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혁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페이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상혁(동명이인) 문서
이상혁(동명이인)번 문단을
이상혁(동명이인)# 부분을
,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페이커(동음이의어)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T1 SKT white.png
T1
2022 시즌 로스터
'''

[ 펼치기 · 접기 ]
감독
[[최성훈(프로게이머)|최성훈

Polt
]]
코치
[[김지환(1993)|김지환

Moment
]]|[[배성웅|배성웅

Bengi
]]
로스터
파일:TOP_icon_white.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우제|최우제

Zeus
]]

파일:JGL_icon_white.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현준|문현준

Oner
]]

파일:MID_icon_white.png
MID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ADC_icon_white.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민형(프로게이머)|이민형

Gumayusi
]]

파일:SUP_icon_white.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민석|류민석

Keria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기|김태기

Asper
]]
LCK 참가팀 로스터



이상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이상혁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이상혁의 기타 정보

[ 펼치기 · 접기 ]












'''T1

C

Faker'''
이상혁 (李相赫|Lee Sang-hyeok)
출생
1996년 5월 7일[1] (27세)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2]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본관
경주 이씨 (慶州 李氏)[3]
신체
177cm[4], 64kg, O형
가족
할머니 권오윤[5]
아버지 이경준
남동생 이상훈[6]
학력
등원중학교 (15회 / 졸업)
마포고등학교 (중퇴)[7][8]
병역
전시근로역 (장기대기)[9]
종교
무종교[10]
MBTI
INTP, ISTP[11]
ID
Hide on bush #KR1 #
포지션
미드
경력 상금
$1,570,297 USD
(₩2,031,242,951 KRW)
[12]
데뷔
2013년 4월 6일
2013 LCK 스프링

(데뷔일로부터 4011일째, 10주년)
소속
T1[13]
(2013. 2. 13. ~ 2025. 11. 17.예정)

서명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2018[14], 2023[15])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부문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부문

소속사
(주)페이커컴퍼니[16]
FANABLE[1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18]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위상
3.1. 대회 경력
3.1.1. 역대 대회 기록
3.1.2. 개인 기록
3.2. 주요 경력
5. 솔로 랭크
8. 논란 및 사건 사고
8.1. 솔로랭크 중 일반인 유저에 대한 발언 관련
8.1.1. 정말 성훈의 잘못인가?



1. 개요[편집]


대한민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LCKT1 소속 주장이자 미드 라이너 및 파트 오너.


2. 위상[편집]


페이커: 오랫동안 수많은 팀의 상승과 하락을 지켜보았습니다. 그 끝에 서 있던 사람은 항상 저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4강 2일 차 T1 vs JDG 티저 《LEGENDS NEVER DIE

명실상부한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역사상 최고의 선수이자 현대 e스포츠프로게이머를 상징하는 인물로, 당연히 SKT T1 역사상 최고의 선수이며 롤 e스포츠 역사상 최고의 미드라이너이자 LCK를 상징하는 선수이기도 하다. 플레이 스타일, 경기 내 영향력 등 미시적인 부분을 살필 것도 없이 커리어와 기록만 봐도 그가 얼마나 압도적인 선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 2013년 16세의 나이에 데뷔해 2023년까지 현역으로 뛰고 있는 2세대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 LoL e스포츠 프로게이머 누적 상금 전 세계 1위.
  • MSi와 월즈라는 양대 국제대회 석권[19], 2015 서머-2015 월즈-2016 스프링-2016 MSI까지[20] 라이엇 게임즈 주관 공식 대회[21]를 기준으로 논 캘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 슬램이라는 대업을 이룩하였으며, 이는 지금까지 몇몇 소수 인원밖에 기록하지 못했다.[22]
  • 전 세계 e스포츠 역사상 가장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선수이자 리그 오브 레전드와 한국 리그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의 상징.[23]
  • T1의 유일한 원 클럽 맨이자 프랜차이즈 간판 스타.[24]
  • 월즈 4회 우승[25], MSI 2회 우승, LCK 10회 우승 커리어.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전 세계 선수들과 리그 오브 레전드와 관련된 해설진 및 캐스터진 그리고 자국 리그인 LCK 관계자들은 물론이고 타 E스포츠 종목 선수들에게도 평판이 매우 높으며, e스포츠에 관심이 없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사실상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을 대표하는 인물로 자리매김을 한 상황이다.[26] 공중파 뉴스에서 페이커의 인터뷰를 할 때 "이상혁(페이커)" 라는 자막을 띄운 것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관련기사

  • 메시에 비유한 게임 해설가 김동준의 언급처럼 단 한 번도 자신의 실력에 대해서 자기 입으로 뽐낸 적은 없지만 이후 다른 사람이 내린 평가를 통해 역사상 최고 미드 라이너이자 역대 최고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불리게 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 수 있다.[27]

  • 과거 LCK 1세대 프로게이머 선수였던 클템은 한 인터뷰에서 아예 페이커를 역대 최고 미드 라이너에서 배제하는 전문가가 만약 있다면 그 사람은 전문가 타이틀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언급했고[28] 지금까지 큰 무대에서 줄곧 증명해온 페이커에 대해 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 강승현 해설, 전 세계 리그 오브 레전드와 관련된 각 지역별 스타 플레이어를 비롯한 수많은 현역 선수들, 역사를 쓴 전설들 및 패널들을 포함한 각종 롤 관계자들, 특히 한국 e스포츠 분야에서 높은 관록을 지닌 전용준성승헌 캐스터 및 스타크래프트계의 전설적인 인물인 강민 역시 LCK에서 해설가로 활동했던 시절에는 앞선 이들과 비슷하게 역시 해설 도중 탄성을 자아내거나 좋은 평가가 포함된 언급을 아직도 하고 있다.

  • 과거 한국 롤판의 슈퍼스타 계보를 논할 때 LCK 초창기 시절 롤판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매드라이프[29]의 뒤를 이어 그 이상의 퍼포먼스를 자아내며 세계적인 일약 슈퍼스타가 되었으며, 이후부터 오랜 시간 동안 3대 슈퍼스타에게 그 지위를 물려주지 않고 있다.

  • 대한민국 E스포츠의 최고참인 스타크래프트의 임요환, 홍진호 등의 응원은 물론이고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등 수많은 E스포츠 선수들이 존경하고 롤모델로 삼을 정도로 롤 뿐만 아니라 E스포츠에서 가장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커리어상으로 서로 비교가 가능한 인물로는 T1의 초창기부터 페이커와 같은 팀으로 2016 시즌까지 활동했던 주전 파트너 정글러 벵기와 2019 시즌까지 페이커와 함께했던 김정균뿐이다. 물론 2018 시즌을 주요 분기점으로 LCK가 주춤하면서 더샤이, 루키, 도인비, 우지, 캡스, 퍽즈 등과 같은 LPL과 LEC를 비롯한 메이저 지역에서 뛰어난 포스를 뿜어내며 막강한 인기를 구가함과 동시에 엄청난 커리어를 쌓는 선수들이 다수 생겨났고, 국내 리그나 혹은 해외 리그로부터 계속해서 거론되는 국적을 막론한 여러 신인 선수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고, 이외에도 이전 세대 프로게이머들 역시 많이 있어왔다.

2020년 2월 18일에는 3년 재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파트 오너 계약을 통해 T1의 지분을 일부 받게 되면서 프로게이머 은퇴 시 회사 임원 자격으로 경영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그리고 선수 은퇴 이후부터는 T1의 지도자가 되기로 합의했다. ESPN 기사 네이버 뉴스 이를 통해 이제 페이커는 팀 창단에 결정적인 초석 역할을 맡았던 임요환, 그리고 그의 제자이자 개인으로서도 팀의 에이스로서도 최정상의 자리를 차지한 최연성의 뒤를 이어 T1의 평생 레전드로 남게 되었으며, 프로 생활 시작부터 지속적으로 T1의 일원으로 남아있는 상태이며 2022년 스토브리그 프로게이머로선 고령인 27세의 나이에 T1과 3년 계약을 체결, 큰 이변이 없는 이상 앞으로도 쭉 남아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말 그대로 T1 그 자체라고 봐도 크게 이상하지 않을 정도이다.[30][31] 그리고 이 고령의 나이에도 계약 첫 해에 두 번의 LCK 준우승과 월즈 우승을 기록했고, 그가 부상에서 복귀하자 끝도 없이 흔들리며 중위권으로 추락한 T1이 LCK 결승에 오르며 자신이 아직도 세계 무대에서 최정상급 미드라이너임을 증명해냈다.

또한 앞서 언급된 임요환을 비롯하여 스타크래프트 게이머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브루드 워 e스포츠 명예 전당 헌액자들, 워크래프트 3의 장재호, 카트라이더의 문호준, 철권계의 '무릎' 배재민,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출신의 리치 등의 선수들과 더불어 한국 e스포츠계의 전설 중 한명이다.

라이엇 게임즈에서도 10년이 넘은 현재도 페이커를 우대한다. 2020 월즈 주제곡인 Take Over 공식 MV에서도 다른 우승자 출신 선수들이 모두 주인공이 꺾고 올라가야 할 대상으로 그려진 반면 페이커는 주인공에게 처음 토큰을 던져주고 주인공이 페이커 해외 팬 별명인 "The Demon King (大魔王)"이란 간판이 달린 장소로 들어서게 한다. 이어 페이커는 게임에서 계속 패배하는 주인공에게 계속 기회를 제공하며 지켜보는 세계관 최강자급 역으로 등장했다. 영상에선 3분 45초 동안 6번이나 등장하고, 아웃트로 또한 페이커가 모바일 기기로 그를 지켜보는 장면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원래는 직전 시즌 우승팀 및 선수에게 스포트라이트가 더 많이 쏠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32] 전 시즌 우승자인 티안의 리 신보다도 훨씬 자주 등장함으로서 사실상 "페이커 헌정 영상 아니냐"는 말이 나와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였다.[33] 그리고 2021년 Burn It All Down 뮤비에서도, 전 시즌 월즈에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Eternal King of The LCK"[34]라는 칭호와 함께 초반부에 등장했다.

2022년에는 칭티안 페이커 솔로랭크 트롤링 사건에서의 발언으로 순식간에 많은 프로게이머 동료들의 동조와 트롤링을 저지른 선수 및 게임단 측의 빠른 피드백이 나오며 그 영향력 또한 엄청나다는 사실을 재각인시켰다.


3. 선수 경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상혁/선수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 대회 경력[편집]


이상혁의 대회 경력

[ 펼치기 · 접기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 통합 MVP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4강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4강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16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우승
2017 Mid-Season Invitational
4강
2019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2022 Mid-Season Invitational
3위
2023 Mid-Season Invitational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3위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우승
HOT6 Champions Summer 2013, MVP
우승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MVP
8강
HOT6 Champions Spring 2014
8강
HOT6 Champions Summer 2014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MVP
우승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3위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4위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
7위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5위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4위
2021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All-Pro First team
준우승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All-Pro First team
준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아시안 게임
16강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은메달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Intel Extreme Masters
우승
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2019 리프트 라이벌즈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우승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준우승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4강
2017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지역대항전
우승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올스타 결전
우승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지역별 라이벌전
우승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준우승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KeSPA Cup
4강
NAVER 2015 LoL KeSPA Cup
4강
2016 LoL KeSPA Cup
4강
2017 LoL KeSPA Cup
8강
2018 LoL KeSPA Cup
4강
2019 LoL KeSPA Cup ULSAN
기타 대회
4강
제 2회 AMD-인벤 챔피언십 프로팀 최강전
4강
WCG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3위
빅파일 NLB Spring 2014
준우승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우승
IT ENJOY NLB Summer 2014
8강
2020 Mid-Season Cup
수상
2013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미드 부문 최우수 선수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최우수 선수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미드 부문 인기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최우수 선수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LoL 미드 부문 인기상
2017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e스포츠 선수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히어로즈
2018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19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20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21 LCK 어워드 카카오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상
2022 LCK 어워드 BBQ 베스트 이니시에이팅 플레이어 상
2022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23 e스포츠 어워드 올해의 선수상
2023 더 게임 어워드 올해의 e스포츠 선수
2023 LCK 어워드 올해의 선수
2023 LCK 어워드 포지션별 올해의 선수
2023 LCK 어워드 OP.GG 서치 킹 상

  • 통산 전적[35]: 1256전 850승 406패, 승률 67.7%, 총 킬 4427, 총 데스 2655, 총 어시스트 6808, KDA 4.2, 킬 관여율 64.9% (23. 11. 19. 기준) 출처
  • 월즈 우승 4회, MSI 우승 2회, LCK 우승 10회, IEM 우승 1회[36],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1회,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5회, NLB 우승 1회, 아시안 게임 금메달
  • Worlds MVP 1회[37], MSI MVP 1회, LCK 통합 MVP 2회, LCK 포스트시즌 MVP 1회, LCK All-Pro First team 2회[38]

SKT T1에서 프로 데뷔를 했고, 다른 팀으로의 이적 없이 대부분의 시간동안 주전을 꿰차면서[39] 해당 커리어들을 달성했다. 현재 세계 그 누구와 비교하더라도 이 정도의 경력을 가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는 없으며, 최고의 선수라는 위상에 걸맞게 LoL e스포츠 최고의 대회인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과 4대 메이저 리그 중 하나인 LCK 커리어를 각각 떼어놓고 봐도 독보적인 기록[40]들을 보유하고 있다.[41]


3.1.1. 역대 대회 기록[편집]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대 최다 우승 (4회).[42]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최초 2회 연속 우승.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로얄로더 (2013).
  • Mid-Season Invitational 최초 2회 연속 우승.
    • 메이저 국제대회[목록] 최다 우승 (6회).[43]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 우승 (10회).[44][45]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 3회 연속 우승.
  • 국가대표 2회 선발 및 아시안게임 은메달, 금메달리스트.
  • 라이엇 게임즈 주관 3대 메이저 대회 도합 16회 우승.[46]
  • 라이엇 게임즈 주관 모든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최초의 선수.[47]


3.1.2. 개인 기록[편집]


  • 메이저 국제대회[목록] 통산 100승을 달성한 유일한 선수.[48]
  • 모든 메이저 국제대회[목록]에서 MVP로 선정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49]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대 최연소 우승 미드라이너, 최고령 우승 선수[50]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2500킬을 달성한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51]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연소 및 최고령 우승을 달성한 미드라이너.[52]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초로 700전과 500승을 달성한 선수.[53]
  •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최다 경기 출전, 최다 승리, 최다 킬, 최다 데스, 최다 어시스트[54]
  •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역사상 최초로 논 캘린더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선수[55]

그 외 팀 관련 기록들은 T1/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 참고.


3.2. 주요 경력[편집]


우승 경력
HOT6 Champions Summer 2013 우승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우승

MVP Ozone

SK telecom T1
SK telecom T1 K


Samsung Galaxy Blue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우승
Taipei Assassins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White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우승
인비테이셔널 출범

SK telecom T1 K

Edward Gaming[56]
IT ENJOY NLB Summer 2014 우승
CJ Entus Frost

SK telecom T1 K

Anarchy[57]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kt 롤스터 애로우즈
kt Rolster Arrows]]

SK telecom T1[58]

ROX Tigers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우승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우승

Samsung Galaxy White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2015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59]
Team ICE

Team Fire[60]

Team ICE
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우승
Team SoloMid

SK telecom T1

Flash Wolves
2016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2017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Edward Gaming

SK telecom T1

Royal Never Give Up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ROX Tigers

SK telecom T1

Longzhu Gaming
2018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2019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2020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우승

LPL

Team East
LCK
LCK


대회 취소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kt Rolster

SK telecom T1
SK telecom T1
T1
[61]

DAMWON Gaming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LPL[62]

LCK[63]

폐지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우승
DWG KIA

T1

Gen.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중국

대한민국

미정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 우승
DRX

T1

미정
준우승 경력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준우승
Xenics United[64]

SK telecom T1

폐지[65]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Oh My God[66]

SK telecom T1

Counter Logic Gaming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준우승
Team Ice

Team Fire

LMS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대회 출범

LCK[67][68]

LPL[69]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kt Rolster

SK telecom T1

Afreeca Freecs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Samsung Galaxy

SK telecom T1

Fnatic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은메달
종목 채택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Gen.G

T1

Gen.G
2022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DWG KIA

T1

Bilibili Gaming Pingan Bank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Gen.G

T1

미정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DWG KIA

T1

Weibo Gaming Faw Audi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준우승
대회 출범

Team Faker

미정
수상 경력
HOT6 Champions Summer 2013 MVP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MVP

배어진
(MVP Ozone)

이상혁
(SK telecom T1)
이상혁
(SK telecom T1 K)


배어진
(Samsung Galaxy Blue)
2013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미드 부문 최우수 선수상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미드 부문 인기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미드 부문 인기상

정민성
(CJ Entus Frost)

이상혁
(SK telecom T1)


폐지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포스트시즌 MVP[70]
이지훈
(SK telecom T1)

이상혁
(SK telecom T1)


이호성
(SK telecom T1)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최우수 선수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최우수 선수상

시상 출범

이상혁
(SK telecom T1)


폐지
2015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2016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e-스포츠 대상

SK telecom T1 K[71]

이상혁
(SK telecom T1)


폐지[72]
2016 Mid-Season Invitational 결승 MVP
결승 MVP 출범[73]

이상혁
(SK telecom T1)


이재완
(SK telecom T1)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MVP
장경환
(SK telecom T1)

이상혁
(SK telecom T1)


박재혁
(Samsung Galaxy)[74]
The Game Awards 2017 최고의 e스포츠 선수
Marcelo David
(SK Gaming)

이상혁
(SK telecom T1)


Dominique McLean
(Echo Fox)
2023 e스포츠 어워드 올해의 선수상
Oleksandr Kostyliev
(Natus Vincere)

이상혁
(T1)


미정
The Game Awards 2023 최고의 e스포츠 선수
Jacob Whiteaker
(OpTic Gaming)

이상혁
(T1)


미정
2023 LCK 어워드 올해의 선수
김건우
(DRX)

이상혁
(T1)


미정
2023 LCK 어워드 포지션별 올해의 선수
김건우
(DRX)

이상혁
(T1)


미정

e-스포츠 명예의 전당
2018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19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20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2022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스타즈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히어로즈


LCK 어워드 선정
2021 LCK 어워드 카카오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상
2022 LCK 어워드 BBQ 베스트 이니시에이팅 플레이어 상
2023 LCK 어워드 OP.GG 서치 킹


4. 플레이 스타일[편집]


정말 메시네요, 메시. 이건 저희가 붙이는 게 아니라 선수들이 붙여준 별명입니다![75]

김동준 해설 위원[76]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상혁/플레이 스타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솔로 랭크[편집]


계정
시즌
최고
최종

SKT T1 Faker[77]
2012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78]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2위]
2013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1위]
2014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2위]
2015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1[월즈]

Hide on bush
2013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2014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2015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2[월즈]
2016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2[월즈]
2017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파일:lol_diamond_old.jpg 다이아몬드 1[월즈]
2018
파일:lol_challenger_old.jpg 챌린저
파일:lol_master_old.jpg 마스터[휴가]
2019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
파일:lol_grandmaster_1.png 그랜드 마스터[월즈]
2020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
파일:lol_master_1.png 마스터[휴가]
2021
파일:lol_challenger_1.png 챌린저
파일:lol_master_1.png 마스터[월즈]
2022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월즈]
2023
파일:lol_challenger_s2022.png 챌린저
-

월별 순위 (2012. 7.~2023. 2.)

[ 펼치기 · 접기 ]
년월
소환사명
순위
티어


승률
2012. 7.
고전파
26
2327
169
104
61.90%
2012. 8.
고전파
6
2433
233
157
59.74%
2012. 9.
고전파
8
2502
245
165
59.76%
2012. 10.
고전파
4
2595
257
169
60.33%
2012. 11.
고전파
2
2704
277
178
60.88%
2012. 12.
고전파
1
2536
57
27
67.86%
2013. 1.
고전파
1
2583
61
27
69.32%
2013. 2.
-
-
-
-
-
-
2013. 3.
SKT T1 Faker
38
챌린저 107LP
156
-
-
2013. 4.
SKT T1 Faker
21
챌린저 401LP
181
-
-
2013. 5.
SKT T1 Faker
13
챌린저 555LP
210
-
-
2013. 6.
SKT T1 Faker
15
챌린저 497LP
281
-
-
2013. 7.
SKT T1 Faker
4
챌린저 876LP
-
-
-
2013. 8.
SKT T1 Faker
2
챌린저 919LP
362
-
-
2013. 9.
SKT T1 Faker
315
다이아몬드 I 75LP
364
272
57.23%
2013. 10.
SKT T1 Faker
28
챌린저 281LP
397
296
57.29%
2013. 11.
SKT T1 Faker
1
챌린저 886LP
431
315
57.77%
2013. 12.
SKT T1 Faker
4
챌린저 901LP
472
358
56.87%
2014. 1.
SKT T1 Faker
199
챌린저 0LP
31
16
65.96%
2014. 2.
SKT T1 Faker
4
챌린저 889LP
109
62
63.74%
2014. 3.
SKT T1 Faker
1
챌린저 1121LP
149
80
65.07%
2014. 4.
SKT T1 Faker
1
챌린저 1119LP
158
87
64.49%
2014. 5.
Hide on bush
68
챌린저 528LP
219
159
57.94%
2014. 6.
Hide on bush
21
챌린저 694LP
332
263
55.80%
2014. 7.
Hide on bush
3
챌린저 974LP
412
326
55.83%
2014. 8.
SKT T1 Faker
22
챌린저 711LP
327
231
58.60%
2014. 9.
SKT T1 Faker
2
챌린저 1176LP
369
260
58.66%
2014. 10.
SKT T1 Faker
2
챌린저 1211LP
370
263
58.45%
2014. 11.
SKT T1 Faker
2
챌린저 1182LP
380
269
58.55%
2014. 12.
Hide on bush
3
챌린저 1135LP
693
592
53.93%
2015. 1.
SKT T1 Faker
2
챌린저 8LP
43
22
66.15%
2015. 2.
SKT T1 Faker
1
챌린저 1251LP
151
104
59.22%
2015. 3.
SKT T1 Faker
8
챌린저 1049LP
271
226
54.53%
2015. 4.
SKT T1 Faker
1
챌린저 1309LP
325
257
55.84%
2015. 5.
SKT T1 Faker
1
챌린저 1259LP
325
257
55.84%
2015. 6.
Hide on bush
4
챌린저 1228LP
233
137
62.97%
2015. 7.
Hide on bush
3
챌린저 1187LP
233
140
62.47%
2015. 8.
SKT T1 Faker
2
챌린저 1251LP
519
426
54.92%
2015. 9.
SKT T1 Faker
3
챌린저 1244LP
521
427
54.96%
2015. 10.
SKT T1 Faker
1454
다이아몬드 I 25LP
521
427
54.96%
2015. 11.
SKT T1 Faker
1604
다이아몬드 I 100LP
532
436
54.96%
2015. 12.
SKT T1 Faker
1
챌린저 1290LP
634
520
54.94%
2016. 1.
Hide on bush
403
다이아몬드 I 90LP
33
17
66.00%
2016. 2.
Hide on bush
126
챌린저 505LP
96
79
54.86%
2016. 3.
Hide on bush
18
챌린저 899LP
210
164
56.15%
2016. 4.
Hide on bush
14
챌린저 1012LP
281
222
55.86%
2016. 5.
Hide on bush
297
마스터 447LP
324
256
55.86%
2016. 6.
Hide on bush
749
마스터 76LP
383
332
53.57%
2016. 7.
Hide on bush
80
챌린저 767LP
447
368
54.85%
2016. 8.
Hide on bush
64
챌린저 786LP
478
397
54.63%
2016. 9.
Hide on bush
78
챌린저 637LP
538
453
54.29%
2016. 10.
Hide on bush
1684
다이아몬드 I 25LP
538
453
54.29%
2016. 11.
Hide on bush
2421
다이아몬드 II 92LP
540
457
54.16%
2016. 12.
Hide on bush
64
챌린저 505LP
-
-
-
2017. 1.
Hide on bush
53
챌린저 643LP
-
-
-
2017. 2.
Hide on bush
28
챌린저 777LP
-
-
-
2017. 3.
Hide on bush
100
챌린저 574LP
-
-
-
2017. 4.
Hide on bush
116
챌린저 530LP
-
-
-
2017. 5.
Hide on bush
472
마스터 127LP
-
-
-
2017. 6.
Hide on bush
151
챌린저 422LP
-
-
-
2017. 7.
Hide on bush
49
챌린저 695LP
-
-
-
2017. 8.
Hide on bush
45
챌린저 744LP
-
-
-
2017. 9.
Hide on bush
6
챌린저 1163LP
878
785
52.80%
2017. 10.
Hide on bush
394
마스터 115LP
892
795
52.87%
2017. 11.
Hide on bush
1128
다이아몬드 I 50LP
895
799
52.83%
2017. 12.
Hide on bush
116
챌린저 578LP
1010
932
52.01%
2018. 1.
Hide on bush
259
마스터 144LP
51
39
56.67%
2018. 2.
Hide on bush
86
챌린저 576LP
94
75
55.62%
2018. 3.
Hide on bush
52
챌린저 785LP
248
211
54.03%
2018. 4.
Hide on bush
82
챌린저 680LP
322
284
53.14%
2018. 5.
Hide on bush
7
챌린저 1006LP
467
416
52.89%
2018. 6.
Hide on bush
3
챌린저 1216LP
549
477
53.51%
2018. 7.
Hide on bush
5
챌린저 1134LP
714
631
53.09%
2018. 8.
Hide on bush
9
챌린저 1015LP
721
638
53.05%
2018. 9.
Hide on bush
17
챌린저 864LP
775
698
52.61%
2018. 10.
Hide on bush
277
마스터 275LP
-
-
-
2018. 11.
Hide on bush
202
마스터 473LP
-
-
-
2018. 12.
Hide on bush
60
챌린저 649LP
-
-
-
2019. 1.
Hide on bush
-
다이아몬드 I 54LP
-
-
-
2019. 2.
Hide on bush
386
그랜드마스터 354LP
-
-
-
2019. 3.
Hide on bush
597
그랜드마스터 157LP
-
-
-
2019. 4.
Hide on bush
85
챌린저 681LP
184
188
49.46%
2019. 5.
Hide on bush
499
그랜드마스터 459LP
-
-
-
2019. 6.
Hide on bush
198
챌린저 707LP
240
246
49.38%
2019. 7.
Hide on bush
124
챌린저 837LP
-
-
-
2019. 8.
Hide on bush
63
챌린저 966LP
429
431
49.88%
2019. 9.
Hide on bush
4
챌린저 1340LP
-
-
-
2019. 10.
Hide on bush
-
다이아몬드 I 50LP
-
-
-
2019. 11.
Hide on bush
513
그랜드마스터 570LP
-
-
-
2019. 12.
Hide on bush
65
챌린저 1110LP
623
611
50.49%
2020. 1.
Hide on bush
1177
다이아몬드 I 91LP
24
26
48.00%
2020. 2.
Hide on bush
1387
마스터 10LP
75
80
48.39%
2020. 3.
Hide on bush
391
그랜드마스터 466LP
-
-
-
2020. 4.
Hide on bush
350
그랜드마스터 582LP
209
190
52.38%
2020. 5.
Hide on bush
132
챌린저 901LP
275
242
53.19%
2020. 6.
Hide on bush
103
챌린저 895LP
301
265
53.18%
2020. 7.
Hide on bush
84
챌린저 918LP
380
338
52.92%
2020. 8.
Hide on bush
407
그랜드마스터 571LP
-
-
-
2020. 9.
Hide on bush
777
그랜드마스터 370LP
-
-
-
2020. 10.
Hide on bush
897
그랜드마스터 391LP
-
-
-
2020. 11.
Hide on bush
1567
마스터 169LP
579
575
50.17%
2020. 12.
Hide on bush
559
그랜드마스터 631LP
-
-
-
2021. 1.
Hide on bush
320
마스터 162LP
-
-
-
2021. 2.
Hide on bush
386
그랜드마스터 378LP
211
189
52.75%
2021. 3.
Hide on bush
426
그랜드마스터 457LP
-
-
-
2021. 4.
Hide on bush
719
그랜드마스터 342LP
-
-
-
2021. 5.
Hide on bush
335
그랜드마스터 681LP
400
360
52.63%
2021. 6.
Hide on bush
200
챌린저 868LP
-
-
-
2021. 7.
Hide on bush
599
그랜드마스터 573LP
-
-
-
2021. 8.
Hide on bush
466
그랜드마스터 634LP
-
-
-
2021. 9.
Hide on bush
286
챌린저 750LP
-
-
-
2021. 10.
Hide on bush
-
다이아몬드 I 50LP
-
-
-
2021. 11.
Hide on bush
1309
마스터 351LP
-
-
-
2021. 12.
Hide on bush
226
챌린저 924LP
-
-
-
2022. 1.
Hide on bush
184
그랜드마스터 403LP
-
-
-
2022. 2.
Hide on bush
146
챌린저 622LP
-
-
-
2022. 3.
Hide on bush
235
챌린저 627LP
184
164
52.87%
2022. 4.
Hide on bush
160
챌린저 721LP
-
-
-
2022. 5.
Hide on bush
142
챌린저 941LP
-
-
-
2022. 6.
Hide on bush
123
챌린저 1002LP
-
-
-
2022. 7.
Hide on bush
70
챌린저 1097LP
-
-
-
2022. 8.
Hide on bush
188
챌린저 900LP
-
-
-
2022. 9.
Hide on bush
128
챌린저 970LP
524
465
52.98%
2022. 10.
Hide on bush
8175
다이아몬드 I 75LP
524
465
52.98%
2022. 11.
Hide on bush
-
다이아몬드 I 98LP
-
-
-
2022. 12.
Hide on bush
405
그랜드마스터 792LP
-
-
-
2023. 1.
Hide on bush
301
그랜드마스터 275LP
49
40
55.06%
2023. 2.
Hide on bush
152
챌린저 623LP
117
96
54.93%

데뷔 전부터 솔랭 패왕으로 유명했고 한동안 최상위권을 달렸으나 위 랭크 괄호에 적혀있듯이 월즈 출전 시즌에는 일정을 소화하느라 휴면 강등을 당하기에 솔랭 상위권을 기대하긴 힘들다.

시즌 2부터 본격적으로 솔로 랭크에서 유명세를 탔으며, 최종 2위로 마무리했다. 원래 당시 솔로 랭크는 라일락건웅이 지배하고 있었다. 이 때 페이커가 급격히 떠오르며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한 때 1위를 찍기도 했다. 시즌 말미에 라일락과 마지막까지 접전을 벌였지만 결국 라일락이 1위를 차지했다.

시즌 3때는 한국 서버 1위를 달성했다. 시즌 내내 앰비션, 썸데이 등과 함께 최상위권을 유지했고 가장 유력한 1위 후보였다. 월즈를 다녀오느라 휴면 강등당했으나, 지금과 달리 이때는 월즈 개막이 한 달 정도 빨랐기 때문에 갔다오고 나서도 빡세게 돌리면 다시 올릴 시간이 되었다. 다만 세기말 마지막 게임에서 도파[79]가 페이커를 밀어준 일이 있었다. 당시 페이커와 도파가 적으로 만났는데, 페이커가 승리하면 썸데이를 제치고 최종 1위를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도파 쪽 팀이 유리한 상황으로 흘러가 썸데이의 1위가 유력해졌는데, 잘 큰 도파가 '미드 라이너가 1위를 해야 한다'는 해괴한 동기로 고의 트롤링을 해서 페이커가 1위가 된 것.[80] 썸데이는 이 결과를 실시간으로 지켜본 뒤 크게 분노하며 '압도개새기'라는 외마디를 남겼다. 썸데이는 곧바로 1위 탈환을 위해 급하게 랭겜을 돌렸으나, 1시간이 넘게 큐가 잡히지 않아 결국 끝내 게임을 못해 페이커의 1위가 최종 확정되었다. 고의적인 밀어주기로 1위를 달성했다는 점에서 당시 상당한 화젯거리였으며 롤을 즐기는 플레이어들에게는 유명한 사건으로 남았다.

시즌 4 시작 후 치러진 배치 고사를 3승 7패로 시원하게 말아먹었다. 같은 팀원들이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엿 먹여보겠나"라는 생각으로 게임을 던졌다고 한다. 물론 상대편도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페이커를 이겨보겠나' 하고 열심히 게임했다. 그리하여 플래티넘 1에 배치되는 놀라운 광경을 보여주었다.[81] 그리고 45게임 만에 챌린저에 입성했다. 이후엔 1위를 계속 유지하다가 막판 나그네의 엄청난 연승에 아쉽게 밀려 2위로 마쳤다. 데프트가 한때 무려 17주 연속 1위를 달성하기도 하고 페이커도 1위 후보였으나, 세기말에 나그네가 상승세를 타서 1위에 올랐다.

시즌 5는 다이아몬드로 마쳤다. 한때는 챌린저 1,325점까지 찍고, 뱅과 함께 1위~4위를 독점해서 사실상 뱅과 누가누가 솔랭 1등을 하나 싸움이었다. 그런데 월즈 때문에 랭을 돌리지 못한 사이 다이아 2티어 75포인트까지 휴면 강등되어 버렸다. 이후 한국으로 복귀해서 다이아 1티어(마스터 승격전)까지 올렸으나, 결국 다이아 1티어로 시즌을 마감했다. 그런데 이때 월즈 종료 시점과 시즌 종료 텀이 너무 짧아서, 돌아오자마자 솔랭만 밤낮으로 돌리지 않는 이상 1위 탈환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했다. 거기다가 연이어서 케스파컵까지 열려서 더더욱 불가능한 미션이었다. 또한 매칭 기준 MMR은 변동이 없어서 매칭도 잘 안되고 자신은 다이아 승급전인데 나머지가 죄다 챌린저라는 억울한 상황이라 더더욱 그렇다. 사실 1,325점까지 찍었던 시기도 이때 최초 챌린저 1,300점대 돌파를 했는데 그해 MSI를 갔다 오는 바람에 천 점대로 한 번 하락했다.

이후 프리시즌에 기어코 본캐 1등, 부캐 4등으로 마무리했다. 재밌게도 이날 프리시즌 종료 마지막 날까지 프레이와의 계속된 1위 경쟁이 치열했는데, 시즌이 종료되기 전 마지막 게임에서 1위를 탈환하려는 프레이(2위)와 부캐를 돌리고 있던 페이커가 만났고(4위), 페이커 팀이 패배했다. 그렇게 프레이가 1등을 하나 싶었는데...

시즌 6 들어선 다인 랭크가 도입돼서 다인큐가 판을 치는 상황이라 서버 최상위권에 쉽게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 페이커 본인은 다인큐보다는 솔큐를 훨씬 선호하기 때문에 시즌 초 다인큐를 몇번 돌린거 이외에는 전부 솔큐로만 돌리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결국 최대 1,209점까지 찍으며 상위 5위권 안에 들었지만, MSI를 갔다 오는 바람에 휴면 계정이 되어서 다시 한 번 다이아까지 떨어졌다. 다시 챌린저로 올렸으나, 계속된 패배 속에 마스터 69점까지 떨어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팀원 탓, 불운 탓 등 이에 대한 이유로 여러 말들이 나왔으나, 일단 1지망 미드, 2지망 상관없음으로 랭겜을 돌리면 서포터 유저 부족 때문에 본인이 서포터가 걸리는 상황이 대부분이었다. 거기다 본인 성격상 미드 양보 해달라는 채팅은 거의 안 하다 보니 서포터로 게임하는 판이 많았다. 참고로 페이커뿐 아니라 SKT 멤버들 전원이 이 당시에는 마스터를 전전하고 있었다. 이때 진지하게 다이아 미드를 방송에서 보게 되느냐는 소리도 나왔으나, 1지망 미드 - 2지망 정글(탑)으로 바꾼 뒤, 다시 한 번 챌린저로 복귀하는 데 성공했다.

월즈를 앞둔 시점에서 랭크 점수를 보면 폼이 떨어진 것이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좋지 않았다. 다만 랭크 점수에는 페이커의 즐겜 성향도 한몫했다. 이 문단에 서술된 캡틴잭과의 일화도 있고 다른 챌린저들 중에도 페이커에 대한 안 좋은 기억을 갖고 있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들 말에 따르면 페이커는 나랑 같은편으로 걸리면 즐겜해서 지게 만들고 그 다음판에 상대편으로 만나면 빡겜해서 2연패하게 만든다고. 그러나 솔랭은 솔랭일 뿐이란 걸 증명하듯 귀신같이 월즈를 우승하고 그 와중에 북미 솔랭을 씹어먹으며 클래스를 입증했다. 특히 라이즈는 리메이크 후로도 26게임 승률 85%를 찍고 있다. 덕분에 고전파의 신드라월즈의 라이즈는 게임마다 칼밴 목록에서 해제되지 않았다.

시즌 7에는 1,215점까지 올라갔었으나 이후 월즈로 인해 다이아 1 25점까지 휴면 강등되고 월즈가 끝나고 한국으로 돌아온 후에는 피즈 1판을 플레이한 후 승리로 끝내 다이아 1 50점으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시즌 8에서는 6월 14일에 랭킹 1위를 달성했다.

시즌 9에서는 다이아에서 첼린저 및 서버 3등 이내까지 달성하였으나 결국 최종적으로 그랜드 마스터로 시즌이 마감되었다.

시즌 10 배치가 아쉽게 끝나며 다이아몬드에 배치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발생했다. 스프링 종료까지 그랜드 마스터를 유지하다가 휴가 복귀 후 파죽의 13연승으로 챌린저 입성에 성공했다. 10월 15일 기준 휴가로 인해 휴면 강등되었으나 다시 그랜드 마스터까지 복구했다.

그러나 2020년 11월 5일, 솔로 랭크 마감일이 4일 남은 상황에서 챌린저는 무리고 잘해야 그랜드 마스터, 또는 마스터로 시즌을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

페이커는 노닷지, 노듀오, 노밴의 세 가지 규칙을 솔랭에서 유지해오고 있고[82] 같은 팀으로 잡힌 사람들은 본인이 지정한 라인과 다르게 잡혀도 페이커와 게임을 같이 하기 위해 닷지를 하지 않고, 보통 페이커가 솔랭을 할 시간에는 거진 방송을 킨 경우가 많기에 은근슬쩍 도방을 하거나 아예 듀오로 저격을 하거나 저격 트롤을 하는 사람들도 많이 존재한다. 2021년에 들어서는 방송을 켰을 때 방플 방지를 목적으로 송출에 30초 정도 딜레이가 있다.

시즌 11 시작 전에 라이엇이 마스터 이상 듀오 제한을 걸면서 좀 나아지나 싶었지만, 방송과 동시에 부계정 저격으로 의심되는 사람들과 서로 싸우고 고의 트롤을 하는 중국인들로 인해 피해는 여전히 일부 존재한다. 여담으로 페이커와 같이 게임을 잡힌 고의 트롤 혹은 게임을 던지는 행동이 고스란히 방송에 나와서 페이커가 직접 리폿을 한 계정들이 정지 한 번 먹지 않고 돌아다니고 있는걸 보고 라이엇의 신고 정책에 신뢰가 가지 않는다며 본인이 직접 말하기까지 하였다.[83] 실제로 중국에서 페이커 솔랭 방송의 승패 여부를 베팅하는 토토 사이트가 발견이 되어서 고의 트롤러가 이에 연계된 세력이 아닐까 하고 팬덤 사이에서 의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이슈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기사에도 언급될 때쯤 거짓말처럼 팀운이 좋아졌다.[84]

게다가 라이엇이 2020년 12월 말부터 솔랭 불법 토토를 계기로 중국에서 한국 서버를 이용할때 핑 문제를 해결하는 비인가 프로그램을 차단하고 불법 도용 계정들을 전부 차단하는 정책을 펼쳤었는데 2021년 5월이 지난 지금 여전히 그마 혹은 챌린저에 중국인들로 추정되는 계정들이 다수 포진되어있는 걸로 보아 추가적인 조치는 하지 않은걸로 추정 중.

그러나 참여자가 조작이 가능한 도박이 지속될 가능성은 0에 가깝기 때문에 여러 의견이 오가기도 했다. 도유 방송에서 중국인이 페이커에게 고의 트롤을 저지르고 난 너희들의 영웅이다라는 식의 의심스러운 대화가 오갔던 사건도 있지만 결정적으로 이런 것들은 모두 심증이었으나... 국내 챌린저와 프로게이머를 대상으로 소위 현상금이 걸리는 대리게임 기사들의 카카오톡이 유출되었고, 이로서 조직적으로 특정인을 저격해 트롤링을 하며 수익을 올리는 업자들이 존재함을 밝혀졌다. 한낱 스트리머, BJ에게 개인적 원한따위의 하찮은 것만으로도 특정인의 아이디를 조직적으로 점수를 깎아내는것이 가능하다는것이 알려지면서 중국인의 페이커 고의트롤링은 거의 100% 사실에 가깝다고 밝혀진 상태. 해당 링크.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종료 이후, 월즈 패치 버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던 벡스로의 연승을 필두로 랭크를 1100점까지 끌어올리며, 실로 오랜만에[85] 프리 시즌을 챌린저로 마무리하게 되었다.


6. 개인 방송[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상혁/개인 방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별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상혁/별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8.1. 솔로랭크 중 일반인 유저에 대한 발언 관련[편집]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일부 존치(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년 4월 27일 솔로 랭크 방송중 # 팀의 한타 승리 이후 바론을 먹는 상황에서 정글러의 체력이 얼마 남지 않았고 상황이 긴박하므로 페이커는 바드가 바론의 딜을 맞아줘야 하는데 맞아주지 않는다고 "탱좀해 바드야", "진짜 밉.." 이라며 바드에게 핑을 찍기 시작했다.

결국 바론을 처치함과 동시에 바드가 베이가에게 잡히고 페이커의 벡스는 살아난 적팀 제라스의 궁에 사망한다. 그 뒤 페이커는 바드에게 핑을 6번 찍으며 "뭐하는 사람이지.", "어뷰징인가.", "리플 한번 봐야겠다.", "아까부터 너무 심한데? 왜저러지?", "나 쟤땜에 너무 스트레스 받는데?" "나 진짜 저런 애들 혐오하거든요." 라는 발언을 연속으로 내뱉었고, 결국 방송을 보던 일부 악질 팬들이 대량으로 몰려가 성훈의 방송 채팅창, 유튜브 댓글을 테러하기 시작했다.

동시에 사이버 렉카들이 성훈을 챌린저 실력에 맞지 않는 어뷰징 유저로 단정하는 영상들을 잇달아 업로드하며 방송 채팅, 유튜브 댓글창에서 비난이 일었다. 규모가 작은 방송인 입장에선 감당하지 못할 일방적인 비난이 쏟아져 결국 성훈은 방송에서 죄송하다는 말을 했다. 방송에서 성훈은 당시 할아버지의 장례식을 치룬 상황이라 정신이 없어서 그랬다며 사과를 하고 일단락 지었다.

이후 다음 판에서 페이커가 성훈에게 패배하였고, 해당 게임에서 성훈의 행적은 어뷰징으로 보기 어려웠던 만큼 이 시점부터 성훈의 무고함은 증명되었고 렉카들은 영상을 내리기 바빴다.

당시 T1은 2022 LCK 스프링 전승 우승이라는 쾌거를 이뤘기 때문에 강팀의 팬덤 기세가 강한 롤 팬덤판의 특징상 대다수의 T1 팬들이 각종 커뮤니티를 소위 '먹은' 상태였기 때문에 해당 사건을 언급하는 글들은 크게 문제되지 않고 묻혀 논란이 커지지 못했다. 하지만 2022 MSI에서 T1이 RNG에게 패배하며 우승에 실패하자 T1 팬들을 밀어내고 타팀 팬덤이나 T1의 안티팬들이 몇몇 커뮤니티에서 목소리를 내자 해당 사건이 다시 논란이 되기 시작했다.

페이커가 LOL E스포츠 판에서 가지는 영향력이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방송중에 한 비판 발언은 일반인 유저가 감당하기엔 너무 컸다는 주장이 있다.

이 사과 이후로 성훈은 유튜브 업로드를 중단했다가 복귀했다.


8.1.1. 정말 성훈의 잘못인가?[편집]


내셔 남작의 패시브 스킬 중 하나인 '남작의 시선'은 내셔 남작 자신이 마지막으로 공격한 유닛에게서 8초동안 50% 감소한 피해를 입는 패시브 스킬이다. 바론 사냥시 이러한 패시브 때문에 DPS가 낮은 탱커나 서포터 챔피언이 바론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여 탱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당시 상황에서 살아남은 팀원은 4명이었고 탱커가 없었기 때문에 누구든 바론에게 맞는 한대 한대가 치명적이었으며, 바드 역시 탱템이 아니라 만년서리 등 AP 템을 올리는 빌드인데다가 체력이 절반 정도밖에 없었기 때문에 충분히 번갈아가면서 탱을 할만한 상황이었다.

심지어 바드가 바론에게 탱킹을 하러 들어가자 페이커가 백핑을 찍어 바드에게 혼란을 주는데 바드가 페이커 방송을 보고 있는 것도 아니기에 백핑으로는 제대로 된 의사 전달을 받을 수 없으며, 그렇게 답답했으면 본인이 채팅으로 지시를 했으면 됐었지만 페이커는 백핑으로만 일관했다.

또한 당시 챔피언 조합 역시 바론을 그렇게 잘 잡는 조합도 아니었다. 벡스는 누킹 스타일의 챔피언이라 지속딜이 좋지 못하며 케이틀린도 챔피언 특성상 3~4 코어 이전에는 데미지 기댓값이 낮은 챔피언에 속한다. 거기에 가장 강한 탈론도 체력 관리가 안 된 상황이니 바론이 느린 것은 당연한 것이다.

물론 결과가 최악의 결과로 이어졌지만 바드의 선택이 어뷰징 취급을 받을정도로 근거없는 판단은 아니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2020년부터 페이커는 중국 내 불법 온라인 사이트에서 승패를 놓고 하는 도박으로 인하여 상당한 어뷰징 피해를 겪고 있었으며, 이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도 어뷰징 유저들을 방송 내에서 자주 만나곤 했다. 이 때문에 시청자들 사이에서 '페문철'로 불릴 정도로 리플을 통한 어뷰징 검증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러한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페이커의 이번 발언이 특정 유저들로부터 강하게 비판을 받는 이유는 페이커의 행동으로 인해 일반인 유저가 팀 팬들에게 테러를 당하는 연쇄작용으로 이어져서다. 설령 자신의 입장에서 정말 바드를 플레이한 유저가 어뷰징으로 보일 수 있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는 의심 정도만 하고 게임 끝난 뒤 리폿을 하든 하는 것이 일종의 메뉴얼 같은 대처 방법이다. 솔로 랭크에서도 트롤링을 하는 유저에게 욕을 하게 되면 전후사정에 관계 없이 욕을 한 유저도 처벌을 받게 된다. 대다수의 유저들이 불필요한 감정싸움을 하지 않고 끝날 때까지 기다리다가 리폿 버튼만 누르는 방식으로 넘기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다. 과거 LPL 프로 칭티안의 어뷰징 당시 라이엇 단위에서 빠른 일처리를 해주었을 정도로 페이커의 영향력은 높은데, 이것을 감안하지 않은 미숙한 언행이었다.

또한 기본적으로 솔로 랭크에서 만난 유저는 자신이 아는 사람이 아닌 이상 어떤 방식으로도 특정할 수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 솔로 랭크에서 룰루, 소나, 잔나가 모스트인 유저를 보고 여자라 특정하거나 "혜지" 라고 지칭하고 비난 채팅을 하는 것도 꽤나 오래된 관례처럼 굳어져버렸으나 최소한의 상식이 있다면 이게 근본적으로 잘못된 행동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다. 자신이 아는 사람도 아니고 그 날 처음 만난 사람을 상대로 행하는 차별적인 행동이기 때문이다.

작년 담원 기아의 고스트와 베릴이 받았던 비판도 비슷한 맥락인데, 자신이 느끼기에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일반인을 상대로 솔로 랭크 유저들이나 할 법한 유틸형 서포터 관련 발언을 프로 선수가 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실제로 대부분의 유저들은 순당무가 피해자라는 입장이었지만 일부는 도파의 서폿론을 근거로 하여 "유틸형 서포터는 원래보다 티어를 훨씬 낮게 평가하는 게 맞다" 는 의견을 유튜브 커뮤니티 댓글 등에서 밀면서 명백하게 피해를 입은 순당무에게 역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을 정도니, 그 역풍이 상당했던 것이다. 자신이 말했던 유저가 이미 솔로 랭크에서 악명이 자자했고 트롤링을 서슴지 않는 진짜 어뷰저였다면 페이커의 발언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비판을 받을 만한 사람에게 정당한 비판을 가한 것이 무슨 문제가 되겠는가?

그러나 의심한 유저의 진짜 정체는 수많은 인터넷 방송인들처럼 똑같이 플레이를 하던, 별다른 구설수가 없었던 평범한 아마추어 챌린저 유저였고 이 순간 페이커의 발언 역시 정당성을 잃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플레이가 맞냐 틀리냐에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명이 보는 앞에서 LOL의 GOAT라는 평가를 받는 선수가 타 유저가 어떤 유형인지 자세히 알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방송 중의 발언으로 무고한 피해자가 생기는 원인을 간접적으로 제공을 하였기 때문에 자신의 영향력을 생각하지 않고 조금 급하게 행동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하다못해 페이커보다 훨씬 커리어가 적은 고스트와 베릴의 발언에도 동조하는 유저가 있었을 정도였는데 하물며 페이커의 영향력은 더할 수 밖에 없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물론 이 사건의 가장 큰 가해자는 T1의 악성 팬덤과, 페이커나 T1이라는 이름값에서 나오는 조회수를 얻기 위해 악의적으로 자극적인 영상을 만든 사이버 렉카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건의 원인을 자신이 의도했든, 하지 않았든 페이커 본인이 제공한 것 역시 사실이다.

특히 바드 유저가 어뷰징 유저가 아닌 것이 밝혀진 시점에서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자신의 경솔한 발언에 대한 사과를 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당장 상술된 고스트, 베릴도 사건이 발생한 이후 순당무에게 직접 진심 어린 사과를 했는데, 페이커와 T1게임단은 해당 사건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것이 해당 사건의 논란을 더더욱 키우고 있는 이유이다.

9. 여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상혁/여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23:09:41에 나무위키 이상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 B 한국서버 최종 1위. 2013 시즌 월즈는 10월 초에 일정이 끝나서 대회 기간 중 다이아몬드까지 휴면 강등되었음에도 다시 1위를 찍을 수 있었다. [2] A B C 한국서버 최종 2위[3] # 중시조 39세 相◯ 항렬.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 이명박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바둑기사 이세돌과 동일한 항렬이다.[4]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공식 프로필 기준 #[5] 어린 시절 부모님의 이혼으로 인해 할머니와 고모 손에 자랐다. 현재도 할머니와는 같이 사는 중이다. 페이커의 할머니는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출생으로, 여러 분야의 회사를 다니다가 현재는 수필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생활문학 홍보담당 부회장 직책을 맡고 있다. 페이커와 함께 몇십 년 간 동고동락하며 얻은 추억을 담아낸 수필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재고가 상당히 적은 게 흠이지만, 작품을 읽어본 사람들은 대체로 호평했다. # 안동 권씨 35세 五◯ 悟○ 肅○ 梧○ 항렬로 추정된다.[6] 2021년 다산북스에서 출판한 Who?에서는 이상빈이라는 가명으로 나온다. 과거 '페이커 동생'을 사칭하고 다니던 사람들 때문에 본명 명시로 인한 사칭 피해를 막기 위함인 것으로 추정된다.[7] 2학년 재학 중 중퇴. 고등학교 선생님이 페이커의 재능을 알아보고 중퇴를 제안했고 선생님이 아버지를 설득했다고 한다. 따라서 최종 학력은 중졸이다.[8] 데프트와 동문으로 일명 마포고 전설의 듀오로 불린다고 한다. 덕분에 마포고를 지망하는 프로게이머 신입생들도 늘었다는 후문이다. 김성환 전 마포고 교장은 이상혁을 언급했다. #[9] 병역 판정 기준이 개편되기 전에 고등학교를 자퇴했기에 보충역 판정을 받았었다. 이후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 이전에 이미 넘쳐났던 90년대생들의 보충역 적체로 인한 3년 장기대기로 전시근로역 판정까지 받았으므로 예술체육요원으로 편입은 되지 않았다.[10] 본인은 무종교이나 집안은 가톨릭을 믿는 걸로 추정된다. 해당 영상을 보면 본가에 십자가나 성모상 등의 가톨릭 관련 악세사리들이 보인다.[11] 과거 인터뷰 등을 보아 INTP와 ISTP를 왔다 갔다 하는 것으로 보인다.[12] Faker 경력 상금. 2023년 기준, 전 세계 프로게이머 누적 상금 순위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게이머 중 유일하게 100위 안에 들어가며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게이머 중 세계 1위다.[13] SK telecom T1 K 단일팀 이전 (2013. 2. 13.~2014. 12. 2.) 통합 이전까지 SK telecom T1 #2, SK telecom T1, SK telecom T1 K까지, 총 3번의 명칭 변화가 있었다.[14] 시범 종목[15]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2022년에 진행되었어야 할 아시안 게임이지만, 실제로는 2023년에 진행되었다.[16] 아버지 이경준이 직계 존속 에이전트 자격으로 등록되어 있는 1인 에이전시다. 출처[17] 2023년 2월, 페이커 에이전시로 FANABLE이 추가되었다. 출처[18] 2022년 6월 11일 아프리카TV 복귀 공지. 아프리카TV를 떠난 지 약 9년 만의 복귀이다. T1 LoL팀은 아프리카TV와 전속 스트리밍 계약을 맺게 되어 T1 LoL 선수 전부가 아프리카TV로 플랫폼을 이적하게 됐다.#[19] 단일 선수: , 메이코, 데프트, 룰러 / 동료: 듀크, 벵기, 블랭크, , 울프 [20] 참고로 2016 월즈, 2017 스프링, 2017 MSI까지 연속으로 우승했다.[21] 4대 메이저 리그, MSI, Worlds[22] 단일 선수(커리어 그랜드 슬램): , 메이코, 데프트, 룰러 / 동료(논-캘린더 및 커리어 그랜드 슬램): 벵기, , 울프 [23] 이러한 상징성을 바탕으로 리그 오브 레전드라는 한 종목에 국한되지 않고 종목 불문 e스포츠 역사상 최고의 선수로 평하는 사람들도 매우 많다. 물론 개인적인 관점에 따라 과거 스타크래프트를 통해 e스포츠판의 기반을 다진 대표적 인물인 임요환홍진호 혹은 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와는 비교할 수가 없는 커리어를 쌓은 이윤열, 최연성, 이영호, 이제동을 역대 최고로 뽑는 사람도 적지 않다. 하지만 스타크래프트가 비록 초창기 e스포츠판의 기반을 다진 종목이라 할지라도 선수 풀이 한국에만 지나치게 치우쳐져있어 속된 말로 '그들만의 리그'라는 말을 들었지만, 이와 반대로 리그 오브 레전드는 e스포츠 역사상 최고로 성공한 국제 e스포츠 리그이며 장기간 동안 세계구급 치열한 경쟁이 지속되고 있음은 물론 투자되는 자본도 스타크래프트와는 비교가 불가능하기에 이런 종목에서 세계 최고라는 평가를 받은 페이커를 더 쳐주는 것도 사실이다. 물론 종목 별로 어떤 종목이 더 낫다는 식의 경중을 따지는 것은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일대일로 비교하기에는 곤란한 부분이 많다. 또한 자기가 즐겨 했던 게임의 프로게이머를 더 좋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하는데, 당장 스타크래프트를 플레이 한 적이 없는 사람들은 앞서 언급된 홍진호를 프로게이머보다는 방송인으로서, 최연성은 프로게이머보다는 롤 감독으로서 아는 경우가 많으며, 이윤열, 이영호, 이제동은 이름만 들어봤거나 아예 모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와 반대로 스타크래프트를 즐겨 하고 롤은 한 적이 없는 4~50대 세대들은 페이커를 그저 단순히 유명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만 아는 경우도 많다.[24] 2023년 기준으로 13년도부터 지금까지 T1에서만 활동하고 있다. 또한 LCK의 모든 원 클럽 맨들 중 가장 경력이 길다.[25] 2023 시즌 기준으로 월즈 최다 우승자로 유일무이한 기록이다. 2023 월즈 우승 이전에도 최다 우승자였지만 영혼의 동반자 Bengi 배성웅(3회 우승)과 타이 기록이었다.[26] 페이커 이전에 프로게이머의 대명사 격이었던 임요환을 상징하던 문구인 "스타크래프트는 몰라도 임요환은 안다."처럼 현재 페이커한테는 "롤은 몰라도 페이커는 안다."는 문구가 따라 나오고 있다.[27] 물론 LCK 경기 전 도발성 인터뷰 등 트래시 토크에서는 자신을 초고수라고 자칭하며 뚫을 수 있으면 뚫어보라고 하기도 한다.[28] 이 외에도 클템 본인이 개인방송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라인별 역체를 뽑은 적이 있는데, 다른 라인은 여러 선수들을 꺼내며 나름 자기 기준으로 비교한 반면 미드는 다들 아실 거라는 말과 함께 f 한 글자를 적어둔 채로 바로 건너뛰었고, 시청자들 역시도 아무도 이견을 보이지 않았다. 심지어 다른 방송에서는 롤판에서 페이커라는 이름의 아성을 넘을 선수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29] 과거 시즌 2~3까지 LCK가 태동한 초창기 및 팀을(MiG, Azubu, CJ) 상징하던 전설이자 페이커 등장 이전까지 엄청난 슈퍼 플레이를 선보이며 전 세계적으로도 큰 주목을 받았던 선수로, 서포터라는 포지션의 인식을 바꾼 인물이자 세간에 유명세를 떨쳤던 LCK의 1대 슈퍼스타였다.[30] 과거 T1의 상징이었던 임요환조차 군 복무를 제외하더라도 슬레이어즈 팀 창단으로 잠깐 T1을 나간 적이 있었다.[31] 2022년을 기준으로, 2013년 초창기에 레퍼드를 중심으로 진에어 팰컨스로 넘어간 SKT T1 #1, 마린-호로-이지훈-뱅-울프로 구성된 2014년 SKT T1 S를 제외하면 실제로 모든 T1의 롤판 역사와 족적은 곧 페이커와 함께 만들어졌다.[32] 당장 2018 월즈 주제곡인 RISE, 2023 월즈 주제곡인 GODS 모두 전년도 월즈 우승자인 앰비션과 데프트에 대한 헌정곡이다. 두 곡의 뮤비 모두 정상에서 페이커를 만나 승리하여 소환사의 컵을 쟁취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33] 여담으로 페이커가 지켜보는 트위치 방송 채팅으로 등장했는데, 그 중 현역 시절 유명했고 전설로 남게 된 선수들인 매드라이프, 앰비션, 울프가 자신과 관련된 유행어를(매드라이프는 "그저 메멘", 앰비션은 "강찬밥! 강찬밥!", 울프는 "잠재적 골드 4천 차이") 채팅으로 치는 장면이 나왔다. 또한 해외 유명 선수들 중 우지나 클리어러브, 스니키도 채팅창에 잠깐 등장하였다.[34] LCK의 영원한 왕[35] 총 세트 전적(단일+다전제)[36] IEM Worlds Championship[37] 2016년 수상. 2013년도 사실상의 MVP라는 것이 정론이지만 2012년과 2013년도에는 MVP를 선정하지 않았다.[38] 경력에 어울리지 않게 선정 횟수가 적지만, ALL-LCK팀은 페이커가 데뷔 8년차 노장이 된 2020 스프링부터 시상하기 시작했다.[39] 이지훈이 선발 출전해 우승한 2015년 스프링 결승 제외. 여담으로 이지훈과 페이커는 각각 2015 스프링과 2015 서머 포스트시즌 MVP에 선정되었다.[40] 심지어 우승 기록을 똑 떼놓고 준우승 커리어인 월즈 2회 준우승, MSI 2회 준우승, LCK 5회 준우승만 가져와도 웬만한 프로게이머들은 달성하기 힘든 수준인데, 각 대회 우승 횟수가 준우승 횟수들보다 전부 많다는 점에서 얼마나 압도적인 커리어인지를 살펴볼 수 있다.[41] 참고로 IEM, WCG, 롤 마스터즈, 아시안 게임, KeSPA Cup은 라이엇 주관 대회가 아니다.[42] 2013, 2015, 2016, 2023 총 4회 우승. 2위는 3회 우승의 Bengi.[목록] A B C 롤드컵MSI[43] 월즈 4회 우승, MSI 2회 우승, 총 6회 우승 관련 기사, 2위는 4회 우승인 벵기, 뱅, 울프 [44] 4대 메이저 지역을 기준으로 페이커 다음으로 우승한 선수로는 국내를 기준으로는 6번 우승한 칸이 있고, 해외로 눈을 돌리면 LEC에서 10회 우승을 기록한 캡스, LCS에서 8회 우승을 기록한 더블리프트, LPL에서 6회 우승을 기록한 클리어러브가 있다.[45] 마이너 지역까지 포함한다면 LJL에서 무려 15회 우승을 기록한 Yutapon, TCL에서 13회 우승한 HolyPhoenix가 있다.[46] 4대 메이저 리그 + MSI + Worlds(월즈)[47]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Mid-Season Invitational, 리프트 라이벌즈,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의 경우에는 MSI의 전신격으로 펼쳐졌던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4/인비테이셔널. 2022년 월드 챔피언십 이전까지는 페이커가 유일했으나, 데프트가 2022 월즈에서 우승하며 두번째로 달성에 성공했다.[48] 링크. 2019년을 기준으로 공동 2위인 뱅, 울프와 20승 이상 차이가 난다.[49] Worlds와 MSI에서 MVP로 선정된 선수는 페이커가 유일하다.[50] 역대 최연소 우승 선수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시즌1 우승팀 Fnatic의 cyanide가 역대 최연소 우승 선수다. 다만 시즌1은 국제대회로 발돋움하는 과도기 대회라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51] 중국 리그에서 우지, 루키가 LPL 2500킬을 달성했다.
마포고 듀오로 묶이는 데프트는 LPL에서 1000킬을, LCK에서 2000킬을 달성하였고, 이를 도합하여 통산 3000킬을 차지하였다.
[52] 최연소 기록은 자신의 포지션인 미드라이너와 동시에 LCK 전체로 따져도 최연소이기도 하다. 또한 현 LCK 최고령 우승자는 탑 라이너인 플레임의 만 28세이지만 미드라이너로만 한정하면 만 25세 331일의 최고령 기록에 속한다.[53] 700전 달성: 2022년 2월 20일 농심전 2세트. 450승 달성일자: 2022년 1월 20일, 500승 2022년 7월 8일[54] 유일하게 1위가 아닌 기록은 패배. 2023년 1월 21일 기준 김혁규김기인에 이어 3위이다.[55] 라이엇이 주관하는 메이저 대회를 기준으로 한다. 2015 서머, 2015 월즈, 2016 스프링, 2016 MSI 우승.[56] EDG가 우승한 2015년부터는 Mid-Season Invitational이라는 명칭으로 올스타전과 분리되었다.[57] NLB의 후신인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의 초대 우승팀이다.[58] 첫번째 3회 연속 우승[59] 데뷔 3년 만에 첫 팬들의 투표로 참가했다. 첫 해는 데뷔 시즌이었고, 심지어 시즌 중반에 투표가 시작된거라 어쩔 수 없이 못 나갔다. 두 번째 해는 투표가 아닌 SK텔레콤 T1 K 팀의 리그 우승 자격으로 인비테이셔널 매치에 출전했다.[60] 북미, 대만 지역과 한 팀.[61] 두번째 3회 연속 우승[62] 2018 RNG, EDG, RW, IG[63] 2019 SKT, GRF, KZ, DWG[64] 이 대회의 전신인 롤 클럽마스터즈 준우승팀.[65] 롤챔스가 풀리그 방식으로 개편되면서 폐지.[66] 2014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매치가 2015년 MSI로 이전되었다.[67] 2017 SKT, kt, SSG, MVP[68] 2018 KZ, AFs, KT, SKT[69] 2019 IG, JDG, FPX, TES[70] 단일 팀 통합 이후 리그제로 바뀌면서, 정규시즌과 포스트시즌 MVP를 따로 선정하는 걸로 바뀌었다.[71] 선수가 아닌 팀이 대상 수상[72] 18년도 부터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식을 하는 방향으로 바뀌게 되었다.[73] 2016년부터는 시리즈별로 MVP를 따로 선정하는 걸로 바뀌었다. 이미지 출처. 참고로 2015년 통합 MVP는 클리어러브였다.[74] 2017 시즌부터 통합 MVP 대신 결승 MVP로 바뀌었다. 다만 MVP 계보 자체는 이어진다.[75] 2013년 페이커에게 쓰인 수식어 롤계의 메시라는 별명은 2023년 1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뉴스에서 쓰이고 있다.[76]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4경기 17분 25초 쯤 김동준 해설 위원한테서 저 말이 나왔다. 여담으로 메시 비유를 처음 쓴 것은 막눈이라고 한다. 현 시대와 각기 분야를 대표하는 아이콘이자 실력과 명성의 저명함은 물론이고, 게임 전체를 지배할 수 있는 크랙이자 다재다능한 실력을 가졌다는 점을 가지고 있으며, 팀의 상징이라는 점 역시 비슷하다. 메시 외에도 마이클 조던에 비유되기도 하고, 월즈 4회 우승자라는 점에서 월드컵 3회 우승을 달성한 펠레와 비유해서 e스포츠의 펠레라고 기사가 나기도 했다. 그리고 앞서 언급된 위대한 선수들을 제외한 다른 유명 스포츠 슈퍼스타에 비견되기도 했다.[77] 본캐이자 전 닉네임 고전파. 2019년 02월 12일 우르프 모드 이즈리얼 플레이 이후 사용하지 않고 있다. 2021년 3월 15일자로 휴면계정으로 전환되어 닉네임이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28일 무작위 총력전 모드 노틸러스를 플레이한 전적이 있다.[78] 2012 시즌은 다이아몬드가 최고 티어였다. 챌린저 티어는 2013 시즌에 신설된 티어이다.[월즈] A B C D E F G 월즈 일정으로 한국 서버 솔로 랭크를 오랫동안 플레이하지 못하여 휴면 강등되었다.[휴가] A B 시즌 종료 후 휴가로 솔랭을 쉬어 다이아몬드까지 휴면 강등되었다가, 휴가 복귀 후 마스터를 찍고 마무리했다.[79] 닉네임은 Tar ar ais였다.[80] 정확히는 사다리타기로 누구를 밀어줄 것인지 결정하기로 했는데, 결과가 페이커 쪽으로 나오게 된 것. 그 뒷이야기는 그 때 도파가 던져서 승급을 못 할 뻔했던 탑솔러 문서의 링크로.[81] 여담으로 프리 시즌이나 시즌이 새로 시작될 때 치르는 배치고사의 티어는 그 전 시즌의 티어와 MMR을 감안하여 배치가 된다. 그 전 시즌에 챌린저급 MMR을 찍었고 실제 티어도 챌린저였으니 배치고사에서 아무리 패가 많아도 플레티넘 1티어에 배치받는 것은 당연한 셈.[82] 옛날에는 가갈갱을 밴하였지만 그때는 저 3챔피언이 고인 소리를 들을 만큼 아무도 플레이 하지 않은데다 노밴을 할 수가 없기에 어쩔 수 없이 했다.[83] 정확히 말하면 신고를 했음에도 그 후에 제재 처분을 내렸다는 피드백 메시지가 온 적이 없어서 앞으로 신고를 안하겠다고 언급했다.[84] 12월 8일자로 중국 프로들의 한국 계정이 대다수가 막혔다고 한다. 트롤러들의 계정도 막혔을 것으로 추정되나 페이커의 방송에서 대놓고 트롤짓을 하고 도유 방송에서 저격 인증까지 한 잔나 유저는 아직도 활동 중이다.[85] 위에 서술했듯이 보통 월즈 및 그 이후의 휴식이나 상술했듯 토토로 인한 트롤 문제 등을 비롯한 여러 이유로 인해 페이커가 솔랭을 챌린저로 마무리하는 경우는 은근히 희귀한 축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