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대회 진행
2.1. 예선
2.2. 본선
2.2.1. 64강
2.2.2. 32강
2.2.3. 16강
2.2.4. 8강
2.2.5. 준결승
2.2.6. 결승
3. 이야깃거리


1. 개요[편집]


2023년부터 열리는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2. 대회 진행[편집]




2.1. 예선[편집]




2.2. 본선[편집]



  • 중국 32 / 한국 14 / 일본 11 / 대만 3 / 북미 2 / 유럽 2

  • 본선 직행
    • 한국 (3) : 신진서(세계대회 우승 시드), 박정환(랭킹 시드), 변상일(국가대표 상비군)
    • 중국 (9) : 미위팅 (전기 우승) / 셰커 (전기 준우승) / 스웨 / 탕웨이싱 / 양딩신 / 딩하오 / 리쉬안하오 / 구리 (와일드 카드) / 구쯔하오 (와일드 카드)
    • 일본 (3) : 이치리키 료 / 시바노 도라마루 / 이야마 유타
    • 대만 (1) : 쉬하오훙

  • 예선 통과
    • 한국 (11) : 신민준, 김명훈, 원성진, 홍성지, 박건호, 백홍석,원제훈,안성준(이상 일반조), 최정(여자조) 박승현, 최환영(이상 아마조)
    • 중국 (23) : 커제 / 판팅위 / 퉈자시 / 당이페이 / 탄샤오 / 셰얼하오 / 롄샤오 / 자오천위 / 리웨이칭 / 왕싱하오 /
랴오위안허 / 쉬자양 / 양카이원 / 첸센 / 류위항 / 구링이 / 옌환 / 허위한 / 황밍위 / 위즈잉 (여자) /
저우훙위 (여자) / 왕순보 (아마) / 후위칭 (아마)
  • 일본 (8) : 세키 고타로 / 야마시타 게이고 / 쉬자위안 / 이다 아쓰시 / 모토키 가쓰야 / 위정치 / 오니시 류헤이 /
우에노 아사미 (여자)
  • 대만 (2) : 라이쥔푸 / 천치루이
  • 북미 (2) : 케빈 양 / 알렉산더 치
  • 유럽 (2) : 스타니수와프 프레일라크(폴란드)[1] / 벵자맹 드레앙게나이지아(프랑스)[2]



2.2.1. 64강[편집]


  • 일시 : 2023년 8월 3일
  • 장소 : 중국 허난성 정저우
  • 중계[3] : 바둑TV(문도원, 송태곤) / K바둑(장혜연, 박영훈)
- 중점 중계 대국 : 최정-구리, 신진서-저우홍위[H/L](공통)

대진
결과
파일:중국 국기.svg 당이페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백홍석
154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쉬자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민준
17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옌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상일
129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딩하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건호
279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황밍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명훈
19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랴오위안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성지
185수 흑 3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스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성진
156수 백 불계승[4]
파일:중국 국기.svg 미위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성준
172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판팅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정환
207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훙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74수 흑 3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허위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제훈
20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링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환영
250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퉈자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승현
16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정
22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롄샤오
파일:일본 국기.svg 이치리키 료
160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양카이원
파일:일본 국기.svg 이야마 유타
272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232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구쯔하오
파일:일본 국기.svg 쉬자위안
18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탄샤오
파일:일본 국기.svg 세키 고타로
232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천위
파일:일본 국기.svg 모토키 가쓰야
353수 백 1집반승[5]
파일:중국 국기.svg 셰커
파일:일본 국기.svg 위정치
246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왕순보
파일:일본 국기.svg 오니시 류헤이
228수 백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후위칭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시타 게이고
364수 백 불계승[6]
파일:중국 국기.svg 위즈잉
파일:일본 국기.svg 이다 아쓰시
248수 백 2집반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하오
파일:일본 국기.svg 우에노 아사미
183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왕싱하오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163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천셴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천치루이
- 145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탕웨이싱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라이쥔푸
304수 백 불계승[7]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더 치
181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류위항
파일:미국 국기.svg 케빈 양
-123 수 - 흑 반집승
파일:중국 국기.svg 리웨이칭
파일:폴란드 국기.svg 스타니슬라프
168수 흑 불계승
파일:중국 국기.svg 셰얼하오
파일:프랑스 국기.svg 벵자맹
178수 백 불계승

2.2.2. 32강[편집]



대진
결과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2.2.3. 16강[편집]



대진
결과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2.2.4. 8강[편집]


  • 일시 :


대진
결과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수 - 승

2.2.5. 준결승[편집]



  • 일시 :

파일:국기.svg - 0: 0 파일:국기.svg -
대국

흑번


백번

결과
1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2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3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파일:국기.svg - 0: 0 파일:국기.svg -
대국

흑번


백번

결과
1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2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3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2.2.6. 결승[편집]



  • 일시 : 2024년 5월
  • 장소 :

제5회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결승 5번기
파일:국기.svg - 0: 0 파일:국기.svg -
대국

흑번


백번

결과
1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2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3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4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5국
- / -
파일:국기.svg -
파일:국기.svg -
-
중계: 바둑TV - / K바둑 -
우승
파일:국기.svg -

3. 이야깃거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14:16:07에 나무위키 제5회 Mlily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Stanisław Frejlak[2] Benjamin Dréan-Guénaïzia[3] 유튜브로만 중계하는 경우도 있으나 여기서는 적지 않았다.[4] 상대전적 4패였던 원성진이 스웨를 상대로 상대전적 통산 첫 승을거뒀다.[5] 32판의 대국 중 제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6] 길고 지루한 패싸움이 있었고 많이 진 걸 알고도 돌을 한참을 던지지 않던 후위칭 덕분에 양쪽 합쳐 사석만 100개나 나오면서 수수가 길어졌다.[7] 공배까지 다 메운 뒤 탕웨이싱이 2집 반 진 걸 알고 돌을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