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병원

덤프버전 :

파일:제주대학교병원 심볼.svg 제주대학교병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제주대학교병원
濟州大學校病院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파일:제주대학교병원 심볼.svg
미션
최상의 의료로 건강한 제주로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개원
2001년 11월 1일
법인
교육부 산하 특별공공법인
분류
대학병원
병원장
최국명
병상 수
731병상[1]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란13길 15 (아라1동)

웹사이트
제주대학교병원 홈페이지

1. 개요
2. 소개
3. 설치 센터
4. 교통
5. 사건사고
5.1. 제주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갑질 사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제주대학교병원 전경

제주대학교병원 홍보영상

제주대학교에 부속된 대학병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란13길 15 (아라일동)에 위치한 교육부 산하 특별공공법인이다.[2] 거점국립대학병원이기도 하다.


2. 소개[편집]


1995년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설치인가가 떨어지고 1998년 의과대학이 설치됨에 따라 1999년 제주의료원을 인수[3]키로 결정한 후 2001년 11월 1일 제주대학교병원으로 정식 개원하였다.[4][5] 애초 위치는 제주의료원이 위치하던 삼도이동에 소재[6]했으나, 지나치게 협소한 부지 및 비좁은 공간으로 인해서 현 소재지인 아라1동으로 2009년 3월 30일 이전개원했다. 현 소재지는 제주대학교 발전기금재단의 서원농장이 있던 자리로 일대가 감귤밭이었다. 서원 김여종 선생이 1983년 제주대에 기증한 땅이다.

현 규모는 720병상으로 제주도에서 가장 큰 병원이나 일반적으로 3차 병원으로 불리는 상급종합병원은 아니다. 제주도에는 현재 상급종합병원이 없어서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해야 한다고 진단이 나오면 얄짤없이 섬을 나가야 한다. 아예 제주도는 상급종합병원 권역상으로 서울권에 속해있다. 그런데 '굳이 비싼 돈 들여 육지(서울) 가지 말고 제주대병원으로 오라'는 글귀가 병원 1층 접수창구 로비 쪽에 있는 건 함정[7]

제주도 내에서 병원 인지도가 가장 높다. 제주시터미널 근처에 위치한 한국병원이나, 이도이동에 위치한 한마음병원, 연동에 있는 제주한라병원보다도 더.[8]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의료기관으로 황열, 콜레라를 접종할 수 있다.

3. 설치 센터[편집]


제주도에서 가장 큰 병원이며 가장 핵심적인 공공의료시설인 만큼 정부에서 지원하는 각종 의료센터가 여기로 집중되어 있다.
  • 제주지역 암센터
  • 제주지역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 제주지역 권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관절염 전문질환센터
  • 제주지역 소아암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광역치매센터
제주특별자치도 장애인구강진료센터 (보건복지부 지정)

4. 교통[편집]


근처를 지나가는 버스가 많긴 하지만[9] 굉장히 한라산 가까이에 있다.제주의료원의 위치(산천단)까지 생각해보면 병원부지 선정 기준이 뭔가 이상한 것 같다 제주도에서 눈이 많이 내려서 차량통제가 이루어지면 이 병원 앞의 도로가 마지노선. 그럼에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몇몇 진료과는 예약해놓고 3일 이상 기다려야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제주시에서 제주대학교로 향하는 버스는 모두 이 병원을 경유한다. 단, 아라초 정류장~제주대입구 정류장 구간을 가지 않는 노선들은 제외[10].


5. 사건사고[편집]



5.1. 제주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갑질 사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주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갑질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영아 의료사고 사망 사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주대학교병원 영아 의료사고 사망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관련 문서[편집]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3.10. 입원병실 기준[2] 국립대병원은 개별주체가 되지 못하는 일반적인 국립대와 달리 법에 따라 '국립대학병원 설치법', '국립대학치과병원 설치법'에 따라 별개의 독립법인으로 설치하게 되어 있다. 병원의 특수성 때문에 분리된 것. 단지, 법인의 이사장은 해당 대학의 총장이 맡게 되어 있기에 해당 대학이 실질적인 경영을 하게 된다.[3] 제주대 의료원 인수비 국고지원[4] 같은 해 의과대학 인가가 난 강원대학교도 춘천에 위치한 舊 춘천의료원을 인수해서 대학병원으로 바꾸었다.[5] 제주의료원은 아라동 산천단 인근으로 이전하였다. 제주대학교가 인수했다 하더라도 제주도의 입장에선 지방의료원을 운영해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6] 현재는 제주대학교 창업보육센터가 입주해있다.[7] 하지만 (제주대병원에서) 고치기 힘든 난치성 질병이나 중증질환은 별 수 없이 서울에 위치한 병원으로 가야하는 것이 맞을 수 있다. 그 글귀는 그것들을 제외한 케이스들. 허나 그런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은 도내에서 해결 가능하다. 제주대학교병원이 (일반 병원보다는)굉장히 크기 때문.[8] 중앙병원은 원래 일도이동에 있는 E-중앙병원과 이호동에 있는 S-중앙병원이 있었으나 현재는 이호동에 있는 S-중앙병원만 성업중이다. E-중앙병원은 요양병원으로 바꾸려고 하다가 부지가 하필 미관지구에 묶여버리는 바람에 휴업을 할 수 밖에 없었고, 요양병원만 설치하려는 것도 거부당했는지 내과나 재활의학과 운영계획을 거두고 결국 운영을 포기하였다. 결국 2021년 2월 기준 철거되었다.[9] 병원 내부에는 370번, 380번이 진입하고 중앙로 쪽 정류장에는 112번, 122번, 132번, 181번, 182번, 212번, 222번, 232번, 270번, 281번, 341번, 342번, 345번, 346번, 351번, 352번, 355번, 356번, 360번, 365번, 441번, 442번, 446번, 447번, 455번, 477번이 지난다.[10] 아라아이파크 방향인 경우는 특히. 그 방향으로 가는건 월평이나 봉개 방향이 확정적이다.그런데 거기서 봉개를 굳이 들를 노선이 몇이 될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3:12:22에 나무위키 제주대학교병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