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앙기

덤프버전 :

분류



파일:external/www.gukjenews.com/1102.jpg
승용형 이앙기.

1. 개요
2. 종류


1. 개요[편집]


이앙기()는 모내기를 할때 모판의 를 일정 간격으로 바닥에 심는 농기계이다. 한자를 풀이하면 '모를 옮겨 심는 기계'. 절대 이'양'기가 아니다. 보통 보행용 이앙기는 4줄, 승용 이앙기는 6줄을 동시에 심는데, 현재는 8줄 심는 8조도 널리 이용된다.

다만 콤바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의 형태나 지형 등의 문제로 이앙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어쩔수 없이 손으로 심고 수확해야 한다. 이앙기를 사용하더라도 논바닥 높이의 차이로 인해 잘 안 심어지는 부분이나, 이앙기가 방향을 틀 때 생기는 구석의 빈 부분은 손으로 직접 때울 수밖에 없다. 이렇게 심은 자리의 는 나중에 수확할 때 손으로 직접 베어 콤바인이 인근 자리를 지나갈 때 잠시 세워서 탈곡하는 부위에 올리는 식으로 처리한다.

여담이지만 예전엔 다른 농사일을 자동으로 하는 기계는 나와도 모 심는 기계는 안 나올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묫자리에서 묘를 집어서, 지반이 연약한 논에서 기계를 지탱하면서 심는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인데, 그래서 일본에서도 이앙기와 관련된 특허는 1898년부터 시작되지만# 현재 보는 것과 같은 형태로 완성된 것은 1960년대 들어서야 이루어졌다. 이앙기의 개발과 보급은 쇼와시대 농업의 최대 기술혁신이라고 불리운다.

한국에서 이앙기는 1980, 90년대 일본 농업기계 회사인 구보다, 얀마, 이세키 등과의 기술제휴를 통해 국산화를 시작하였다. 다만 일본 농업기계회사들은 2000년대 전후 한국 회사들과 기술제휴를 중단함에 따라 기술이 미처 성숙하기도 전에 독자 개발을 하여야 했다. 미쓰비시 자동차현대자동차와의 관계를 지켜본 일본 기업들의 결단 그 결과 안타깝게도 특히 이앙기에서는 한일 기술격차가 매우 크다. 특히 이앙기는 모심기를 반복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의 기계적 완성도를 따라 잡기가 매우 난감한 상황이다. 그래서 일본 이앙기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거의 50%에 육박하였고,## 국내 농기계 제조사들도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추어 일본 이앙기 수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2. 종류[편집]


승용형과 보행형 두가지가 있다. 보행형의 경우 사람이 직접 밀어서 운행하는 수동형과 승용형처럼 엔진이 달린 형태로 나뉜다. 물론 승용형이 보행형보다 편리하지만 보행형보다 비싸고 더 큰 엔진으로 움직이므로 기름값이 추가되며, 보행형보다 크고 무거운만큼 다락논 등 좁은 지형에서는 운용하기 어려운 단점 등이 있다. 뻘밭에서 모를 피해가며 큼지막한 쇳덩이를 직선으로 밀고 가는 게 여간 중노동이 아니라, 지금 사용되는 이앙기는 보행형보다 승용형이 더 많기는 하다. [1]

벼 외의 작물의 종자, 모종을 규칙적으로 심는 기계도 이앙기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보통은 '이식기'(Transplanter)라고 더 많이 부른다.

[1] 콤바인 역시 1970년대에는 보행용 콤바인이 있었으나 1980년대에 대부분 사라졌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7:04:14에 나무위키 이앙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