자)
명칭
표준 발음
А а
아 (а)
/ɑ/
Б б
베 (бе)
/b/
В в
베 (ве)
/v/, /w/[10][11]
Г г
헤 (ге)
/ɦ/[12], /ɣ/
Ґ ґ
게 (ґе)
/g/
Д д
데 (де)
/d/
Е е
에 (е)
/ɛ/
Є є
예 (є)
/jɛ/, /ʲɛ/
Ж ж
제 (же)
/ʐ/
З з
제 (зе)
/z/
И и
이 (и)
/ɪ/
І і
이 (і)
/i/
Ї ї
이 (ї)
/ji/
Й й
요트 (йот)
/j/
К к
카 (ка)
/k/
Л л
엘 (ел)
/ɫ/
М м
엠 (ем)
/m/
Н н
엔 (ен)
/n/
О о
오 (о)
/o/
П п
페 (пе)
/p/
Р р
에르 (ер)
/r/
С с
에스 (ес)
/s/
Т т
테 (те)
/t/
У у
우 (у)
/u/
Ф ф
에프 (еф)
/f/
Х х
하 (ха)
/x/
Ц ц
체 (це)
/t͡s/
Ч ч
체 (че)
/t͡ʂ/[13]
Ш ш
샤 (ша)
/ʂ/
Щ щ
슈차(ща)
/ʂʈ͡ʂ/[14]
Ь ь
미야키 즈낙 (м'який знак)
/ʲ/
Ю ю
유 (ю)
/ju/, /ʲu/
Я я
야 (я)
/ja/, /ʲa/

러시아어에서 강세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변하는 것과 달리 우크라이나어에서는 강세가 있어도 모음을 그대로 읽는다. 예를들면 Севастополь의 경우 러시아어에서는 강세 없는 е가 и, 강세 없는 о가 а로 발음되어 씨바스토빨에 가깝게 읽지만, 우크라이나어 규칙대로 읽자면 쎄바스토뽈에 가깝게 읽는다. 또한 러시아어에서는 강세 없는 я, е가 단어 맨 끝을 제외하고는 ㅣ로 소리나지만, 우크라이나어에서는 각각 ㅑ, ㅔ로 소리난다. 다만 강세 없는 우크라이나어 и와 강세 없는 우크라이나어 е의 발음은 거의 비슷하다.

우크라이나어에서는 강세가 모음의 장단에 영향을 준다. 강세 있는 모음은 강세 없는 모음에 비해 1.5배 길게 발음한다.

모음
강세 있을 때 발음
강세 없을 때 발음
А а
+ː/
/ɐ/
Е е
-ː/
/ɜ̝+/
И и
/ɨ̞+ː/
/ɨ̞+/
І і
/iː/
/i/
О о
/o-ː/
/ɵ̞+/
У у
/uː/
/ʊ/

자음의 경우 러시아어처럼 구개음화되는데, 러시아어와 달리 ж, ш, ц도 구개음화 된다. 구개음화된 ж, ш, ц는 각각 /ʑ/[15], /ɕ/[16], /t͡sʲ/로 소리난다. 또한 ч, щ, г는 구개음화 될 경우 /t͡ɕ/, /ɕt͡ɕ/, /ʝ/[17]로 소리난다.

모음에 있어서 러시아어와 가장 큰 차이는 е와 и가 와도 앞의 자음이 구개음화되지 않는 것. 우크라이나어의 е는 러시아어의 э에 해당하는 모음이며, и는 러시아어의 ы에 해당되는 모음이다. 그나마 구개음화되는 발음은 є, ї로 구분하여 쓴다. 구개음화도 일반적으로 잘 일어나지 않는데, 일단 러시아어 /je/는 우크라이나어에선 거의 /e/에 대응하고, д 등의 자음도 러시아어보다 구개음화가 덜하게 나타난다. 반대로 э을 거꾸로 뒤집은 듯한 є는 우크라이나어에서 /je/발음에 해당된다. 그래서 '감사합니다.'라는 뜻의 Дякую도 '[ˈdʲɑkʊjʊ\](댜쿠유)'에 가깝게 읽는다. 또한 г, к, х, ж, ч, ш, щ 뒤에는 я, ю, ы 등이 올 수 없는 러시아어와는 달리 우크라이나어에서는 쓸 수 있으며[18], 재귀동사의 경우에도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건 모음으로 끝나건 -ся로 고정되어 변화하지 않는다(예: познайомитеся, 서로 알아가다). 이러한 형태는 인접한 폴란드어에서도 발견된다.

Г가 g가 아닌 [ɦ\][19]로 발음되며, g 발음은 г와 비슷한 ґ로 쓴다[20]. в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우처럼 발음된다. 이 때문에 w가 들어가는 외래어는 в로 전사한다[21](예: 원화→вона[22], 수원→Сувон, 위키백과→Вікіпедія 등)

또한 인접한 슬라브어파의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와는 달리 어말에 위치하거나 무성자음에 선행하는 유성자음의 무성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를테면 러시아어의 съезд(스예스트)에 해당하는 우크라이나어 з'їзд(즈이즈드)가 있으며, 이는 세르보크로아트어와도 유사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23] 이를 반영하여 다중문자 дс의 경우, [t͡s]로 발음하지 않고 [d͡z]로 발음하는 것이 보통이다. 가령 간호사(медсестра)의 경우 러시아어로는 [mʲɪt͡sʲsʲɪˈstra](미치시스트라), 우크라이나어로는 [med͡zseˈstrɑ](메즈세스트라)로 발음한다.

м이 어말에 오면 [m̥\]로, н이 어말에 오면 [n̥\]로, л이 어말에 오면 [l̥\]로, р가 어말에 오면 [r̥\]로 발음된다.

인터넷에서 보면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로 쓰인 글을 쉽게 구분하려면 특징적인 글자 몇가지를 찾아보면 된다. "є, і, ї" 등의 글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우크라이나어 글이고 "ы, э"를 쓰면 러시아어 글일 확률이 높다. 특히 우리 말에서 'ㅔ/ㅐ' 발음에 해당하는 문자로 Э/э가 보이면 러시아어다. 상대의 언어에서는 저 글자를 안 쓰기 때문이다. 이런 글자 중 낮은 빈도로 쓰이는 글자까지 포함하면 우크라이나어는 "ґ"도 쓰고, 러시아어는 "ё, ъ"도 쓴다.[24] 하지만 같은 키릴 문자를 쓰는 러시아의 소수 민족 언어들도 있으니 주의할 것.


2.2. 라틴 문자[편집]


우크라이나어 고유 명사를 라틴 문자로 표기할 때는 공식적으로는 2010년 제정된 로마자 표기법이 사용된다. 다만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도 그렇듯 대체로 지명에서만 공식 표기법이 지켜지는 편이다.

19세기 우크라이나어를 표기하기 위해 라틴카(Латинка)라고 하는 라틴 문자를 도입하는 것이 시도된 적 있었는데, 이는 알파벳 전쟁(Азбучна війна)이라고 부르는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834년 요시프 로진스키(Йосип Лозинський)는 폴란드어 알파벳으로 우크라이나어를 표기할 것을 주장하였는데, 로진스키의 시도는 라틴 문자는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고, 갈리치아와 러시아령 우크라이나가 다른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우크라이나 민족을 분열시킬 것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1859년 갈리치아 총독이었던 아게노르 고우호프스키(Agenor Gołuchowski)는 체코어 알파벳에 기반한 라틴 문자를 학교 교육에 도입하려고 했다. 하지만 이 시도는 심지어 로진스키를 비롯해 광범위한 반대를 받아서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1920년대 소련에서 국제공산주의의 이념적 영향을 받아 자국 내 통용되던 공용어 표기를 라틴 문자로 바꾸려 했을 때,[25] 우크라이나어 또한 라틴 문자 전환을 고려했다. 1927년 5월 폴란드 제2공화국이 통치하던 서부 우크라이나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속 언어학자들이 모여 전우크라이나 정서법 회의(Всеукраїнська правописна конференція)를 개최했다. 해당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언어학자들은 자국어를 표기할 표준문자를 두고 기존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 사이에서 어떤 문자를 택할지 진지하게 의논하였다. 학자들이 해당 안건을 두고 투표한 결과 찬성 20표, 반대 25표로 우크라이나어의 라틴 문자 전환을 부결시키고 기존 키릴 문자 정서법을 정리하는 방향으로 결정했다.출처 (우크라이나어)[26]

이후 현재까지 우크라이나어의 라틴 문자화는 민간 차원에서 몇 번 논의되었으나, 우크라이나 정부나 학술기관 차원에서 라틴 문자를 공식문자로 채택하려 한 시도는 없었다. 대신 우크라이나어 라틴 문자 표기법을 주기적으로 정리하면서 우크라이나어의 라틴 문자 표기를 개선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


3. 문법[편집]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우크라이나어/문법


러시아어와 달리 폴란드어처럼 호격이 존재한다.
다만 러시아어에서 불규칙 복수 명사인 단어가 우크라이나어에서는 규칙 복수 명사인 경우가 많다.

예)
교사
러시아어 : учитель (단수), учителя (복수)
우크라이나어 : учитель (단수), учителі (복수)

교수
러시아어 : профессор (단수), профессора (복수)
우크라이나어 : професор (단수), професори (복수)

아들
러시아어 : сын (단수), сыновья (복수)
우크라이나어 : син (단수), сини (복수)


러시아어 : дочь (단수), дочери (복수)
우크라이나어 : дочка (단수), дочки (복수) / дівка (단수), дівки (복수)

이웃
러시아어 : сосед (단수), соседи (복수)
우크라이나어 : сусід (단수), сусіди (복수)

형제
러시아어 : брат (단수), братья (복수)
우크라이나어 : брат (단수), брати (복수)

우크라이나어는 러시아어보다 불규칙 복수 명사가 적기 때문에 공부하기 쉽다. 단, 물건의 개수와 관련된 특수한 격변화가 있어서 어려운 점도 있다.

더 자세한 문법은 여기를 참조하면 좋다. 단, 자료가 영어로 되어있고 발음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오타 때문인지 IPA가 잘못 적힌 게 좀 있다. 문자와 발음은 차라리 이 문서 상단을 참조할 것.


4. 역사[편집]


우크라이나어는 연구가 시작될 당시에는 독립된 언어취급을 받지 않고 벨라루스어와 함께 러시아어의 방언로 취급받았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소련의 언어학자들이 연구한 이후로는 세 언어가 명확히 서로 다른 언어로 구분되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정체성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어를 탄압했다. 러시아 제국 황제 알렉산드르 2세는 1876년 직접 엠스 칙령(Эмский указ)에 서명해 우크라이나어 인쇄를 금지했던 적이 있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소련이 건국된 이후 소련 정부가 추진하던 현지화 정책에 힘입어 우크라이나어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공용어로 지정하였다. 소련 시절 우크라이나 정부는 공화국 차원에서 공식문서를 우크라이나어로 발행했다. TV, 라디오, 방송, 신문과 잡지를 비롯한 언론매체에서도 사용되었다.

다만 소련 시절에는 러시아어가 사실상 연방내 공용어 지위를 누렸으며, 1970년대 중앙정부 차원에서 러시아화 정책을 강화하면서 동부 및 대도시에서 일상생활에서도 러시아어를 쓰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이들 지역에서는 우크라이나어는 양층언어의 하위언어가 되어 나갔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까지 러시아어가 모어인 우크라이나인들 사이에서는 우크라이나어가 주로 서부 지역에서 쓰는 언어라는 인식도 있었다.[27]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어가 제1언어로 지정되면서 점진적으로 사용이 늘었다. 오늘날 서부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어가 모어인 사람이 많으며, 우크라이나 동부와 남부 지역(도네츠크, 하르키우, 루한스크, 미콜라이우, 헤르손, 오데사) 등에서는 러시아어가 모어인 사람이 많다. 하지만 1991년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 정부가 지속적으로 우크라이나어 교육을 강화하면서 대다수 우크라이나인들은 교육을 통해 기본적인 우크라이나어 의사소통을 어느 정도 배웠고, 두 언어 또한 비교적 비슷한 편이기에 우크라이나 내에서 일상생활에서 큰 지장은 없는 편이다. [28]

화자 수가 나날이 줄어가는 언어이기도 하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데서 기인한다. 지난 25년 간 우크라이나의 인구는 900만 가량 감소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0%9B%D0%B8%D1%81%D1%82%D0%BE%D0%B2%D0%BA%D0%B0_%D0%BF%D1%80%D0%BE%D1%82%D0%B8%D0%B2_%D1%81%D1%83%D1%80%D0%B6%D0%B8%D0%BA%D0%B0.jpg
▲ 일상생활에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를 자주 섞어 쓰다보니 대중교통에 내걸린 우크라이나어 바로 쓰기 캠페인.[29]

위의 사진에선 우크라이나에서 쓰이는 러시아어식 표현을 전통적인 우크라이나어식 표현으로 변경하였다. 한국에서 일본어나 영어 번역투를 교정하는 것과 비슷한 것이다.

러시아의 영향을 많이 받은 우크라이나 동부 등에서 사용되는 수르지크(Суржик)[30]라는 피진어가 있는데,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가 섞인 사회 방언 또는 독립된 언어로 취급되기도 한다. 하지만 사실 수르지크를 쓴다는 것은 반대로 말하자면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둘 다 제대로 배우지 못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만약 어느 한 언어를 잘 알면 아예 그 말을 모국어로 쓸 테니까. 보통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러시아어 또는 우크라이나어로 대화해도 수르지크를 쓰지는 않는다. 그러나 흥미로운 사실은 수르지크는 러시아에 거주하는 우크라이나어 화자들에게는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수르지크는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러시아어 화자들에게도 영향을 주기도 했고, 우크라이나어가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 화자들에게도 영향을 줬다. 게다가 우크라이나에서 쓰이는 러시아어는 러시아어 남부 방언에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어에도 영향을 받았다. 우크라이나화된 단어를 자주 사용하거니와 심지어 억양과 발음마저 우크라이나어에 영향을 받았을 정도이다.[31] 특히, 러시아어의 남부 방언이 우크라이나에서도 쓰이다보니 러시아어 남부 방언의 어휘도 우크라이나 쪽의 러시아어에서도 쓰이기도 한다. 다만 러시아에서는 우크라이나어 억양이 강한 러시아어를 그리 좋게 여기지 않는다.

수르지크는 우크라이나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배격되고 러시아에서는 아예 사용되지 않는, 언어의 사생아인만큼 학술적 연구나 접근, 체계화 역시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다. 만약 제 3외국어 화자로서 수르지크를 구사하고 싶다면 노어와 우어를 초보적 수준에서부터 동시에 배우는 길이 있다. 두 언어 중 하나도 전문적으로 구사하지 못하는 학습자가 발음부터 문자, 문법에서 매우 유사하면서 중요한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차이나는 두 언어를 '동시에' 배운다면 필연적으로 꼬이고 섞여 엉망이 될 가능성이 크고 그게 바로 수르지크라고 학자들은 말한다.

실제로 우크라이나어를 전공하거나 개인적 이유로 공부하는 학생들이 야심차게 러시아어와 함께 마스터하겠다는 포부를 나타내지만 결과가 영 좋지 않은 이유 역시 두 언어가 너무나 유사하면서도 분명히 차이점이 있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정치적 측면에서 러시아어는 우크라이나에서 매우 민감한 사안이다. 우크라이나어가 탄압받은 시절이 무려 4세기 가까이에 이르기도 하고,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어가 문화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치는 사안이기 때문에 사회적인 문제로 자주 비화가 된다. 예를 들면 우크라이나어를 충분히 잘 하지 못하는 러시아어 화자들은 당연히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러시아어 서적이나 방송, 언론매체를 주로 접하게 된다. 이런 사람들은 주로 친정부적인 논조를 띄는 러시아 매체 때문에 러시아 정부의 시각을 여과 없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사실 옐친 시절에는 러시아 언론이 황색언론화나 재벌들의 언론장악 등 문제가 있었어도 정부비판적인 매체는 상당수 있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었지만, 푸틴이 엔테베의 모회사를 가스프롬으로 갈아치우는 등 친정부 매체를 늘리기 위해 돈과 권력을 동원한 데다가, 이후 언론통제 및 사회 전반에 걸쳐 프로파간다를 강화하면서 언론 통제를 강화했고, 이 때문에 러시아인 대부분이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도 다양한 언론을 통해 여러 견해를 자유롭게 표출하거나 접하기 어려워지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정부의 입김이 강해졌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정부는 정치적인 고려로 현재까지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길 거부했다. 다만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전까지만 해도 사회 전반부에 걸쳐 러시아어의 영향이 강했기 때문에,[32] 친러 성향이었던 야누코비치 정권 시기에는 러시아어를 많이 쓰는 지역에 한해 지역언어 지위를 인정해 주기도 했는데,[33] 러시아는 훗날 러시아인과 러시아어 사용자가 '우크라이나 나치'에 탄압당한다는 명분을 조작해 크림 반도를 점령하고 돈바스 전쟁 등 우크라이나 동부지역 분쟁을 일으켰다.

특히 2014년 들어 우크라이나가 유로마이단 혁명크림 반도 위기, 돈바스 전쟁을 3연타로 겪으면서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의 위상이 많이 타격을 입었다.# 여기에는 러시아어 화자가 95% 이상이었던 크림 지역이 러시아에 병합되고 역시 러시아어 화자가 대다수인 동부 돈바스 지역 일부분이 우크라이나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난 상황에서 기인한 바가 크다. 러시아어 화자들이 다수 있는 지역을 상실한 셈이다. 물론 위상이 낮아졌다고는 해도 여전히 우크라이나 정부 통제 하의 동부 지역과 키이우에서는 러시아어가 문제 없이 통용되지만, 현재 우크라이나 정부는 반러 분위기와 함께 러시아어를 의도적으로 배제하기 시작해 우크라이나어로 대체하려고 노력한다. 다만 러시아 서적에 의존하는 경우가 위낙에 많기도 했고, 러시아 정부나 소련에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더라도 러시아어 영화나 서적의 수입이 금지되는 경우가 있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34]

국영 채널인 UA: 페르시(UA: Перший)를 제외하고 인테르(Інтер), 1+1, 우크라이나(Україна) 등 3대 민영방송사들은 한동안 러시아어 방송을 진행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정부가 2017년에 자국어 교육 정책을 강화하고 중등학교에서 교사가 우크라이나어만 사용하고 소수민족 언어로는 가르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러시아, 폴란드, 루마니아, 헝가리와 외교갈등을 빚었다.# 또한, 우크라이나 정부는 푸틴의 동부 지역 주민들의 시민권 발급 간소화 정책에 반발해서 포로셴코 측에서 TV프로그램의 90% 이상을 우크라이나어로 방영하고 공공문서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로 인해 우크라이나 방송국에서 러시아어 방송 및 뉴스는 모두 사라지게 되었다. 하지만 젤렌스키 당선인은 반발했고 러시아도 비판했다.#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어를 우크라이나의 유일한 국어로 지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대부분 공적 영역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하며 거부하면 벌금을 물게 했다.# 2014년 이후 일부 우크라이나인들은 모어가 러시아어임에도 불구하고, 결혼하여 낳은 자식에게는 우크라이나어만 씀으로써 자식을 우크라이나어 모어 화자로 만들고 있다. 페트로 포로셴코 전 대통령도 모어는 러시아어이지만,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어 대신 우크라이나어만 사용한다.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 갈등을 겪기 시작하면서 지역 공식어에서도 러시아어가 배제되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우크라이나인들과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들이 러시아어를 거부하고 우크라이나어만을 쓰는 경우가 늘어났다. # 침공 이전에 러시아어를 자주 쓰던 오데사 주민들도 우크라이나어만을 쓰기 시작했다. 러시아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던 동부 지역 출신 주민들이 러시아의 침공을 받자 우크라이나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우크라이나 서쪽에는 루신어라는 언어가 우크라이나어와 함께 사용되는데, 가끔씩 우크라이나어의 사투리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전세계적으로 우크라이나어 열풍이 불었다.#

현재 동부, 남부나 키이우 같은 대도시 출신자들은 아직 러시아어가 모어인 사람이 많으나, 1970년대와 1980년대 이후 출생한 청년 및 중장년 세대 우크라이나인들 중에서는 두 언어 모두 구사하는 경우가 많다. 가령 한국에서 한국계 우크라이나인 정치인으로 잘 알려진 비탈리 킴만 하더라도 공식석상이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어러시아어 모두 자유롭게 구사한다.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어가 누리던 사회적 지위가 크게 위축되고 있지만, 언론, 정부기관의 공식적인 표기와는 별개로 우크라이나의 언어생활이나 범세계적 학술용어에서는 오랫동안 양 언어에 기반한 표기가 혼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5. 한국에서의 학습[편집]


우크라이나어를 가르치는 한국 대학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우크라이나어과가 유일하다. 네이버 사전에도 우크라이나어가 수록됐다.

네이버 사전의 기능보다 뛰어난 영문 우크라이나어 사전으로 Lingvo Live의 사전도 있다. 이것만 해도 단어가 굴절하는 형태를 제공하는 등 네이버의 우크라이나어 사전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사전은 이 링크 참조. 영문 윅셔너리도 우크라이나어 단어의 해설을 제공하며, 단어 수가 적은 대신 어원을 알아보거나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우크라이나어는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이기도 하다. 하지만 매우 마이너한 언어라서 출판된 도서의 수가 적다.[35] 다만 러시아어에 능통하다면 러시아어로 된 교재가 많아서 공부하기 수월한 편.

듀오링고에서 영어로 우크라이나어를 배울 수 있다. 또한, ECK교육에서 우크라이나어 강좌를 제공한다.#


5.1. 우크라이나어 표기법[편집]


2022년 2월 24일부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함에 따라서 기존에 러시아식으로 표기하던 우크라이나의 지명 등을 주한우크라이나대사관의 요청에 따라 2022년 3월 2일을 기점으로 우크라이나식 표기로 정정하기 시작했다. 이렇 이유로 바뀐 가장 대표적인 고유명사 표기가 키예프[Киев]에서 키이우[Київ]로 변경된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실제 발음과의 차이가 적지 않다는 등의 여러 논란은 있다. 예를 들어 킈이우, 크릠이라고 표기하면 실제 철자와 '언어인상'이란 면에서 어찌어찌 대응은 되겠지만 발음하기도 곤란하고 언어학적으로도 일관성이 없다. 우크라이나어 언중은 실생활에서는 크이우, 크름이라고 많이 발음하는데, 주한우크라이나대사관에서는 이런 미묘한 발음이 들어가는 우크라이나어 고유명사들을 크이우, 크름 등과 같이 곧이곧대로 작성한 표기를 요청했다. 하지만 언론들은 우크라이나대사관의 요청을 받아들여 기존의 러시아어 표기를 우크라이나어 표기로 바꾸되 한글 전사에 익숙하지 않은 우크라이나 외교관들이 제안한 표기 대신 키이우, 크림 등의 국립국어원이 제정한 우크라이나어 한글 표기법을 따르기로 했다. 한국에 체류하는 우크라이나 외교관이나 국민들은 더러는 꿋꿋이 크이우, 크름 등의 표기를 고집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한국 언론들이 우크라이나어로 표기한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발음과는 별개로 국립국어원의 표기를 존중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일부 우크라이나어 단어에만 국립국어원의 표기법이 마련되어 있고, 우크라이나어 전체를 표기할 방안은 공식적으로는 없다. 위키백과에서 한 유저가 제안한 방안과 2022년에 추가로 어학 지식을 반영한 표기법이 있다. 이 링크에서 우크라이나어 문구를 복사 등으로 입력하면 후자의 표기법에 입각한 한글 표기가 나온다.


6. 회화[편집]


안녕! (가까운 친지나 친구 사이)
Привіт! 프리비트!
좋은 아침입니다. (아침인사)
Добрий ранoк! 도브리 라노크!
좋은 점심입니다. (점심인사)
Добрий день! 도브리 덴![36]
좋은 저녁입니다. (저녁인사)
Добрий вечір! 도브리 베치르!
안녕히 가세요! (작별 인사)
До побачення! 도 포바첸냐!
잘 가! (작별 인사)
Па-па! 파파! Пока! 포카!
잘 자요!
Добраніч! 도브라니치!
환영합니다!
Ласкаво просимо! 라스카보 프로시모!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Як вас звати? 야크 바스 즈바티?
제 이름은 _입니다.
Мене звати _. 메네 즈바티 _.
어디에서 오셨어요?/어디 출신이세요?
Звідки ви? 즈비드키 비?
나는 (한국/우크라이나)에서 왔어요.
Я з (Кореї/України). 야 즈 (코레이/우크라이니).
요즘 어떻게 지내시나요? (안부 인사)
Як у вас справи? 야크 우 바스 스프라비?
요즘 어때?
Як справи? 야크 스프라비?
괜찮아요/보통입니다.
Нормально. 노르말노.
좋습니다.
Добре. 도브레.
아주 좋습니다.
Дуже добре. 두제 도브레.
나쁘지 않아요.
Непогано. 네포하노.
예.
Так. 탘.
아니요.
Ні. 니.
잠시만요.
Момент. 모멘트.
감사합니다.
Дякую. 댜쿠유.
천만에요.
Нема за що. 네마 자 슈초.
실례합니다. 죄송합니다.
Вибачте. 비바치테.
이것은 무엇입니까?
Що це? 슈초 체?
이 사람은 누구입니까?
Хто це? 흐토 체?
모르겠어요.
Не знаю. 네 즈나유.
얼마인가요?
Скільки? 스킬키?
부탁입니다.
Будь ласка! 부드 라스카![37]
미안해.
Вибач. 비바치.
영어를 할 줄 아세요?
Ви говорите англійською? 비 호보리테 안흘리스코유?
러시아어를 할 줄 아세요?
Ви говорите російською? 비 호보리테 로시스코유?
천천히 말해주세요.
Прошу, говоріть повільніше. 프로슈, 호보리티 포빌니셰.
화장실은 어디 있나요?
Де туалет? 데 투알레트?
사랑합니다.
Я вас кохаю. 야 바스 코하유.
사랑해.
Я тебе кохаю. 야 테베 코하유.
당신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Якa вaшa релігія? 야카 바샤 렐리히야?
저는 정교회 신자입니다.
Я православний(-a). 야 프라보슬라우니(나).
저는 가톨릭 신자입니다.
Я католик(-чка). 야 카톨리크(치카).
새해 축하합니다!
З новим роком! 즈 노빔 로콤!
생일 축하합니다!
З днем народження! 즈 드넴 나로젠냐!
메리 크리스마스!
З Різдвом Христовим! 즈 리즈드봄 흐리스토빔!


7. 들어보기[편집]



우크라이나어로 설명하는 우크라이나 역사. 영어 자막 제공.


우크라이나인이 우크라이나어로 내는 퀴즈를 슬로바키아인, 러시아인, 폴란드인이 각자의 언어만 사용하며 맞추고 대화하는 영상.


우크라이나 민요 <Їхав козак за Дунай> - "카자크는 두나이를 넘었다"


브례먀 이 스티클로의 노래 <Дим> - "연기"


겨울왕국의 <Love Is an Open Door> 우크라이나어 더빙판 "Все одімкне любов"


Naviband의 노래 <Сумне море> - "슬픈 바다"


우크라이나의 명절 음악인 '슈체드리크(Щедрик)'. 1분 이후부터 우크라이나어다. 영화 나 홀로 집에에도 등장한 음악으로, 영미권에서는 《Carol of the Bells》라는 캐롤로 친숙하고 한국에서도 들어본 사람들이 많다.


핑크 플로이드가 2022년에 발매한 노래인 Hey Hey Rise Up. 오, 초원의 붉은 가막살나무여(Ой у лузі червона калина)라는 우크라이나 노래다. 노래에 대한 자세한 설명


8. 언어별 명칭[편집]


러시아어
Украинский язык
벨라루스어
Украінская мова
폴란드어
Język ukraiński


9.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6 01:54:15에 나무위키 우크라이나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4:56:16에 나무위키 우크라이나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Ukrajínsʹka móva [ʊkrɐˈjinʲsʲkɐ ˈmɔʋɐ\]). 약칭은 우크라인스카(Українська).[2] 벨고로드 주, 쿠르스크 주, 보로네시 주, 로스토프 주, 크라스노다르 지방, 스타브로폴 지방, 볼고그라드 주 [3] 브레스트 주[4] 폴란드가 우크라이나인 이민을 많이 받기도 하고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많은 난민들이 정착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폴란드에 정착할 우크라이나 난민은 최대 100만명까지 예상된다고 한다.[5] 아예 캐나다식 우크라이나어 방언(영어판 위키백과)라는 것도 존재한다고 한다. IETF(uk-CA)도 존재한다.[6] 루신어는 우크라이나어와 가까워서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여기는 경우가 있다.[7] 모스크바 출신 러시아인은 표준 우크라이나어를 이해할 수 없고, 러시아어에 노출되지 않은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은 러시아어를 이해할 수 없다. [8] 주로 서슬라브어 계통의 단어가 많이 있다. рік(리크, 년·해)이나 розуміти(로주미티, 이해하다)같이.[9] 그래서 교회 슬라브어의 직계 후손인 불가리아어가 러시아와 거리가 바다 건너 꽤 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어와 비슷한 부분이 은근히 많다. 어떤 면에선 러시아어 기준으로 우크라이나어보다 불가리아어가 더 비슷해보이는 표현도 더러 있다.[10] в는 뒤에 자음이 오거나 아무 글자도 없을 때, /w/ 발음으로 바뀐다.[11] 지리적으로 러시아와 가깝고 러시아어 사용자수가 많은 동부 지역에서는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자음 앞에서도 /v/로 발음하고, 무성음 앞, 단어 맨 끝에서는 /f/로 발음한다. 단어 맨 끝에서 무성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반영하여 단어 맨 끝에 오는 в를 /v/로 발음하는 경우도 많다.[12] /h/로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13] 리비우, 이바노프란키우스크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러시아어처럼 /t͡ɕ/로 발음한다. 하지만 /t͡ʂ/가 표준 발음이다.[14] 중부, 동부에서는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ɕ/로 발음한다.[15] 폴란드어 ź 발음[16] 한국어 시의 ㅅ 발음[17] /ç/로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18] 이를테면 우크라이나 남부 지역 중 하나인 Запоріжжя(자포리자)가 있다. 러시아어로는 Запорожье(자포로지예)라고 쓴다.[19] 구개음화버전으로는 [ʝ\][20] 다만 ґ는 소련 시기에 폐지되었다가, 1990년 소련 독립 이후 부활해 현재까지는 많이 쓰이지 않고 있다. 체코어가 g보다 h를 훨씬 더 많이 쓰는 것과 같다.[21] 사실 w를 이렇게 음역하는 건 러시아어도 동일하고 러시아어 외에도 w발음 없이 v발음만 있는 언어들은 w를 v로 음역하는 경우가 많다.[22] KRW 말고도 '그녀'라는 뜻도 있다.[23] 물론 세세한 차이는 존재한다. 세르비아어를 의미하는 세르보크로아트어 표현은 српски(스르프스키)이지만, 우크라이나어 표현은 сербський(세르브스키)이며, 세르보크로아트어와 달리 우크라이나어에서는 б가 무성음화되지 않는다.[24] 다만 우크라이나어 글자 ґ[g\]와 러시아어 글자 ё[yo\]는 모두 일상생활에서는 잘 안쓰이거나 생략되는 경향이 있다.[25] 당시 러시아어 또한 이러한 조류의 영향을 받아 라틴 문자 전환을 진지하게 고려하기도 했다. 출처 (러시아 위키피디아)[26] 우크라이나어의 표준 키릴 문자 표기법은 1933년 제정되었다가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개정을 약간 거쳐 오늘날 표준어로써 쓰이고 있다.[27] 전쟁 이후 러시아어가 모어인 우크라이나인들 사이에서도 반러 감정이 증가하면서 우크라이나어를 다시 배우거나 러시아어 사용을 자제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28] 다만 밑에서 설명하겠지만 두 언어를 섞어쓸 경우 일반적으로 제대로 교육받지 못했다는 인식을 줄 수 있기에 가급적 지양하는 편이다.[29] 의역하자면 '주목! 올바르게 씁시다!(Увага! Говорімо правильно!)'[30] 이와 같은 사례로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가 혼합된 트라샨카(трасянка)라는 피진어도 존재한다.[31] 러시아어의 속어 중 Що(=что, 영어의 what에 해당) 등등 우크라이나에서 쓰이던 단어들도 종종 보인다. 그리고 г라는 문자는 우크라이나 쪽에서는 우크라이나어의 영향으로 발음할 때는 'ㅎ' 발음에 가깝게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32] 당장 한국에서 잘 알려진 우크라이나 드라마인 국민의 일꾼에서도 작중 화자들 모두 러시아어를 사용한다.[33] 당시 우크라이나 정부가 인정한 지위는 지역언어(regional language)였지 공식어 지위가 아니다. 당시 러시아어의 지역언어 지정에 대해 우크라이나 야당 의원들이 항의하여 집단난투극이 벌어진 적도 있었다.#[34] 푸틴에 비판적인 러시아 소설가 보리스 아쿠닌의 서적이 수입이 불허되거나 블라디미르 비소츠키의 회고록이 수입불허가 난 것이 그 예다.[35] 이 때문에 2022년 4월 11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화상으로 한국 국회 연설을 할 적에 우크라이나어에 능력이 뛰어난 통역자가 없었는지 한국외대 우크라이나어학과의 올레나 셰겔 교수가 통역을 맡았다. 참고로 이 교수가 참여한 우크라이나어에 대한 소개도 참조할 수 있다.[36] 영어의 "Hello."처럼 우크라이나인들은 공식적, 비공식적 만남에서 흔히 이 말로 인사를 시작한다.[37] 영어의 Please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