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

덤프버전 :

Framework Act on Low Birth Rate in an Aging Society

1. 개요
2. 국민의 책무
4. 저출산ㆍ고령사회정책의 기본방향
4.1. 저출산ㆍ고령사회정책의 수립 및 추진체계
4.1.1.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4.1.2. 연도별 시행계획
4.2. 저출산 대책
4.2.1. 인구정책
4.2.2. 인구교육
4.2.3. 자녀의 출산과 보육 등
4.2.4. 모자보건의 증진 등
4.2.5. 경제적 부담의 경감
4.3. 고령사회정책
4.3.1. 고용과 소득보장
4.3.2. 건강증진과 의료제공
4.3.3. 생활환경과 안전보장
4.3.4. 여가ㆍ문화 및 사회활동의 장려
4.3.5. 평생교육과 정보화
4.3.6. 노후설계
4.3.7. 취약계층노인 등
4.3.8. 가족관계와 세대간 이해증진
4.3.9. 경제와 산업 등
4.3.10. 고령친화적 산업의 육성
5. 그 밖의 정책
5.1. 전문인력의 양성
5.2. 조사 및 연구
5.3. 민간의 참여
5.4. 인구의 날
5.5. 국제교류의 활성화
5.6. 지원
6. 관련 문서

전문

1. 개요[편집]


제1조(목적) 이 법은 저출산 및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는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의 기본방향과 그 수립 및 추진체계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기본이념) 이 법은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인구 구성의 균형과 질적 향상을 실현하고, 국민이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이념으로 한다.
제6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국가는 저출산·고령사회정책과 관계되는 다른 법률을 제정 또는 개정하는 경우 이 법의 목적과 기본이념에 맞도록 하여야 한다.
2005년 5월 18일 공포되어 9월 1일부터 시행 중인 법률이다.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이라 함은 저출산 및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수립·시행하는 정책을 말한다(제3조 제2호).

2. 국민의 책무[편집]


국민은 출산육아의 사회적 중요성과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변화를 인식하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저출산·고령사회정책에 적극 참여하고 협력하여야 하며(제5조 제1항), 가정 및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상호연대를 강화하고 각자의 노후생활을 건강하고 충실하게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2항).

3.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편집]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문서 참조.

4. 저출산ㆍ고령사회정책의 기본방향[편집]




4.1. 저출산ㆍ고령사회정책의 수립 및 추진체계[편집]


국가는 종합적인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의 저출산·고령사회정책에 맞추어 지역의 사회·경제적 실정에 부합하는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제4조 제1항).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기본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시행계획")의 수립·시행을 위하여 관계 공무원 또는 관계 전문가의 의견을 듣거나 관계 기관 및 단체 등에 필요한 자료제출 등 협조를 요청할 수 있으며(제22조 제1항), 보건복지부장관은 기본계획안의 작성을 위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저출산·고령사회 관련 계획 및 정책, 관련 자료 또는 의견의 제출 등 필요한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같은 조 제2항).
이러한 협조요청을 받은 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3항).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을 심의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 행정기관에 자료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관계 행정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에 따라야 한다(제26조).

4.1.1.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편집]


정부는 저출산·고령사회 중·장기 정책목표 및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하여야 한다(제20조 제1항).

보건복지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5년마다 기본계획안을 작성하고,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친 후 대통령의 승인을 얻어 이를 확정한다. 수립된 기본계획을 변경할 때에도 또한 같다(같은 조 제2항).

기본계획의 수립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같은 조 제5항).

정부는 기본계획을 확정한 후 지체 없이 국회에 보고하여야 한다(제27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중·장기계획 및 연도별 시행계획 등 주요정책을 수립하는 경우 제20조의 규정에 의한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을 고려하여야 한다(제4조 제2항).

4.1.2. 연도별 시행계획[편집]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기본계획에 따라 소관별로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기본계획 및 중앙행정기관의 시행계획에 따라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제21조 제1항).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지방자치단체의 시행계획이 기본계획 및 중앙행정기관의 시행계획에 위반되는 경우에는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이를 변경하도록 요구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시행계획의 이행상황을 기본계획에 따라 점검할 수 있다(같은 조 제2항).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다음 해의 시행계획 및 지난 해의 추진실적을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제출하고, 보건복지부장관은 이를 종합하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같은 조 제3항).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매년 시행계획에 따른 추진실적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저출산·고령사회정책에 반영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4항).

시행계획의 수립·시행 및 평가 그 밖의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같은 조 제5항).

정부는 시행계획 및 이에 대한 평가 등을 확정한 후 지체 없이 국회에 보고하여야 한다(제27조).

4.2. 저출산 대책[편집]




4.2.1. 인구정책[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적정인구의 구조와 규모를 분석하고 인구변동을 예측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인구정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제7조).

4.2.2. 인구교육[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이 저출산 및 인구의 고령화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결혼·출산 및 가족생활에 대한 합리적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구교육을 활성화하여야 하며, 이에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제7조의2).

4.2.3. 자녀의 출산과 보육 등[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출산과 보육 등에 관해 다음과 같은 의무를 진다(제8조).
  • 모든 자녀가 차별받지 아니하고 안전하고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며 교육과 인성함양에 도움을 주는 사회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제1항).
  • 자녀를 임신·출산·양육 및 교육하고자 하는 자가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을 병행할 수 있도록 사회환경을 조성·지원하여야 한다(제2항).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자녀를 양육하려는 자에게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제3항).

4.2.4. 모자보건의 증진 등[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모자보건의 증진 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의무를 진다(제9조).
  • 임산부·태아 및 영유아에 대한 건강진단 등 모자보건의 증진과 태아의 생명존중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제1항).
  • 임신·출산·양육의 사회적 의미와 생명의 존엄성 및 가족구성원의 협력의 중요성 등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제2항).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임신·출산 및 양육에 관한 정보의 제공, 교육 및 홍보를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관을 설치하거나 그 업무를 관련 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같은 조 제3항).

4.2.5. 경제적 부담의 경감[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자녀의 임신·출산·양육 및 교육에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제10조 제1항).[1]

4.3. 고령사회정책[편집]




4.3.1. 고용과 소득보장[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일할 의욕과 능력이 있는 고령자가 최대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하며(제11조 제1항), 연금제도 등 노후소득보장체계를 구축하고 노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국민이 경제적으로 안정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2항).

4.3.2. 건강증진과 의료제공[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성별·연령별 건강상의 특성과 주요 건강위험요인을 고려하여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제12조 제1항).

특히, 노인을 위한 의료·요양 제도 등을 확립·발전시키고 필요한 시설과 인력을 확충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2항).

4.3.3. 생활환경과 안전보장[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노후생활에 필요한 기능과 설비를 갖춘 주거와 이용시설을 마련하고 노인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쾌적한 노후생활환경을 조성하고 재해와 범죄 등 각종 위험으로부터 노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제13조).

4.3.4. 여가ㆍ문화 및 사회활동의 장려[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노후의 여가와 문화활동을 장려하고 이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여야 하며(제14조 제1항), 자원봉사 등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2항).

4.3.5. 평생교육과 정보화[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모든 세대가 평생에 걸쳐 학습하고 능력과 적성에 따라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위한 교육시설의 설치·인력의 양성 및 프로그램의 개발 등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제15조 제1항).

특히, 세대간 정보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장비 보급 등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2항).

4.3.6. 노후설계[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이 행복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설계하기 위하여 재무, 건강, 여가, 사회참여 등 각 분야에서 적절한 상담과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제15조의2).

4.3.7. 취약계층노인 등[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을 수립·시행함에 여성노인·장애노인 등 취약계층의 노인에 대하여 특별한 배려를 하고 도시·농어촌지역간 격차 등 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반영하여야 한다(제16조).

4.3.8. 가족관계와 세대간 이해증진[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효행을 장려함으로써 노인이 가정과 사회에서 공경받을 수 있도록 하고 세대간 교류의 활성화와 세대간 이해를 증진함으로써 민주적이고 평등한 가족관계가 형성되도록 필요한 사회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제17조).

4.3.9. 경제와 산업 등[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경제·산업구조 및 노동환경의 변화에 부응하는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제18조).

4.3.10. 고령친화적 산업의 육성[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상품 및 서비스 수요의 변화에 대비한 새로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여야 하며(제19조 제1항), 노인에게 필요한 용구와 용품 등의 연구개발·생산 및 보급의 활성화를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2항).

5. 그 밖의 정책[편집]




5.1. 전문인력의 양성[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저출산 및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한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여야 한다(제28조 제1항).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이러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연구소·대학 그 밖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기관을 전문인력 양성기관으로 지정하고, 해당 전문인력 양성기관에 대하여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같은 조 제2항).

5.2. 조사 및 연구[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저출산 및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사 및 연구를 실시하여야 한다(제29조 제1항).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이러한 조사 및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조사연구기관을 설치하거나 연구소·대학 그 밖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기관에 조사 및 연구를 위탁할 수 있다(같은 조 제2항).

5.3. 민간의 참여[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저출산·고령사회정책에 관하여 민간부문이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제30조).

5.4. 인구의 날[편집]


인구구조 불균형이 초래하는 정치적·경제적·사회적 파급영향에 대하여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저출산·고령화 대응에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매년 7월 11일을 인구의 날로 정한다(제30조의2 제1항).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인구의 날 취지에 적합한 행사와 교육·홍보 사업을 실시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2항).

5.5. 국제교류의 활성화[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저출산 및 인구의 고령화와 관련한 국제기구 및 국제회의에 참여하고, 정보교환 및 공동조사연구 등 국제협력사업의 추진을 통하여 국제교류를 활성화하여야 한다(제31조).

5.6. 지원[편집]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이 법에 따른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의 시행을 위하여 관계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조세의 감면 등 필요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제32조).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9:54:29에 나무위키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경제적 부담의 경감 시책의 강구 및 지원을 위하여 자녀의 임신·출산·양육 및 교육에 소요되는 비용의 통계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제10조 제2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