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선

덤프버전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
강원선
금강산청년선
만포선
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
평남선
평덕선
평부선
평의선
함북선
북부내륙선
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
은산선
천성탄광선
고원탄광선
금야선
신흥선
서호선
창흥선
북청선
두언선
단풍선
금골선
일탄선
고참탄광선
대향선
강덕선
청진항선
라진항선
천내선
문천항선
송도원선
대각선
조양탄광선
봉천탄광선
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
룡문탄광선
강계선
운하선
백무선
오시선
삼지연선
평양화전선
보산선
대안선
룡강선
도지리선
서해갑문선
명당선
고비선
덕산선
삼등탄광선
령대선
재동선
솔골탄광선
관하선
득장선
잉포선
덕남선
장상선
송림선
봉산선
룡성선
안주탄광선
개천선
구봉산선
평북선
철산선
백마선
다사도선
덕현선
무산선
세천선
고건원선
춘두선
홍의선
두만강선
승리선
운봉선
은률선
배천선
옹진선
금강산청년선
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
성산인입선
장진선
만덕선
신성선
회둔탄광선
후산선
청남선
녕변선
삼공일선
신온전용선
수풍선
장연선
정도선
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
명학선
형봉선
보천선
청화력선
압록강선
마평선
석하리선
토해선
운산선
과일선
토해선
태탄선
리원선
원산항선
개천청년선
서해리선
서창선
룡암선
시정선
남동선
박천선
강안선
회령탄광선
동포선
성평선
회암선
안골선
금천탄광선
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개요
3. 역 목록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장진선.jpg
영광역을 출발하여 사수역에 이르는 협궤 철도.

1926년 10월 1일 오로(現 영광)-상통 구간이, 1934년 11월 1일 상통-구진 구간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신흥선과 마찬가지로 북쪽의 임야 자원 수송 및 발전과 보급을 위해 만들어졌다. 개통 당시 명칭은 함남선이었다.

총 연장길이 58.9km로, 영광역까지의 거리인 17km를 합하면 75.9km로 만만치 않게 긴 편인 셈이다.

이 노선에도 강삭철도가 있다. 자세한 것은 하위 항목 참고.

그리고 미 해병대로서는 이 노선은 잊을 수 없는 노선이다. 바로 장진호 전투 때문으로, 해당 항목 참고. 이런 이유로 인해 철도 노선의 중요성에 비해 미국에서 이 노선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 많다.

이 노선 역시 신흥선과 마찬가지로 역간 거리가 짧은 편에 속한다. 14개 역에 58.9km로 평균적으로 역간 약 4.53km 정도 떨어져 있는 셈인데, 단선이고 자시고 할 것 없이 역간 거리가 미친듯이북한의 철도 환경에서는 이례적인 일. 아마 협궤라서 그런 듯.

원래는 장진선이 구진리쪽으로 뚫려서 구진리(舊津里)역이 있었으나, 장진댐 건설로 인해 인공호수가 발생하여 구진리 쪽이 통으로 수몰당하고(...) 선로가 이설, 하갈우리를 거쳐 사수역까지 연장되었다. 지못미 물론 구진리로 들어갈 때에도 보장역 - 황초령역 구간의 강삭철도는 존재했다.

이 자료1941년판 장진선 열차시각표인데,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75km를 가는 데 6시간. (해당 자료의 역간 거리는 잘못된 것으로 생각된다) 1시간에 고작 12.5km를 가는 꼴이니 자전거만 못하다(...). 물론 이 험지를 자전거 끌고 주파하자면 당연히 기차 타는것만 못하다.

2011년 1월 26일 전 역에 대한 문서가 작성되었다.

원래 이 노선을 연장해 후창을 거쳐 중강진까지 잇는 함중선(함흥-중강진) 계획이 있었다. # 하지만 1930년대에 착수한 철도사업들이 대개 그랬듯이 결국 장진에서 별 진척을 보지 못한채 끝이 나고 말았다. 개통되었으면 강계선과 접속되었을 것이다.

2. 강삭철도[편집]



신흥선에 비해 가려진 구간과 터널이 많은 것이 장진선 강삭철도 구간의 특징이다. 다만 신흥선600퍼밀 급경사에 비해 이쪽은 약간 덜한 편.

경사가 급한 것은 신흥선송흥역 - 부전령역 구간 못지 않아서, 불과 1km 진행했는데 높이차가 벌써 120m이다. 참고로 보장역의 높이는 598m. 보장역황초령역 사이의 선로 역시 산의 그림자가 선로를 상당 부분 가리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를 알 수 없지만, 다시 1km를 진행했을 때의 높이차는 140m. 다시 말하면 해발 860m. 영광역 기점 35.2km 지점에 도착하면 해발 고도는 949m가 된다. 불과 0.6km 사이에 90m의 높이차를 보여주고 있으니 150퍼밀 급경사인 셈이다.

장진호 전투시 미 해병대가 케이블카로 묘사할 정도로 꼭 케이블카처럼 생긴 위태위태한 다리를 건너면 드디어 장진선 최고의 급경사가 이어지게 된다. 다리의 길이는 약 100m이며 건너편의 높이는 977m로 300퍼밀. 그리고 중간 기착지까지 질질 끌려 올라오는 데에서 생기는 높이차는 230m이며 이동 거리는 0.7km로 결국 330퍼밀 급경사를 지나가는 셈이다.

참고로 이 다리는 수문교로 추정된다. 장진호 유역변경발전소의 발전용 배관 및 부속된 수문이 지나가기 때문에 우회로를 건설할 수 없어 다리를 만든 곳으로 장진호 전투 당시 중공군에 의해 2번 파괴되고, 그 때마다 미군이 보수하다가 마지막에는 중공군에 의해 교각까지 완전히 박살나자 미 해병대가 탈출할 때 다리를 부품으로 나누어서 공수받아 현장에서 총격전을 벌이면서 설치한 후, 장비를 이동시키다가 다리 중앙부가 파손되었으나, 현지에서 보수한 끝에 대부분의 장비를 철수시킨 후 폭파한 엄청난 내력을 지닌 다리다.

신흥선이 부전령을 넘고 100퍼밀이 넘는 급경사를 내려가는 것과는 달리 장진선은 내려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외줄 타듯이 아슬아슬한 구간을 지나서 영광역 기점 36.4km 지점에 도착하면 드디어 황초령역이다. 이 역의 높이는 1,206m.

신흥선만큼은 아니지만 위험한 구간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아무리 1941년이라지만 이 다이어에서는 해당 구간인 3.8km를 지나가는데 무려 30분 이상이 걸린다. 시속 7km에 불과하니 뛰어서 가느니만, 좀 훈련된 사람이라면 걸어서 가느니만도 못한 구간인 셈이다. 물론 산지에서 3.8km는 사람의 경우라도 헉헉대면서 몇 시간 걸리는 일이 다반사이므로 철도가 사람에게 꿀릴 이유는 없다.

그리고 바로 이게 전체 75km에 불과한 함흥역 - 사수역 구간의 소요 시간을 6시간으로 만들어 버리는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리고 황초령은 장진호 전투 때도, 지금도 트럭이 자주 미끄러진다나.

3. 역 목록[편집]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장진선 역 목록
역 명
역간거리
기점거리
종점거리
분기노선
비고
소재지
영 광
榮 光
기점
0.0
58.9
신흥선

함남 영광군
동 양
東 陽
5.8
5.8
53.1


송 당
松 堂
4.0
9.8
49.1


상 통
上 通
4.1
13.9
45.0


룡 수
龍 水
4.1
18.0
40.9


하기천
下岐川
6.0
24.0
34.9


삼 거
三 巨
5.0
29.0
29.9


보 장
堡 庄
3.6
32.6
26.3


황초령
黃草嶺
3.8
36.4
22.5


함남 장진군
고 토
古 土
5.4
41.8
17.1


부 성
富 盛
5.2
47.0
11.9


상 평
上 坪
2.8
49.8
9.1


장 진
長 津
5.1
54.9
4.0


사 수
泗 水
4.0
58.9
0.0



[각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4:56:33에 나무위키 장진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