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순(조선)

덤프버전 : r



조선 영의정

연산군 ~ 선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31px; color: #ffffff"
[ 펼치기 · 접기 ]


제44대

노사신

제45대

신승선

제46대

한치형

제47대

성준

제48대

유순


제49대

유순

제50대

박원종

제51대

김수동

제52대

류순정

제53대

성희안

제54대

송질

제55대

유순

제56대

정광필

제57대

김전

제58대

남곤

제59대

정광필

제60대

장순손

제61대

한효원

제62대

김근사

제63대

윤은보



제64대

홍언필

제65대

윤인경



제66대

홍언필

제67대

이기

제68대

심연원

제69대

상진

제70대

윤원형



제71대

이준경

제72대

권철

제73대

이탁

제74대

홍섬

제75대

권철

제76대

홍섬

제77대

권철

제78대

홍섬

제79대

박순

제80대

노수신

제81대

유전

제82대

이산해

제83대

류성룡

제84대

최흥원

제85대

류성룡

제86대

이원익

제87대

윤두수

제88대

이원익

제89대

이산해

제90대

이항복

제91대

이덕형

제92대

이항복

제93대

윤승훈

제94대

유영경






유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조선 영의정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문희공(文僖公)
유순
柳洵

출생
1441년(세종 23)
사망
1517년(중종 12)
재임기간
제48대 영의정
1504년 5월 26일 - 1509년 11월 9일
(음력 연산군 10년 윤4월 13일 - 중종 4년 윤9월 27일)
제54대 영의정
1514년 10월 18일 - 1516년 5월 10일
(음력 중종 9년 10월 1일 - 중종 11년 4월 9일)
봉호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
시호
문희(文僖)
본관
문화 류씨

희명(希明)

노포당(老圃堂)
부모
부친 - 유사공(柳思恭)
모친 - 남양 홍씨 홍상직(洪尙直)의 딸
부인
나주 정씨 정윤희(丁胤禧)의 딸
홍일민(洪逸民)의 딸
자녀
장남 - 유응룡(柳應龍) 정씨 소생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조선 전기~중기의 문관, 문장가.


2. 생애[편집]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 유만수(柳曼殊)[1]의 아들인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유원지(柳原之)의 증손자이자,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 유종(柳淙)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세마(洗馬) 유사공(柳思恭), 어머니는 종성절제사(鍾城節制使) 홍상직(洪尙直)의 딸이다.[2]

조선 전기 문화의 전성기였던 세종대왕 치세에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시문에 재능을 보였다. 어린 시절에 금릉사(金陵詞)라는 글을 지었는데, 문체가 아름답고 의미가 장중하여 세상에 화제가 되었다.

1459년(세조 5년) 사마시에 장원급제한 것을 시작으로, 3년 뒤인 1462년(세조 8년)에는 식년 문과에 정과(丁科)로 급제하여 예문관에 들어갔다. 1466년(세조 12년) 문과 중시에 다시 급제하고, 이어서 같은 해에 열린 발영시(拔英試)에서도 급제를 했다.[3] 이렇게 7년동안 네번의 과거 급제를 한 끝에 이조 정랑에 올랐다.

1470년(성종 1년) 홍문관 부제학에 올라 경연 시강관으로 활약했는데, 그 유려한 문체로 성종으로부터 큰 총애를 받았다. 1484년(성종 15년) 공조참판을 거쳐 대사헌에 올랐으며, 관기 확립에 힘을 쏟았다. 이후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형조 참판이 되었다. 1487년(성종 18년) 명나라에 천추사로 다녀온 뒤 다시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고, 형조참판과 공조참판을 또다시 지낸 뒤 병조참판을 지내고[4] 또 한번 대사헌이 되었다.

대사헌을 지낸 뒤 개성부유수에 임명되었고 다시 개성유수로 승차되었으며, 이후 공조판서 자리에 오른다. 1494년 성종이 승하하자 왕릉과 산역을 담당하는 산릉도감제조가 되었다.

1495년(연산군 1년) 형조판서로 자리를 옮겼으며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겸임했다. 이후 이조판서·도총관을 거쳐 1498년(연산군 4년) 한성부판윤이 되었고, 이 해에 성종실록의 찬수 작업에 참여하였다. 이듬해인 1499년(연산군 5년)에 다시 형조판서가 되어, 압록강 연안에서 문제를 일으키던 야인에 대한 정벌 계획이 있자 신수근(愼守勤)[5]과 함께 때가 아님을 적극적으로 논해 중단시켰다.

그 뒤 좌참찬·호조 판서를 역임했으며, 1502년(연산군 8년)에는 시문에 능한 10인에 선발되어 시수상(詩首相)이라는 칭찬을 듣기도 하였다. 연산군의 폭정이 날로 심해지자 관직에서 물러나고자 했으나 허락되지 않은 채, 이듬해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1505년(연산군 11년)에 예순다섯의 나이로 영의정에 올랐다.

이듬해인 1506년(연산군 12년·중종 원년) 박원종(朴元宗)[6]·성희안(成希顔)·유순정(柳順汀) 등이 중종 반정을 단행하자, 정승으로서 정국공신(靖國功臣) 2등에 녹훈되고, 문성부원군(文城府院君)을 봉작받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반정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누차 사임을 요청했지만 번번히 허락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1509년(중종 4년) 도리어 연산군 때의 총신이었다는 대간들의 탄핵을 받게 되자 관직을 극구 사양하고 마침내 은퇴하였다.

1514년(중종 9년) 다시 영의정을 제수받아 국정을 총괄하다가 3년 뒤인 1517년(중종 12년)에 77세로 죽었다. 자학(字學)에 매우 정밀하고 의학·지리학에도 조예가 있었다. 그러나 실록의 졸기에 따르면, 우유부단하고 나약하여 연산군이 묻는 일에 항상 윤당하다는 답변만 했다 하여 '윤당 재상'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붙었고, 반정 때에도 어쩔 줄 몰라하며 박원종이나 성희안이 왕이 되느냐고 물었다고도 한다.


3. 대중매체[편집]


  • 장녹수 - 이종만. 영의정에 제수 받는 장면에서 나레이션으로 무능한 인간이지만, 왕에게 아첨하는 것을 좋아해서 연산군이 영의정으로 발탁했다. 라고 대놓고 깐다.
    • 왕과 비 - 민지환[7]
  • 인수대비(JTBC) - 강영구[8]
[1] 1997년 대하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도 등장인물로 나온 적이 있다.[2] 유순의 외조부 홍상직은 그 유명한 도적 홍길동의 친부가 맞다.[3] 1466년의 이 두 과거에서 유순은 둘 다 3등으로 급제했다.[4] 유순은 유독 참판 벼슬과 인연이 깊은 편인데, 그가 지내지 않은 참판직은 예조와 이조 두 부서 뿐이다.[5] 진성대군의 장인. 진성대군은 곧 나중의 중종이다.[6] 연산군의 큰어머니 월산 대군 부인 박씨의 남동생이다.[7] 윤필용 전문 배우[8] KBS 한국사전에서 허균 역, 영화 방가방가에서 외국인노동자 노래자랑 사회자 등의 단역을 주로 맡고 있는 배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29 19:28:00에 나무위키 유순(조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