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수(배우)

덤프버전 :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탤런트상
이정길
김혜자
(1989년)

이진수
김창숙
(1990년)

주현
고두심
(1991년)

이진수
李辰洙

파일:이진수 배우.jpg
출생
1938년 1월 25일
경기도 경성부 관철동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철동)[A]
사망
1998년 9월 21일 (향년 60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묘소
경기도 용인시 용인공원묘지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본관
전주 이씨[1]
배우자
김민자[2]
자녀
슬하 1남 1녀
학력
휘문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불어불문학 / 중퇴)
한국신학대학교 (학사)
데뷔
1956년 연극 〈시라노 드 베르주락〉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배우 겸 연출가, 소설가, 외화 번역가.


2. 생애[편집]


1938년 경기도 경성부(현재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 입학했으나 중퇴한 뒤 초동교회 조향록 목사의 주선으로 한국신학대학교에 입학했다. 국립극단 제1기 배우로, 1955년 고등학생 시절 참가한 전국 고교 연극경연대회에서 연출가 임영웅의 연출 데뷔작인 〈사육신〉에 출연해[3]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한 이후 1962년 연극 배우로 첫 데뷔하였다. 이후 연출, 외화, 외국 연극 번역가로도 활약하면서 약 200편이 넘는 연극에 출연하였다. 또한 한국연극협회 연기분과위원장, 한국배우협회 이사를 역임하는 등 한국 연극계의 발전에 공헌했다.


파일:attachment/ljspjh.jpg

이진수가 연기한 박정희 前 대통령
그러나 일반 대중들에게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가 1987년 KBS 드라마 〈욕망의 문〉으로 처음 텔레비전 배우로 출연한 것을 계기로 인지도가 상승한다. 왜냐하면 맡은 역할이 박정희를 모티브로 한 대통령이었는데 실제 인물과 싱크로율이 상당히 높았기 때문. 이후 KBS 〈훠어이 훠어이〉, MBC 〈제2공화국〉, 〈제3공화국[4]과 《전쟁과 사랑》에서도 박정희 역을 맡아 이창환 이전의 박정희 전문배우로 널리 알려진다.

1988년 영화 〈나신들〉의 단역으로 영화배우로 데뷔했다. 글솜씨도 있었는지 소설 《바바리코트를 입은 남자》를 발간하고, 희곡 작품집 《현대 영미 희곡집》을 번역출간하기도 했다. 또한 수필집을 내기도 했다.

1990년대에는 기독교방송에서 〈이진수의 세상만사〉라는 아침 시사프로의 진행을 맡기도 했다.

1998년 9월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쓰러져 신촌 세브란스 병원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던 도중 21일에 별세하였다. 향년 60세. 영결식은 동년 9월 23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 야외무대에서 범 연극인장으로 치러졌다.#


3. 여담[편집]


  • 박정희를 워낙 닮았기에 관련 일화가 꽤 있다. 동숭동 대학로에서 돌아다니거나 술을 마실 때 사람들이 실제 대통령인 줄 알고 깜짝깜짝 놀랐던 것은 이야깃거리도 못된다. 또한 택시를 탈 때마다 많은 기사분들이 자신의 얼굴을 보더니 감히 돈을 받을 수 없다고 돈을 받지 않았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제4공화국〉과 〈제5공화국〉에서 박 대통령 역을 맡았던 이창환도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다고 한다.[5]


  • 실제 박정희가 그를 직접 본 적이 있다고 한다. 별도로 만난 건 아니고 그의 공연을 박정희가 관람한 것이다. 1992년 《경향신문》 칼럼 〈무대 뒤의 인생〉에서 밝힌 일화에 따르면, 명동에 있던 국립극장의 장충동 이전을 기념하기 위해 박정희가 특명을 내려 제작된 〈성웅 이순신〉이란 연극에 출연했다. 여기서 그는 선조에게 전황을 보고하는 장군을 맡았었다. 선조가 "그 쪽 전황은 어떻소?"하고 물으면, 그가 "사망한 자가 300명이 넘고, 부상자 수는 부지기수라 하옵니다."라는 대사로 보고를 마무리하기로 되어있었다. 박정희 대통령 내외는 공연 마지막 날에 직접 와서 관람을 했는데, 너무 긴장했던 그는 "사망한 자가 300명이 넘고, 죽은 자 수는 부지기수라 하옵니다."라고 실수를 했다. 그러자 어느 관객이 가소롭다는 듯 "자식, 되게 웃기고 있네"라며 중얼거렸고 그 소리가 극장 안에서 너무 잘 들려 관객과 연기자들이 폭소하여 연극이 엉망진창이 되었다고 한다. 이 때 육영수 여사는 물론 박정희까지 웃었다고 한다. 이 후에도 다른 배우가 실수를 한 번 더 했고[6] 그 때문인지 박정희가 금일봉을 주며 무대에서 배우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것은 취소되었다고 한다.(...) #

  • 〈제4공화국〉과 〈제5공화국〉에서 박정희 역을 맡은 후배 배우 이창환은 〈제2공화국〉에서 박병권 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그래서 박정희 역의 이진수와 이렇게 한 컷에 들어와 두 명의 박정희가 보이는 묘한 장면이 연출되기도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87253637321.jpg}}} ||
〈제2공화국〉에 출연한 이진수와 이창환

  • 1992년 문예회관 대극장에서 〈출세기〉라는 작품을 할 때의 일화. 공연이 끝난 뒤에 많은 관객들에게 사인을 해주다가 어느 날 경찰과 어떤 여성이 와서 작은 종이를 꺼내어 본인의 사인이 맞냐고 물었다고 한다. 그래서 맞다고 하니 그저께 저녁 8시 쯤 이걸 가지고 성남의 술집에서 맥주를 먹은 적이 있냐고 묻더란다. 알고보니 그 종이는 수표였고, 그 무렵 택시 강도 2명이 손님의 수표를 비롯한 돈을 갈취한 뒤 술집에 나타나 맥주 마시고는 이진수의 사인이 담긴 수표를 내놓고 잔금을 챙겨 사라졌다고 한다. 당연히 그는 그 시간에 공연을 하고 있었고, 단순히 관객에게 사인해준 것일 뿐이라 혐의에서 벗어났지만 이젠 배우가 사인도 마음 놓고 못해준다는 생각이 들어 서글펐다고.#

  • 명동 국립극장 시절 있었던 안타까운 일화.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 〈쥐덫〉을 공연할 때, 마지막 날 밤 공연에서 유독 선배들의 태도가 무성의했다고 한다. 대충대충하면서 무대 밖에서 슬픈 표정으로 자꾸 그를 쳐다봤다고 하는데 이 때까지만 해도 그는 마지막 공연이니 바빠서 못 본 장면들을 봐두려는 것이겠거니 했다고 한다. 연극 끝나고도 출연자들이 가만히 서서 그를 바라보았다고 한다. 알고보니 개막 30분 전에 그의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연락이 왔는데 공연 중이던 이진수가 소식을 바로 전달받지 못했던 것. 아버지의 사망 소식도 모르고 임종도 지켜보지 못한 채 열심히 공연했던 그를 다른 배우들이 측은하게 보았던 것이다. 그는 이 일화를 회고하며 "피에로의 인생은 그래서 더 슬픈 것인지도 모른다."라는 말을 남겼다.#

  • 전유성이 자신의 저서 《구라 삼국지》에서 밝히기로는, 굉장히 장난기 있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연극배우 시절 천승세의 희곡 만선에서 마을 주민들이 단체로 " 달아라!"라고 외치는 장면이 있는데 이 장면에서 이진수는 혼자 '돛'을 ''이라고 외치고는 무대 밑에서 혼자 낄낄거렸다고 한다. 두 단어가 발음도 비슷하고 단체로 크게 "돛 달아라!"라고 외치는 것이니 혼자 돛을 틀리게 외친다고 티가 날 리는 없는 상황. 그런데 하루는 동료 배우들이 이진수를 골탕먹이기 위해 다 같이 대사를 안 하기로 짰다고 한다. 아무 것도 모르던 이진수는 이 장면이 오자 우렁차게 평소대로 대사를 외쳤고, "조오x 달아라!!!" 이진수는 국립극장의 전설이 되었다나...[7]

  • 바둑을 좋아했다. 국립극단 단원이었던 1960~70년대에 조남철이 운영하던 송원기원에 자주 출입했고, 당시 중학생이었던 조상연(조남철의 조카이자 조치훈의 형)과 자주 대국했다고 한다. 속기파라서 보통 한 판을 두는데 15분이 걸렸다고 한다.[A]

  • 두부를 굉장히 좋아했다고 한다.#

  • 후배 교육에도 열성적이었다. 연극적 화법을 정리하여 가르치고 특히 서울 토박이의 정확한 화법과 표준어를 지키는 데 노력하였다.

  • 위에서 언급했듯 신학대학을 다녔으며, 한 때 정말로 신학 쪽으로 가려고 했다고 한다. 내적 갈등 끝에 그만 두기는 했지만, 이런 그의 종교적 성향이 〈비틀거리며 달리는 사람들〉과 1인극 〈빌라도의 고백〉 등 여러 작품에 녹아 들어있다.

[A] A B 출처: 이영욱, 1990, 〈[반갑습니다]-연극배우 이진수〉, 《바둑생활》 1990년 12월호, 3쪽.[1] 전주이씨 효령대군파 19대손.[2] 최불암의 아내 배우 김민자와는 동명이인이다.[3] 이 때 같이 작업한 사람이 배우 박근형, 성우 안종국 등이다.[4] 다른 공화국 시리즈와는 다르게 박정희의 탄생부터 다룬다. 이진수는 해방 이후 만 29세의 모습부터 연기하는데 그래서 박상희 역을 맡은 김상중과 같이 나오는 장면을 보면 어색함이 느껴진다.(...)[5] 이창환은 이진수 이후 박정희 전문배우로 활동했으며, 첫 박정희 연기가 〈제3공화국〉에서 이진수의 젊은 시절을 연기한 것이었다.[6] 무슨 실수냐면, 이순신 장군이 죽고나면 병사들이 북을 치며 무대가 돌아가면서 막을 내리기로 했는데 기계소리만 들릴 뿐 무대 회전이 안 되었다. 쓰러진 연기를 한 이순신 장군 역의 배우 장민호가 그걸 모르고 기계 소리가 멈추자 극이 끝난 줄 알고 일어났던 것.[7] 성우 차명화도 과거에 "〈만선〉을 라디오 연극으로 녹음할 때 비슷한 에피소드가 있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한 동료 남자성우가 "돛 달아라!"라고 외치는 장면에서 혼자 무게를 잡고 다른 대사를 쳐 빈축(?)을 샀다. 슬쩍 장난이 생겨 골탕을 먹이기 위해 출연한 다른 성우들과 짜고 이 부분에서 침묵을 하기로 하고 극을 진행했는데, 해당 장면이 연출되자 아무 것도 모르고 그 남자성우는 점잖은 목소리로 혼자 만선이로구나 읇었고 당연히 좌중은 폭소. 이 동료성우가 바로 홍시호였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진수 문서의 r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진수 문서의 r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2:51:56에 나무위키 이진수(배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