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정(가수)

덤프버전 :


파일:external/tv.pstatic.net/201006141520068611.jpg

이름
이윤정
출생
1976년 12월 20일 (47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본관
광주 이씨
가족
아버지 이경재, 어머니 성신자, 1남 2녀 중 막내
배우자 이현준, 아들 이시화
학력
서울예술고등학교 (발레 전공 / 졸업)
센트럴 세인트 마틴즈 예술대학교 (패션디자인 전공 / 중퇴)
소속사
파운데이션 레코드
데뷔
1995년 8월 삐삐밴드 1집 《문화혁명》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활동 내역
3. 그 외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76년 12월 20일 생. 서울특별시 출신. 전 삐삐밴드 보컬이자 6살 연하의 배우자 이현준[1]과 함께 결성한 혼성 듀오 EE의 멤버, 스타일리스트, 전위예술가.


2. 활동 내역[편집]


과거 예고에서 발레를 전공하고 입시를 하던즈음, 사고로 사실상 발레를 더 이상 할수 없게 되자 방황했다고 한다. 다소 방황하고 있던 도중 당시 정부 고위관료였던 아버지가 화려하게 염색했던 자신의 머리를 가위로 사정없이 잘라버렸고, 그때 집을 나와 아는 언니네 집에서 지내면서 지금의 이윤정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알바 도중 '삭발머리를 한 특이한 여자애가 있다'라는 소문이 퍼져 삐삐밴드에 영입된 특이한 케이스.

삐삐밴드 활동 당시에는 특유의 빨간머리와 정신나간 듯한[2] 가창력, 2집부터는 기계음 같은 하이톤이 트레이드 마크. 당시 크라잉 넛과 델리 스파이스 등과 더불어 한국 밴드 음악의 뉴웨이브를 이끌었던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 하지만 1997년에 의견 차이로 이윤정은 2년만에 밴드를 나가버렸고[3], 이후 밴드는 새 멤버 고구마 권병준을 영입해서 "삐삐롱 스타킹"으로 활동하다가 카메라 침뱉기 사건으로 지상파 출연이 금지된 후 해체했다.

같은 해에 이윤정은 삐삐밴드 리더였던 강기영이 함께 한 솔로 1집 앨범 타이틀곡인 궤도를 발표하였지만, 평단의 높은 지지와는 달리 대중들에게는 낯설어 참패했다. 당시에 영미권에서 시도되던 테크노 트랜스 사운드를 담았는데 시대를 앞서갔지만 댄스와 발라드가 최전성기였던 당시 가요계에선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운드였다.


이윤정 - Seduce
이후 영국 유학을 갔다왔고[4] 2001년 여름, 계약 문제로 울며 겨자먹기로 내야 했던 2집의 섹시 컨셉의 라틴 댄스 장르의 타이틀곡 'Seduce'[5]으로 활동했으나 2001년 기준에서는 다소 파격적인 컨셉과 음악이라 그랬는지 별 다른 반응 없이 묻혔다. 후속곡은 '오시리다'로 결정했지만 활동은 하지 않았으며 영화 '나비'의 장면을 편집한 저예산 뮤직비디오만 선보였다. 이 외에도 유재하의 '우울한 편지'를 리메이크했고, 정신대 할머니들의 고통을 그린 '아키코 67'는 이윤정이 꿈 속에서 정신대 처녀가 되어 학대 당한 얘기를 노래로 옮겼다. 그래도 삐삐밴드 보컬 출신의 이윤정다운 파격적인 음악이었다는 평. 다만 본인은 싫어하는 앨범이었다고 한다.

사실 노골적으로 성적인 코드를 잔뜩 강조한 의상과 앨범 커버, 노래였기에 기존 팬들에게도 사실상 금기어 수준. 이윤정은 'Seduce' 컴백 당시 인터뷰에서 '타이틀곡을 직접 작사했는데 곡을 소개해달라'는 요청에 "제가 외계인을 유혹하는 얘기죠. 외계인을 세뇌시키고 저한테 중독되게 만드는 과정을 그렸어요. 재미있잖아요? 지구인이 아닌 외계인이기에 성별은 없다"고 답했으며 섹시 컨셉으로 변신한 이유에 대해서도 "이런 것도 한다고 보여주는 거죠. 사실 대중들에게 이윤정의 존재를 좀더 확실하게 알리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구요. 네모상자(TV를 지칭) 속에 들어가려면 규격도 맞춰야 하잖아요?"라며 소속사 측의 성적 코드를 이용한 앨범에 대해 이렇게 우회적으로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역대 이윤정의 정규 앨범과 참여 앨범 중 유일하게 음원 서비스가 중단된 비운의 앨범이기도 하다.

같은 회사에서 나온 1집 앨범은 성패 여부 상관없이 서비스 중이지만 이 앨범만이 막혀있기 때문에 가수 측에서 서비스를 동의하지 않았을 사유도 높은 편. 게다가 현재 이윤정의 개인 성향(?)과 행보들을 보면 섹시컨셉이 메인 테마였던 이 앨범은 확실히 그의 성향과 상반되므로 평생 봉인될 확률이 높다. 유튜브 등지에선 이 정규 2집 앨범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재개해서 제발 듣게 해달라는 팬들의 요청이 많은 편이긴 하다. 멜론의 흔적을 보면 적어도 2007~2010년까지는 서비스를 했으나 2011년부터 스트리밍과 다운로드 서비스를 막았으며, 벅스나 소리바다 같은 경우는 이 정규 2집 앨범 자체의 흔적이 삭제되어 있다.

2집의 저작권 문제가 붕 떠버리면서 생긴 또 다른 문제는 수익에 관한 것인데, 유튜브에서 이윤정의 Seduce 음원 저작권자가 중화권 가수 진혜림(陳慧琳)으로 설정되어 있다. 진혜림이 Seduce를 번안해 중화권에서 飛吧라는 곡을 발표했는데, 원곡자가 있으나 번안곡에게 저작권료 수익이 가고 있는 셈. 이윤정 측이 바로 잡지 않는 이상 이 부분은 진혜림 측으로 수익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

2008년부터 배우자 이현준과 EE로 활동했을 때도 특유의 하이톤은 변하지 않았다. 매번 앨범을 낼때마다 다른 사운드를 가져왔던 이윤정은 EE에서 80년대 신스팝 사운드를 선보였는데 현재 난립하는 레트로 트랜드를 생각하면 또다시 시대를 앞서간 앨범. 2015년에 삐삐밴드를 재결성하여 새 앨범 "pppb"를 냈다. 10월 26일에 라이브를 가졌는데 성적은 별로였던 모양. 현재 붕가붕가레코드 소속으로 <넘넘>이라는 이름의 밴드로 활동중이다.

데뷔 당시 맨 얼굴 라이브를 보면 눈이 작은 편인데, 아이라인을 짙게 칠하고 다니는지라 눈치 채기 힘들다.


3. 그 외[편집]


  • 2013년 4월 9일에 배우자 이현준과 함께 7년 동안 국민연금을 내지 않았다는 기사가 떴다. 관련 기사 논란이 불거지면서 당사자도 이미지가 좋지 않다. 다른 기사를 보면 사업 폐업을 이유로 7년간 납부예외자로 지정되었는데, 실제로는 그 기간에 활발하게 여러 사업을 해서 논란이 된 것이다. 링크

  • 아버지는 전 국회의원이자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던 이경재.[6] 삐삐밴드 데뷔 당시인 1995년에는 공보처 차관이었고, 2집이 나온 1996년에는 인천 강화군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관련 기사

  • 배우자 이현준과 결혼하여[7] 아들 1명이 있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8:33:44에 나무위키 이윤정(가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앙대 조소과 졸업 후 영국에서 유학생활을 마친 이현준은 EE 활동과 병행해 설치미술가로 활동 중이다.#[2] 좋은 의미가 아니라 평범하게 부를 때는 상당히 음치같다.[3] 다만 재결성 인터뷰에서 밝히길 의견 차이는 있었지만, 원만한 합의하에 이뤄진 탈퇴였다고 한다. 솔로 데뷔 앨범 프로듀싱에 강기영이 참가하기도 했고, 멤버 사이도 무난한 편.[4] 다만 중퇴했다.[5] Seduce의 작곡은 히트곡 제조기였던 윤일상이 했으며, 뮤직비디오의 남자 주인공으로 탤런트 김성오가 출연했다. 뮤비 인트로곡은 같은 앨범에 수록된 '통제가 안 돼'다.[6] 이종구 의원의 숙부인 정치인과는 동명이인이다.[7] 두 사람은 음악, 미술 등 예술 분야에 공통적인 관심사를 통해 연인으로 발전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