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해방전쟁 참전렬사묘

덤프버전 : r20210301





파일:북한군 참전열사묘1.jpg
조국해방전쟁 참전렬사묘




1. 개요
2. 상세
3. 여담
4. 남북통일 이후?
5. 관련문서



1. 개요[편집]


북한의 6.25 전쟁 참전군인들 중, 6.25 전쟁 당시의 공적으로 공화국영웅칭호를 받은 조선인민군 및 내무성 경비보안대(현 조선사회안전군, 북한의 국경경비대) 군관[1], 사관[2], 사병 군인들이 안장되는 묘지이다.[3]



2. 상세[편집]


파일:북한군 참전열사묘2.png
평양직할시 서성구역 연못동 소재이며, 묘역 자체는 석박산 기슭에 위치한다. 총 600여구 이상의 공화국영웅 칭호를 수여받은 인민군 유해가 여기에 안장되어 있으며, 6.25전쟁 참전자 유해 이외에도 전후복구건설시기에 공적을 세운 군인들, 베트남 전쟁에 파견된 북한군 공군 등의 유해 27구,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당시 전사한 공비들 25명 중 24명도[4] 여기에 안치되어 있다.

묘역 앞에는 '인민군렬사추모탑'이라는 커다란 총대 모양의 탑이 위치해 있는데, 긴 총창(총검)이 달린 총구를 붉은색 천이 감싸고 있고, 천 가운데에 대형 금색 공화국영웅 메달 조각이 붙혀져 있는 형태이다.

묘역은 계단식 묘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윗부분이 둥근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는 각 묘비에는 안장자의 생전 모습을 돌을 조각하여 만든 사진 형식으로 새겨져 있고, 그 아래에 안장자의 이름, 공화국영웅칭호와 6.25전쟁 당시의 직위[5], 생년월일, 사망일자 등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또한, 묘비 맨 아래 부분의 왼쪽에는 금박 처리된 공화국영웅 메달 조각이 부착되어 있다.

남한에서는 6.25 전쟁이나 한국전쟁이라고 통용되지만 북한에서는 조국해방전쟁으로 널리 알려져 있기에 이러한 이름이 붙어있다. 참고로 북한은 한국전쟁을 미국으로부터 이겼다고 스스로 정신승리하고 있으며, 정전협정 체결일을 전쟁승리 기념일로 지정하고 있다. 묘역 내에는 많은 우상화 건축물이 존재한다.


3. 여담[편집]


북한이 매번 여는 전승절에 김정은을 포함한 북한 고위급 관리 및 장성급 군인들이 추모식에 참가한다. 이는 김일성김정일 시대에도 진행되었으며, 내무결속을 위한 행사임을 알 수 있다. 북한 고위급 인사 외에도 조총련조선신보나 중국군 무관이나 대사가 여기에 참석하기도 한다. 대부분 전승절 행사 차 참석하나, 탄도미사일 발사 등 무력 시위 의도가 뻔한 훈련 참관 전후로 들르기도 한다.


4. 남북통일 이후?[편집]


상당한 골치거리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북한이 남한을 먼저 침범한 남침의 원인이 너무나 뚜렷한 상황에서, 한국전쟁의 주범인 인민군들의 유해가 여기에 있는 상태라서, 무작정 철거한다면 북한 주민들의 강한 반발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이 곳에 안장된 유해의 유가족들은 그야말로 사생결단을 내며 덤벼들 것이다. 그렇다고 철거를 하지 않고 그냥 놔두기에는 남한 주민들의 반발심을 살 것이다. 아무래도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조선인민군 및 김씨일가에 대한 우상화 선전물을 모두 철거하고 적군묘지처럼 놔두거나, 여기에 안치된 영구들을 전부 파주시에 있는 적군묘지로 이장해서 두 묘지를 합치거나 먼 훗날 6.25 전쟁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질때 같이 처분시키는게 현재로서는 예측해볼만하다.


5. 관련문서[편집]


[1] 여기서 말하는 군관은 소위부터 총좌(현 대좌)까지이며, 장령부터는 애국렬사릉에 안장된다.[2] 우리나라의 부사관에 해당[3] 6.25 당시의 공적으로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은 군인들은 총 533명이며, 대부분 사망하였지만 일부는 아직 생존해 있는 상태이다.[4] 나머지 한명은 사후 북한에서 장령으로 추서된 후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어 있다.[5] 예를 들면 '조선인민군 군관/사관/사병'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