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문

덤프버전 :



국장 (國章)

정렬 가나다순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 아시아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 오세아니아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 유럽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 지위상실 ]



파일:대한제국 국장.svg
파일:전주이씨대동종약원 휘장.png
대한제국의 국장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휘장
1. 개요
2. 역사
3. 도안
3.1. 변형
4. 활용 예시



1. 개요[편집]


대한제국국장. 또한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의 가문인 전주 이씨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자두꽃(이화, 李花)[1]을 도안화한 문장이다. 자두의 순우리말인 '오얏'을 써서 '오얏꽃 문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편집]


파일:석조전 박공.png
덕수궁 석조전의 이화문 부조.
개항 이후 일본 제국국화문을 본따 만들어졌으며 공식적으로 지정된 것은 대한제국 시기인 1897년의 일이다. 프랑스의 백합이나 일본의 국화처럼 원래는 왕조의 문양이지만, 군주국이기에 사실상 국장으로 쓰였다.

때문에 대한제국 시기의 국가/황실의 성격이 부여된 곳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데, 공문서나 궁궐 건물들은 물론이고, 내/외부 장식, 가구, 심지어 가정용품에도 이화문이 그려진 문화재가 종종 확인된다.

또한 근대엔 군의 개인화기 가늠쇠 밑에 국장이나 왕실 문장을 새겨 넣는 것이 유행이라, 당시 수입된 화기엔 항상 이화문을 새겨넣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이화문 장식을 직접 보고 싶다면 덕수궁 석조전에 마련된 황실 복원관을 견학해 보면 좋다. 또한 창경궁 대온실의 이화문 장식, 운현궁 이로당 툇마루에 앉아 있으면 양관(덕성여대 평생교육원) 건물이 보이는데, 그 양관 지붕에도 금속으로 된 이화문 투각을 볼 수 있다.

파일:prunus_seal_taiwan.png}}}
파일:일본 황실.svg}}}
중화민국(대만)의 매화 문장.
일본의 국화 문장.
비슷한 문장으로는 중화민국의 매화문과 일본의 국화문이 있다. 셋 중에서는 최소 13세기부터 쓰인 일본의 국화 문장이 가장 오래되었으며, 이화문의 제작 동기도 일본 황실 문장일 것으로 보인다.

중화민국매화 문장과는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다. 구분법은 이화문은 한 변당 꽃술이 3개이고 매화문은 작은 꽃술 2개가 큰 꽃술 사이에 껴 있는 형식이다. 일본국화 문장과의 형태의 유사점은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무늬라는 것 외에는 없다. 국화문보다는 차라리 일본 경시청이나 육상자위대 등에서 쓰이는 벚꽃 문양이 더 유사하다.


3. 도안[편집]


단청과 수묵으로 대표되는 고전적인 미술에서 탈피해 일본식 가문 문장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잉크와 인쇄기라는 장비를 통해 소도구와 비품 등에 적용하였디.

변형도 다양해서, 꽃술이 없는 것에서부터 3개, 5개까지 있는 문양도 있고 겹꽃잎이 추가된 문양도 있으며, 여타 서양 문장들이 겉에 월계수를 두듯 오얏 가지를 두르거나 황금으로 만든 원이 장식된 문양도 있다. 색은 노랑색(금색) 혹은 빨강색이며, 전주 이씨 종친회의 경우 꽃술 안쪽에 '종(宗)' 자를 새겨넣기도 한다. 만약 대한제국의 황실이 현대까지 계속 이어졌다면 일본 황실 미야케들의 문장 처럼 변형된 이화문들이 다양했을 가능성도 있다.


3.1. 변형[편집]


파일:unhyeongung_ihwamun.jpg
파일:Sadonggung_Ihwamun.png
파일:deoksugung_ihwamun.jpg
운현궁의 이화문.
사동궁의 겹꽃잎 이화문.
덕수궁 석조전 내실의 이화문.


4. 활용 예시[편집]


  • 파일:대한제국 20원.png

대한제국 20원 주화. 20원이라는 글자 위에 이화문이 보인다.

  • 파일:OUKS logo 01.jpg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한인회(Oxford University Korea Society; OUKS)가 이화문을 활용하여 한인회 문양을 제작하였다. 자세한 사항은 옥스퍼드 대학교/한국 문서 참조.

  • 파일:202102220913320.jpg

뜬금없이 해방 후 미군정 시기의 수입인지에도 이화문이 들어갔다. 해방후 과도기 동안은 일제강점기시절 쓰다가 해방과 함께 재고로 남은 일본제국의 인지에 대충 조선정부라는 국명만 덧인쇄해 쓰다가[3] 정국이 어느정도 안정되고 새 인지를 발행하는 과정에서 도안으로 참고할 만한 일제 이전 조선의 정부 상징은 대한제국의 이화문뿐이 없으니 일제 이전 대한제국을 계승한다는 뉘앙스도 포함해 겸사겸사 대한제국의 문장을 넣은 것으로 보인다. 모양새는 사동궁의 겹꽃잎 이화문과 유사해 보인다.
[1] '花'(이화학당,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이화'가 이것)가 아님에 유의. 이화문의 이화는 배꽃이 아닌 자두(오얏)꽃이다.[2] 당시 대한제국은 무기를 스스로 생산할 수 없었기에 서구로부터 많은 무기를 도입하게 되었는데 이게 좀 대중 없이 섞였던지라 거의 무기 전시장급이었다고. 그만큼 훈련 난도는 더 높아졌을 듯. (후에 일본의 30년식 소총 생산설비를 들여와 용산에서 자체생산하긴 한다.)[3] 심지어 우표를 붙이는 사례도 있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9:23:03에 나무위키 이화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