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마법 카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융합(유희왕)

1. 개요
2. 설명
3. 관련 카드
3.1. 몬스터 카드
3.2. 마법 카드
3.3. 함정 카드


1. 개요[편집]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2. 설명[편집]



2.1. 원작[편집]


파일:Polymerization-JP-Manga-DM-color.png

한글판 명칭
융합
일어판 명칭
融合(ゆうごう
영어판 명칭
Polymerization
일반 마법
몬스터 1마리를 융합 소환한다.

원작에서는 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어둠의 유우기인섹터 하가와의 듀얼에서 발동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듀얼리스트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온다. 몬스터가 필드에 있어야 사용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융합 몬스터에 필요한 융합 소재가 따로 규정되어 있지 않아 말 그대로 아무 몬스터나 합칠 수가 있었다[1].

이후 시리즈마다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편으로, 특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주인공 유우키 쥬다이를 상징하는 카드이기도 하다. 다크니스에게 먹힌 이들이 자신의 페이버릿 카드를 떠올리며 돌아올 때 쥬다이는 마지막 드로우로 이 융합을 뽑고 다크니스에게 승리했다. 정작 사이오 타쿠마에게 오염된 카드 아르카나 포스 0-더 풀이 오염시킨 카드 또한 융합이었다.

한 소환법을 대표하기 때문인지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과 더불어 듀얼몬스터즈부터 ARC-V까지 계속 등장했던 카드였는데, VRAINS에 와서 융합 소환은 등장하지만 카드군 전용 융합 카드[2]만을 사용해서 전통이 깨졌다.


2.2. 반다이판[편집]


파일:Polymerization-BAN1-JP-SR.png
한글판 명칭
융합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融合(ゆうごう
영어판 명칭
Polymerizat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반 마법
몬스터를 융합, 합체시킨다.

반다이판으로 등장하는 카드 중 이 카드에 제대로 대응하는 것은 사실상 블랙 데몬즈 드래곤, 메테오 블랙 드래곤 정도뿐이다.[3]


2.3.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편집]


파일:融合(DP27).jpg
파일:attachment/융합/card100002603_1.jpg
일반 일러스트
Vol.6 한정 수록 버전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융합,
일어판명칭=<ruby>融合<rp>(</rp><rt>ゆうごう</rt><rp>)</rp></ruby>,
영어판명칭=Polymerization,
효과1=①: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여\,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메이트 베이스)

정해진 몬스터와 몬스터를 하나로 합치는 소용돌이를 본뜬 대좌.

이 소용돌이 속으로 빨려 들어간 것이 어떤 모습이 될지. 그건, 긴장되며 흥분되는 순간.

(아이콘 프레임)

2장의 몬스터가 융합하는 순간을 떠올리게 만드는 아이콘 프레임.

여러 장의 몬스터로부터 새로운 몬스터를 탄생시키며, 듀얼은 진화 해왔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액세서리 플레이버 텍스트

자신의 패 / 필드의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원작 및 OCG 초기부터 존재했으며, 융합 소환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카드. 엑스트라 덱을 존재하게 만든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마법 카드로, 융합 소환의 기본 과정. 또한 각종 특수 소환법 중에 해당 소환법의 이름을 그대로 따온 유일한 카드이기도 하다.[4]

늪지의 마신왕, 융합 현자, 엘리멘틀 히어로 포레스트맨, 싱크로 퓨저니스트,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등의 효과로 덱에서 서치할 수 있고 '프렌도그', '몬스터 아이', '융합 회수' 등으로 묘지에서 회수가 가능하다. 또 '융합 파기'의 발동 코스트로 사용된다. 융합 관련 카드들은 많이 있지만 이 기본 융합 카드를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이 정도.

이 카드 이외에도 융합 소환을 할 수 있는 카드들은 여러 가지가 있다. 물론 이 카드처럼 대부분의 융합 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카드는 없고, 특정 테마 내에 한정해서 이 카드보다 좀 더 편하게 융합을 할 수 있게 만들어진 전용 융합 카드가 대부분이다.

한때는 데블 프랑켄, 돌연변이, 마도 사이언티스트같은 반칙성 융합 몬스터 소환 카드가 유행하면서 융합 쪽이 찬밥 취급을 당하기도 했다. 또한 전용 융합 카드를 카드군마다 웬만하면 하나 이상씩 가지고 있는 현재에도 찬밥 취급을 당한다. 그래도 전용 지원 카드가 계속 발매되며 첫 패에 융합 마법을 잡기 위해 채용하는 경우가 생겼다.

히어로, 퍼니멀, 문라이트아마조네스 등은 아예 '융합' 마법 카드를 주력으로 사용한다.

악마[5]와 드래곤으로 추정되는 몬스터가 함께 빨려 들어가는 특유의 구도는, 이후로도 각 카드군의 전용 융합 마법 카드의 일러스트에도 오마주되어 소용돌이에 몬스터가 빨려 들어가는 형태를 띠고 있는 경우가 많다.

여담으로, 일러스트가 다른 버전의 카드가 존재한다. 블랙 매지션이나 푸른 눈의 백룡만큼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융합도 엄연히 한 이름의 카드에 2개 이상의 일러스트 버전이 있는 카드군 소속인데, 내수판 최초 OCG 부스터 팩 시리즈 중 vol.6 부스터 팩에 이 버전이 딱 한 번 수록되었다가 그다음부터는 또다시 원래 버전 융합으로 수록되었다.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부터 발매를 시작한 한글판으로는 당연히 발매가 안 되었고, 내수판도 듀얼 터미널 팩에 재수록되기 전까지는 vol.6에서 밖에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굉장히 희귀한 버전이었다. 원래 버전인 두 몬스터의 실루엣만 그려져 있는 것과는 달리 이름 모를 악마와 드래곤 몬스터가 육망성이 그려진 카드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모습이 디테일하게 묘사되어 있는 일러스트다. 이후 이 일러스트 구도는 치환융합을 통해 리메이크되었다.


2.4. 유희왕 러시 듀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융합(유희왕 러시 듀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관련 카드[편집]


'융합' 카드군에 포괄적으로 관련된 카드들이 아닌, 정확히 마법 카드 '융합'과 관련된 카드들이다.


3.1. 몬스터 카드[편집]



3.2. 마법 카드[편집]



3.2.1. 융합 현자[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14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융합 현자,
일어판명칭=<ruby>融合賢者<rp>(</rp><rt>ゆうごうけんじゃ</rt><rp>)</rp></ruby>,
영어판명칭=Fusion Sage,
효과1=자신의 덱에서 "융합"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그 후 덱을 셔플한다.)]

유희왕 공식 DB 일본어판 재정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는 아니다.

■자신의 덱에 「융합」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융합 현자」를 발동할 수 없다.

「치환융합」은 룰상 "융합"으로서 취급하는 카드이므로, 「융합 현자」의 효과로 패에 넣을 수 있다.


융합을 패로 넣을 수 있는 단순한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하지만 똑같은 효과에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늪지의 마신왕의 사실상 하위 호환. 하지만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쓸 수 없는 덱이나, 마력 카운터가 쌓일 필요가 있는 덱이라면 쓸만하다. 몬스터 효과 발동이 견제당하고 있거나 매크로 코스모스 등이 있을 때도 사용 가능한 점도 차별화 가능. 특히 이들 중 채용률이 매우 높은 카드로 무덤의 지명자가 있으니 무덤의 지명자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은 매력적이다.

극단적인 정통 융합 덱에서 늪지의 마신왕과 함께 투입해 빠르게 융합을 패로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밸류어블 북 2에서는 덱에 융합이 2장밖에 없으면서 이 카드를 3장 채용한 이상한 덱 레시피가 공개된 적이 있다. 서치 카드를 많이 넣고 서치 대상을 줄이는 사례는 현재에도 자주 보이지만, 이 시절엔 지원이 적어 굳이 매수를 줄일 이유가 없었다.

패에 이 카드와 썬더 드래곤이 있으면 덱을 3장 압축하면서 썬더 드래곤 융합 몬스터를 바로 꺼낼 수 있게 된다. 덱 압축이나 서치 수단이 모자랐던 초기에는 덱 압축과 높은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의 전개를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어 채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꽤나 오랫동안 재록되지 않아 과거 효과 텍스트가 고쳐지지 않았는데, 이게 현재 기준으로 보면 룰 문제를 일으키는 텍스트다. 9기 이후 기준으로는 '"융합" 마법 카드'를 서치하는 이 카드가 자신을 포함해 차원융합, 융합 해제 같은 "융합" 카드군의 마법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6] 물론 위에 있는 재정처럼 실제 효과는 카드명 자체가 "융합"인 마법 카드를 서치하는 효과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세븐 스타즈 편에서 유우키 쥬다이묘지기의 장과의 듀얼 중 비상 식량의 발동 코스트로 묘지로 보낸 카드로 처음 등장. 그 후 다크니스가 된 텐죠인 후부키와의 듀얼에서도 사용했다. 이후 빛의 결사 편에서는 에드 피닉스유우키 쥬다이와의 2차전 듀얼 중 마법돌의 채굴의 코스트로 묘지로 보낸 것으로 나온다.


3.2.2. 융합 회수[편집]


파일:融合回収.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융합 회수,
일어판명칭=<ruby>融合回収<rp>(</rp><rt>フュージョン・リカバリー</rt><rp>)</rp></ruby>,
영어판명칭=Fusion Recovery,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융합" 1장과 융합 소환에 사용한 융합 소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융합 관련 덱의 패 보충 카드.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 이후로 융합 소재가 느슨해진 히어로들과 조합해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을 우려먹는 수법이 생겼다.

정통 융합을 구사하는 덱 중에서 한두 마리의 융합 몬스터보단 다수의 융합 몬스터를 다루는 테마와 특히 잘 어울린다. 대표적으로 퍼니멀. 테마부터가 정통 융합을 사용하는 테마이고 융합 몬스터 종류도 꽤 많은 것이 특징. 이 외에도 구테마 중에선 엘리멘틀 히어로 같은 테마 같은 익숙한 테마도 있다.

샤이닝 빅토리즈 출시 이후, 애니메이션에서 세레나가 사용하는 문라이트 덱을 맞추려는 유저들이 늘어나면서 이 카드를 찾는 사람이 늘어났다. 사이버 혁명에서 나온 옛날 카드라 구하기는 쉽지 않았었지만 다행히 퓨전 엔포서즈에서 재록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융합을 주력으로 삼는 듀얼리스트가 많이 사용했으며, 특히 테마 카드군이 처음으로 자리잡은 GX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였다. 가장 잦은 빈도로 사용한 듀얼리스트 또한 GX 주인공인 유우키 쥬다이.


3.2.3. 융합 파기[편집]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40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융합 파기,
일어판명칭=<ruby>融合破棄<rp>(</rp><rt>ゆうごうはき</rt><rp>)</rp></ruby>,
영어판명칭=Revoke Fusion,
효과1="융합" 마법 카드 1장을 패에서 묘지에 버리고 발동한다. 융합 덱에 존재하는 융합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에 쓰여 있는 융합 소재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에 묘지로 보내진다.)]

마법 카드 발동! 융합 파기!

유희왕 듀얼링크스 세레나 대사


유희왕 공식 DB 일본어판 재정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는 아니다.

■발동할 시기에, 코스트로서, 패의 "융합" 1장을 묘지로 버린다.

『융합 덱에 존재하는 융합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처리와, 『그 융합 몬스터에 카드명이 쓰여 있는 융합 소재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처리는 동시에 진행되는 취급으로 한다.

『그 융합 몬스터에 쓰여 있는 융합 소재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처리에 의해서 패에서 특수 소환되는 몬스터는, 그 융합 몬스터에 카드명이 쓰여 있는 몬스터만이다.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융합 파기를 발동 그 자체를 할 수 없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에 묘지로 보내진다.』 처리에 체인 블록이 제작되지 않는다.


요약하면 "패의 융합 카드와 엑스트라 덱의 융합 몬스터 1장씩을 덤핑하고 패에서 그 융합 소재 1장을 특수 소환"하는 카드.

이때 특수 소환하는 소재 몬스터는 당연히 특수 소환이 가능한 몬스터이어야 함과 동시에 이름이 정확히 기재된 몬스터여야 하므로 생각보다 유효 범위가 굉장히 좁다. 무려 패 3장을 소비해서 몬스터 1장을 소환하는 디스어드밴티지가 극심한 방식인 데다 굳이 이런 카드를 쓰지 않아도 덤핑하거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 줄 카드는 많다.

때문에 단순히 몬스터를 소환하거나 묘지에 카드를 덤핑하려는 목적으로 쓰기에는 매우 아깝고, 효과의 대상이 되는 카드들이 서로 연계되는 효과가 있어야 비로소 의미를 가진다.

한 가지 예를 들면 퍼니멀에서는 패의 융합과 엑스트라 덱의 데스완구 시저 베어를 묘지로 보내면서 퍼니멀 베어를 특수 소환하고, 이후 퍼니멀 베어를 릴리스하여 융합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묘지로 보내진 시저 베어와 베어는 다른 카드의 코스트나 융합 소재로 재사용하기 쉬운 카드라 이 경우엔 어드밴티지 소모도 그리 크지 않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이차원세계 편에서는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하는 카드로 등장. 패왕의 측근이었던 가디언 바오우가 패왕의 자리를 노리고 쥬다이와 듀얼할 때, 자신이 패왕이 되었다는 트라우마 때문에 융합을 사용하지 못하던 쥬다이가 융합 대신 이 카드를 발동, 융합과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을 묘지로 버리고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을 특수 소환했다.



마스터 듀얼
듀얼링크스
2023년 5월 기준, 유희왕 마스터 듀얼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어째서인지 융합 소재 몬스터가 아닌 융합을 특수 소환하는 어처구니 없는 버그가 존재한다. 정확히는 코스트로 버리는 융합 이외의 융합이 패에 있으면 그 융합이 종족/속성이 없는 공 0/수 0의 일반 몬스터로 취급되어 특수 소환되는 것. 패의 융합 소재 몬스터가 있어야 발동할 수 있지만 정작 그 융합 소재 몬스터는 패에 여분의 융합이 있든 없든 특수 소환되지 않는다.[7] 이 카드 자체가 잘 쓰이지 않는 카드라서 2023년 5월 23일에 확인된 버그이나, 이 버그를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의 발언에 따르면, 2023년 4월에 새로 발생한 버그로 추정되며, 해당 시기에 새로운 기믹의 융합 테마가 추가된 것과 관련 있는 버그로 추정되고 있다. 처음에는 마스터 듀얼만의 버그로 알려졌으나 몇 시간 뒤 듀얼링크스에서도 같은 버그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두 게임들이 카드 효과 처리에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3.2.4. 치환융합[편집]



3.2.5. 데스완구 패치워크[편집]



3.2.6. 융합재생기구[편집]



3.2.7. EN-인게이지 네오스페이스[편집]




3.3. 함정 카드[편집]



3.3.1. 융합 준비[편집]


[1] 이로서 어둠의 유우기마법 효과의 화살의 효과로 융합 효과를 적용시켜 카이바 세토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맘모스의 무덤을 강제 융합시키기도 했다.[2] 사이바넷 퓨전, 트릭스터 퓨전, 퓨전 오브 파이어, 타이란트 다이너 퓨전, Ai러브 융합[3] 용기사 가이아는 별다른 특별 룰이 없는 카드로만 등장했다.[4] 앞뒤에 이것저것 붙은 건 많아도 '의식/리추얼', '싱크로', '엑시즈', '펜듈럼', '링크'만을 이름으로 가진 카드는 없다.[5] 이는 이후 싱크로 퓨저니스트의 모습으로도 등장한다.[6] 당시 텍스트로 "융합" 카드군을 지정하려면 '"융합"이라는 이름이 붙은'으로 표기해야 했다. 오히려 현재 기준으로 보면 이쪽이 카드명을 지정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다.[7] 패에 융합이 없으면 아예 특수 소환 처리가 불발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7:08:39에 나무위키 융합(마법 카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