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학당

덤프버전 :



梨花學堂
1. 개요
2. 학교재단
2.1. 학교법인 이화학당
2.2. 학교법인 이화학원


1. 개요[편집]


1886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여성교육기관. 오늘날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전신.

1885년, 미국인 감리회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 부인은 북감리회의 선교 정책에 따라 조선에 발령받았고, 긴 항해 끝에 조선 땅을 밟았다. 그녀는 52세의 과부였으며, 자신의 아들인 의사 윌리엄 스크랜튼과 함께 조선에 왔다. 독실한 크리스천이자 교육자였던 그녀는, 조선에 하나님의 말씀과 기독교를 전파하고 교육을 통해 조선인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했다.

스크랜튼 부인은 조선 소녀들과 여성들의 지위가 매우 열악하여 교육조차 받지 못하는 걸 안타깝게 여겨, 이때까지 조선에 없었던 여학교를 세우고자 했다. 의사인 아들이 세울 병원 부지까지 합쳐 서울 정동에 몇 채의 집을 사들였고, 여학교를 세울 준비를 했다. 그러나 당시 조선은 서구개방이 이루어진지 얼마 되지 않아 서양식 교육과 문물이 낯설게 받아들여지던 시기였던 데다가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의 경험이나 서방국가들이 타국가들을 식민지배한다는 소식이 널리 번졌던 이유도 있었기 때문에 조선인들은 낯선 서양인을 몹시 경계했고,[1] 이제까지 여자아이들이 학교에 다니며 공부한다는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던 시대였기에, 쉽지 않았다.[2] 처음에는 단 1명의 여학생으로 학교를 시작했을 정도로, 여학생을 모으는 일은 어려웠으며 학교는 몇 년간 재정난에 시달리기도 했다. 이후 길에 버려진 여자아이, 기를 형편이 되지 않아 부모가 맡기고 간 여자아이, 학교 일꾼의 딸[3] 등이 스크랜튼 부인의 학생이 되었고 학교는 어느 정도 틀을 잡을 수 있었다.

이화학당은 멀리 떨어져 사는 소녀들을 위해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었고 소녀들은 학교에서 먹고, 자고, 공부하며 모든 생활을 다 했다. 과목은 한글, 영어, 한문, 성경 등을 배웠다. 특히 이화학당의 영어교육은 이전까지 조선에서 한번도 시도된 적이 없었기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실 영어교육은 스크렌튼 부인이 우리말을 거의 못했기 때문에[4] 영어로 수업을 진행해야 해서, 의사소통을 위해 이는 꼭 필요한 교육이었다. 또한 성경교육은 한국 최초의 채플 클래스이기도 하다. 초창기에는 빨간 옷감으로 지은 한복교복으로 입었다.[5] 점차 과목, 학제, 교사 등이 정비되고, 학교는 점점 발전했으며 처음에는 여학생들을 보내기 꺼렸던 조선인들도 점차 여자아이들을 이곳에 보내게 되면서 규모가 커졌다. 고종황제명성황후는 스크랜튼 부인의 노고를 치하하여, 친히 '이화학당'이라는 교명을 하사했다. '이화'라는 교명은 당시 학교 주변에 흐드러지게 피어나던 하얀 배꽃에서 따온 것으로, 배꽃처럼 희고 맑고 깨끗하라는 의미라고 전해진다.

이듬해인 1887년에는, 의료선교를 위하여 조선 여성들을 위한 병원을 세웠는데, 이는 보구녀관이라는 한국 최초의 여성병원이다. 스크랜튼 부인의 아들도 의사였지만, 남녀의 구별이 엄격한 당시 조선의 풍속 때문에 스크랜튼 부인은 미국에 여의사 파견을 요청했다. 이후 미국인 여의사들이 와서 조선 여성들을 치료했다. 이 병원은 일반 교육기관에서 전문학교와 대학교로 승격을 거쳐 바로 오늘날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 전신이다. 이 후 최초의 한국인 여의사 박에스더를 시작으로 조선인 여자 의사들도 많이 생겨나며 이 역할을 대체되었다.

1918년 보통과와 중등과/고등과를 이화여자보통학교와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로 신설하였고, 1925년 대학과를 전문학교인 이화여자전문학교로 승격시켜 신설하였으며, 1946년 대학교로 승격시켜 현재의 이화여자대학교를 만들었다.

이 문서에 이화학당의 후신은 이화여자고등학교이라고 쓰여 있었는데, 엄밀히 말하면 이화여자대학교에 가깝다. 이화학당에서 이화학원이 갈라져 나올 때 이화여고도 함께 갈라져 나왔기 때문. 현재 법인 이화학당에 속한 학교는 이화여대와 이화여대 사범대학 부속학교들뿐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화학당 소속인 이화여자대학교는 신촌으로 이사했고, 이화학원 소속인 이화여자고등학교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만이 정동에서 원래의 이화학당 자리를 지키고 있다.

유관순 열사가 이곳 출신으로, 이화여고는 1996년 유관순 열사에게 명예졸업장을 주었으며, 2019년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이화학당 만세 운동을 재현하고 유관순 열사 99주기 추도예배를 진행했다.

미스터 션샤인에서 나오는 목화학당의 모델이 이화학당으로 보인다.


2. 학교재단[편집]


이화학당의 중고교 과정이 1915년에 분리되고, 1925년에 대학과가 구제전문학교이화여자전문학교로 격상되며 분리되었고, 마지막까지 이화학당으로 남아 있던 유치원 사범과[6]가 1928년에 이화보육학교로 개칭되었다. 1943년에 이화여자전문학교와 이화보육학교가 재단법인 이화학당을 구성하였고,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는 따로 재단을 세워 두 학교가 분리되었다.


2.1. 학교법인 이화학당[편집]





연혁

1880년대~1940년대 1886. 05. 31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메리 F. 스크랜튼 여사 창설
1887년 고종황제 칭호 하사
1910.9 대학과 신설
1914.10 부속유치원 설치 경영(조선총독부 허가)
1925.4.24 이화여자전문학교 인가
1933년 이화학당과 이화학원으로 재단 분리
1943.8.7 재단법인 이화학당으로 설립등기 / 김활란 이사장 취임
1946.8.15 이화여자대학교 설립인가 (문고제1호)
1950년대~1960년대 1955.2.28 이화여자대학교 부속국민학교 설치경영
1958.4.9 이화여자대학교 부속중학교 설치경영
1958.2.15 이화여자대학교 부속고등학교 설치경영
1958.4.9 재단법인 감리학원에서 국제대학 인수 경영
1960.3.31 금란여자중·고등학교 설치 경영
1946.1.8 학교법인 이화학당으로 조직변경등기
1968.12.11 금란여자중·고등학교를 이화여자대학교 병설로 등기
1969.1.10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영란여자중·상업고등학교 설치인가
1970년대~현재 1970.3.19 서은숙 이사장 취임
1977.3.5 김영의 이사장 취임
1980.11.26 국제대학을 삼문학원에서 인수
1986.12.31 김옥길 이사장 취임
1990.9.1 정의숙 이사장 취임
1996.3.1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영란여자중·상업고등학교를
영란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로교명 변경
1999.3.1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여자중·고등학교를 금란중·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0.9.1 윤후정 이사장 취임
2001.3.1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금란중·고등학교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 중·고등학교로 통폐합
2004.10.18 이화여자대학교 병설 영란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를 미디어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11.3.1 장명수 이사장 취임



역대이사장
김활란
1943~1953
embed scr="https://www.ewha.ac.kr/_res/ewha/img/intro/img-dean07.gif"
재단법인 이화학당

김활란


최승만
1954~1955

재단법인 이화학당

최승만


김활란
1956~1970

재단법인 이화학당

김활란


서은숙
1970.3.19

학교법인 이화학당

서은숙


김영의
1977.3.5

학교법인 이화학당

김영의


김옥길
1986.12.31

학교법인 이화학당

김옥길


정의숙
1990.9

학교법인 이화학당

정의숙


윤후정
2000.9.1

학교법인 이화학당

윤후정


장명수
2011.3.1~

학교법인 이화학당

장명수

2.2. 학교법인 이화학원[편집]




예술학교인 예원학교서울예술고등학교도 본래 이화학원 소속이었으나, 두 학교는 이화학원에서 분리되어 따로 재단을 설립했다.


팔렬중고등학교는 대안학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9:30:15에 나무위키 이화학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서양인들이 조선 아이들을 잡아간다는 소문도 있었을 정도였다.[2] 엄밀히 말하자면 여성을 위한 서당이 아주 없던 것은 아니었지만 그 수는 매우 드물었다. 당시엔 양반가에서도 여자에겐 아예 가사 외에는 안 가르치는 경우도 많았고, 상대적으로 여성교육에 호의적인 서인 계열 당파에서도 보통 집에서 아들을 가르치면서 같이 옆에서 배우게 하는 정도였다.[3] 한국 최초의 여의사 박에스더.[4] 간단한 인사말이나 행정용어 정도는 할 줄 알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업을 진행할 만큼의 실력은 안 돼서, 초반에는 몸짓 발짓으로 수업을 진행해 어떤 이들은 '무용수업' 이라고 별명을 붙여줄 정도였다.[5] 이후 일명 유관순 교복이라 불리는 흰 저고리에 검정 치마를 입게 되었고, 몇 차례의 변천을 거쳐 오늘날의 교복에 이른다.[6] 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 오늘날의 유아교육과라 할 수 있다. 당시 사범학교는 보통학교(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들어가는 중등교육기관이었는데 이 사범학교에 유치원 교육은 사실 없었다. 당시에 유일하게 유아교사 교육과정이라 봐도 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