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저술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정약용

1. ㄱ
2. ㄴ
3. ㄷ
4. ㅁ
5. ㅂ
6. ㅅ
7. ㅇ
8. ㅈ
9. ㅊ
10. ㅎ
11. 기타


1. ㄱ[편집]


  • 경세유표(경세학[1])(1808~1817)

2. ㄴ[편집]



3. ㄷ[편집]



4. ㅁ[편집]


  • 마과회통(의학)(1797)
  • 모시강의(경학)
  • 목민심서(행정)(1818[2], 1821[3])
  • 민보의(국방)(1812)
  • 매씨서평(경학)(1810[4], 1834[5])
  • 맹자요의(경학)(1814)
  • 문헌비고간오(문헌고증)(1800)

5. ㅂ[편집]



6. ㅅ[편집]



7. ㅇ[편집]


  • 아방강역고(역사지리학)(1811)
  • 아언각비(언어학-어원)[6](1819)
  • 아학편훈의(교육)(1804)
  • 악서고존(음악)(1816)
  • 여유당집(모음집)
  • 역삭서언(의학)(1821)
  • 이담속찬(언어학-속담)[7](1820)

8. ㅈ[편집]



9. ㅊ[편집]



10. ㅎ[편집]



11. 기타[편집]


  • 열수전서[8]
  • 여유당전서[9]
  • 여유당전서보유[10]
  • 정본 여유당전서[11]
  • 정약용 간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12]
  • 다산의 제자교육법 [13]
  • 자찬묘지명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9:38:18에 나무위키 정약용/저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대의 개념으로 보면 국가경영, 사회과학(그 중에서 정치학)에 가깝다.[2] 초고[3] 개정[4] 1판[5] 개정판[6] 어원 연구서이다.[7] 정약용의 저서 중 유일하게 조선시대에 간행되었었다.[8] 정약용의 사후 자손들이 저술의 정리를 시도한 것[9] 신조선사에서 정약용의 저서를 수집후 발간하였다.[10] 여유당전서에 미처 포함되지 못한 저술들을 모아 엮은 책[11]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만든 전집[12] 정약용이 유배지에서 가족과 친지, 제자들에게 보낸 편지를 모아 엮은 책[13] 정약용이 자식과 제자,친구들에게 준 증언(贈言)을 엮어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