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울산광역시)

덤프버전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자치구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남구(울산광역시) CI.svg
[[울산광역시청|

시청
]] 남구
파일:동구(울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
북구

자치군
파일:울주군 CI.svg
울주군







울산광역시자치구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중구
中區
Jung-gu





구청 소재지
단장골길 1 (복산동)
광역자치단체
울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3[1]
면적
37.01㎢
인구
208,347명[2]
인구밀도
5,650.36명/㎢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길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3]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석[4]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석[5]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성민 (초선)
상징
구화
울산동백
구목
대나무
구조

지역번호
05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2. 상징
3. 지역 특징
4. 인구
4.1. 행정동별 인구추이
5. 교통
6. 교육
7. 의료기관
9. 하위 행정구역
9.1. 舊 울산군 울산읍 지역
9.2. 舊 울산군 하상면 지역
9.3. 舊 울산군 범서면 지역
10.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자치구. 동천강경계울산광역시 북구, 태화강경계남구, 서쪽으로는 울주군과 접한다.


2. 상징[편집]


중구의 CI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000,#fff 울산광역시 중구의 심벌마크는 중앙을 나타내는 한자의 '中'에서 유추한 것으로 사람의 형상을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 중심의 따뜻한 복지행정′을 추구하는 중구의 구정 목표를 표현한 것이다.
또한 구민과 행정의 화합을 나타내기 위해 포옹하는 자세를 하고 있다.}}}

중구의 브랜드슬로건
파일:중구(울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숨의 ‘ㅅ', ‘ㅜ’의 모양은 태화루, 향교, 동헌과 같은 기와집의 지붕과 처마모습을 형상화 한 것으로, 전통과 문화아래 위치한 울산 중구의 모습을 표현.

중구의 마스코트
파일:중구(울산광역시) 마스코트 가람이.svg
이름은 가람이(울산 중구를 감싸 안은 강의 요정)이며, 울산 중구를 감싸고 흐르는 태화강의 이미지를 통해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울산의 젖줄과도 같은 중구의 모습을 표현하였으며 머리부분의 물결은 태화강, 그것을 감싸는 머리부분과 몸통부분 표현을 통해 중구가 울산의 중심부라는 것을 의미함.

중구의 대표 브랜드
파일:울산광역시 중구 울산큰애기.jpg
{{{#000,#fff ‘울산큰애기’는 예로부터 울산 중구 반구동 여성들을 일컫던 말이다. 중구 반구동은 태화강, 동천강, 약사천 의 접목 지역으로 쌀농사, 과실농사가 잘 되어 궁핍하던 시절에도 상대적으로 경제 형편이 좋았던 곳. 이에 이 지역 여성들은 유난히 성품이 상냥하여 외지인들이 ‘울산큰애기’로 불렀다.
중구는 예로부터 지역 역사와 문화의 중심으로 울산의 모태였다. ‘울산큰애기’가 이런 중구의 이미지에 부합하여 원도심 관광·문화 사업을 ‘울산큰애기 프로젝트’로 명명하고 ‘울산큰애기’를 울산 중구 의 대표 브랜드로 지정했다.}}}

중구의 상징물
구목
대나무
울산12경중 하나인 십리대밭이 울산중구에 위치하고 있고, 사철 푸른 대나무가 역동적인 중구를 나타냄
구화
울산동백
울산 학성에 자생한 희귀한 동백품종으로 역사성이 있고 미래를 향해 발돋움하는 중구의 이미지를 나타냄
구조

학성 등의 지명에서 보듯 예로부터 중구는 학의 고장이었으며 깨끗하고 고고한 기품을 지닌 중구의 이미지와 부합됨


3. 지역 특징[편집]


1990년대까지는 성남동을 중심으로 한 명실상부한 울산의 중심지였으나 삼산[6]이 개발되며 시외버스터미널이 옮겨가고 백화점과 상점가가 들어서고 도심 기능 전체가 남구로 옮겨가면서 중심지의 역할은 빼앗겼다. 그래도 썩어도 준치라고 남구와 함께 울산의 도심으로서 그리고 남구 다음가는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예로 울산광역시경찰청우정혁신도시가 있고 지역방송인 울산MBCUBC 사옥도 중구에 있다. 상권의 경우에도 어린 연령층을 중심으로 성남동을 여전히 많이 찾고 있다.

원도심 지역답게 아파트와 연립주택, 빌라 등이 혼재되어 있다. 특히 교동, 북정동, 복산동 지역은 주택 노후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진행 중이거나 예정된 재개발 떡밥이 울산 내에서 가장 많다. 최근에는 울산시립미술관 건립과 함께 문화도시 이미지를 부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지만[7] 아직까지는 큰 성과는 없는 듯하다. 2010년대 이후로는 우정혁신도시가 들어서 어느정도 활력을 되찾았으나 유동인구 회복에 가장 중요한 시설이자 혁신도시 중심부에 건설될 예정이었던 신세계백화점 건설이 늦어져 정작 그 주변은 휑한 감이 있다. 중구민들은 백화점이 하루빨리 들어와 유동인구가 늘어나고 혁신도시가 활성화되면 다시 중구가 중심지이던 시절의 영광을 되찾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4. 인구[편집]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울산광역시 중구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5년 7월 15일 울산시 중구 설치
1985년 8월 10일
울산시 중구 방어진출장소→ 시 직할로 승격 및 관할에서 분리
1985년 206,462명
1990년 257,490명
1995년 285,414명
1997년 7월 15일 경상남도 울산시 → 울산광역시 승격
중구 일부[8] + 울주구 농소읍·강동면 → 북구 승격 분리, 염포동 → 동구 편입
2000년 232,038명
2005년 235,417명
2010년 232,915명
2015년 244,481명
2020년 217,595명
2023년 11월 208,34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198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동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태화동 32,111명}}}
다운동 21,892명}}}
병영1동 21,162명}}}
성안동 20,427명}}}
병영2동 19,772명}}}
우정동 17,438명}}}
반구1동 16,118명}}}
중앙동 11,695명}}}
학성동 10,922명}}}
복산2동 10,858명}}}
반구2동 8,396명}}}
복산1동 3,866명}}}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4.1. 행정동별 인구추이[편집]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학성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4,047명
1970년 6,872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학성동 + 반구동 → 학성동 신설
1975년 13,833명
1980년 25,638명
1982년 9월 1일 학성동학성동, 반구동 분동
1985년 20,946명
1990년 21,800명
1995년 18,067명
2000년 14,055명
2005년 12,727명
2010년 12,404명
2015년 10,885명
2020년 10,414명
2023년 9월 10,92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반구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56명
1970년 2,575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반구동 일시 폐동 → 학성동 편입
1975년 -명
1980년 -명
1982년 9월 1일 학성동 → 학성동, 반구동 분동
1985년 20,654명
1990년 37,280명
1992년 1월 20일 반구동 → 반구1동, 반구2동 분동
1995년 23,325명
2000년 19,302명
2005년 18,670명
2010년 17,167명
2015년 19,606명
2020년 17,313명
2023년 9월 16,11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반구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2년 1월 20일 반구동 → 반구1동, 반구2동 분동
1995년 13,223명}}}
2000년 10,829명}}}
2005년 9,905명}}}
2010년 10,732명}}}
2015년 9,818명}}}
2020년 8,842명}}}
2023년 9월 8,396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복산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4,218명
1970년 8,703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복산동(법정동) → 복산동(행정동)
1975년 13,090명
1980년 16,674명
1985년 20,429명
1990년 29,094명
1995년 3월 2일 복산동 → 복산1동, 복산2동 분동
1995년 15,895명
2000년 14,260명
2005년 11,887명
2010년 10,913명
2015년 9,265명
2020년 4,810명
2023년 9월 3,86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복산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2일 복산동 → 복산1동, 복산2동 분동
1995년 15,327명}}}
2000년 13,547명}}}
2005년 12,189명}}}
2010년 10,365명}}}
2015년 10,666명}}}
2020년 11,382명}}}
2023년 9월 10,858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중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176명(성남동 4,708명 + 학산동 2,116명 + 북정동 2,964명 + 옥교동 4,601명 + 교동 2,787명)}}}
1970년 22,300명(성남동 5,710명 + 학산동 3,105명 + 북정동 4,232명 + 옥교동 5,449명 + 교동 3,804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학산동 + 옥교동 → 옥교동 신설
성남동 + 교동 → 성남동 신설[Q]
1975년 22,373명(옥교동 10,202명 + 성남동 12,171명)}}}
1980년 28,169명(옥교동 14,242명 + 성남동 13,927명)}}}
1985년 30,457명(옥교동 16,228명 + 성남동 14,229명)}}}
1990년 26,723명(옥교동 13,838명 + 성남동 12,885명)}}}
1995년 20,461명(옥교동 10,733명 + 성남동 9,728명)}}}
2000년 15,851명(옥교동 8,338명 + 성남동 7,513명)}}}
2005년 14,082명(옥교동 7,457명 + 성남동 6,625명)}}}
2009년 1월 1일 옥교동 + 성남동 → 중앙동 합동
2010년 14,808명}}}
2014년 9월 1일 행정동 북정동 폐지
북정동(법정동) → 중앙동 편입
2015년 16,523명}}}
2020년 13,296명}}}
2023년 9월 11,695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우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248명}}}
1970년 7,753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우정동(법정동) → 우정동(행정동)
1975년 13,283명}}}
1980년 16,579명}}}
1985년 19,511명}}}
1990년 22,730명}}}
1995년 24,418명}}}
2000년 26,183명}}}
2005년 22,911명}}}
2010년 22,165명}}}
2015년 22,688명}}}
2020년 19,348명}}}
2023년 9월 17,438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태화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4,106명(유곡동 1,333명 + 태화동 2,080명 + 다운동 693명)
1970년 5,143명(유곡동 1,798명 + 태화동 2,687명 + 다운동 658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유곡동 + 태화동 + 다운동 → 태화동 신설
1975년 6,440명
1980년 9,412명
1985년 14,142명
1990년 22,947명
1995년 3월 2일 태화동태화동, 다운동 분동
1995년 28,260명
2000년 27,031명
2005년 25,245명
2010년 25,891명
2015년 36,553명
2020년 33,809명
2023년 9월 32,1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다운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2일 태화동 → 태화동, 다운동 분동
1995년 22,645명
2000년 31,267명
2005년 32,319명
2010년 31,684명
2015년 28,776명
2020년 23,196명
2023년 9월 21,89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병영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25명(남외동)
1970년 1,888명(남외동)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남외동 + 동동 + 서동 + 장현동 → 병영동 신설
1975년 7,829명
1980년 15,254명
1985년 21,540명
1990년 32,906명
1992년 9월 20일 병영동 → 병영1동, 병영2동 분동
1995년 21,144명
2000년 21,018명
2005년 18,868명
2010년 27,959명
2015년 26,085명
2020년 22,544명
2023년 9월 21,1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병영2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3,654명(동동 2,200명 + 서동 1,050명 + 장현동 404명)
1970년 4,106명(동동 2,389명 + 서동 1,359명 + 장현동 358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남외동 + 동동 + 서동 + 장현동 → 병영동 신설
1975년 -명
1980년 -명
1985년 -명
1990년 -명
1992년 9월 20일 병영동 → 병영1동, 병영2동 분동
1995년 22,218명
2000년 21,073명
2005년 20,007명
2010년 18,152명
2015년 22,378명
2020년 20,522명
2023년 9월 19,7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약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73명
1970년 2,367명
1972년 10월 1일 약사동(법정동) → 약사동(행정동)
1975년 2,057명
1980년 2,599명
1985년 4,133명
1990년 5,884명
1995년 6,218명
2000년 5,453명
2005년 10,344명
2010년 8,853명
2015년 9,504명
2020년 10,960명
2023년 9월 10,68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성안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52명
1970년 1,360명
1972년 10월 1일 북정동 + 성안동 → 북정동 신설
1975년 6,220명
1980년 6,918명
1985년 6,900명
1990년 6,923명
1995년 4,877명
2000년 7,586명
2005년 16,961명
2010년 21,822명
2014년 9월 1일 행정동 북정동 폐지
북정동(법정동) → 중앙동 편입
성안동(법정동) → 성안동(행정동) 신설
2015년 21,734명
2020년 21,159명
2023년 9월 20,4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5. 교통[편집]






강만 건너면 울산의 중심인 남구이며 북부순환도로가 있어서 북구 방향으로 진출하기도 용이하다. 울산 시내버스의 절반 정도가 성남동을 지나며[9] 7번 국도, 14번 국도31번 국도가 구역을 관통한다.

알파카 킥보드가 서비스되기 시작했다. 서비스 구역은 알파카(서비스) 문서의 3.1. 이용 가능 장소 참고.


6. 교육[편집]



  • 고등학교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울산광역시 중구 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 중학교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울산광역시 중구 중학교

[ 펼치기 · 접기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남외중학교
다운중학교
무룡중학교
성안중학교
약사중학교
외솔중학교
가온중학교[1]
울산제일중학교
울산중학교
유곡중학교
학성여자중학교

[1] 구 울산여자중학교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 초등학교





7. 의료기관[편집]


울산에서 두 번째로 큰 동강병원(569병상)이 태화동에 있다. 한때 울산 최대의 병원이었으나 상당히 오래된 의료기관인 만큼 현재는 시설이 다소 낙후된 상태. 그래도 울산대학교병원 다음으로 많은 병상수를 가지며 울산 내에서의 위상은 높다. 남외동에는 동강병원의 자매병원인 동천동강병원(247병상)이 있다.


8.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구(울산광역시)/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ulsanjoongunewmap.jpg


9.1. 舊 울산군 울산읍 지역[편집]


1914년 군면대폐합 때 상부면과 내현면을 부내면으로 합병하여 부내면이 출범했으며, 1917년 부내면이 울산면으로 개칭되었다. 1931년 울산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45년 대현면을 흡수해서 대현출장소로 편제했었으나 1년도 못 가 다시 뱉어냈다. 1962년 울산읍이 출범하는 울산시에 흡수되어 사라졌다. 이외에도 울산읍이었던 곳은 남구 달동·삼산동·신정동·옥동이 있다.


9.1.1. 복산1동, 복산2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복산동(일부)이며, 복산2동은 법정동 약사동(일부)도 관할한다. 계변로를 중심으로 서쪽이 1동, 동쪽이 2동이다. 2024년 1월 1일부러 두 행정동이 하나로 합쳐질 예정이다.
  • 복산1동: 인구는 3,731명.[P] 보통 인식은 슬럼가로 알려진 곳이다. 단독주택이 대부분이고 거주자 중 노인과 수급자 비율도 제법 되었으며 저녁에 불이 켜지는 유흥업소들도 제법 있었을 정도이다. 그러나 최근에 재개발이 되어 번영로 센트리지(2,625세대)가 2023년 입주를 시작하면 위와 같은 동네 분위기는 거의 사라졌다. 덕분에 동 내에 건립된 복산조각공원과는 심한 괴리감이 느껴진다. 서덕출조각공원을 사이로 북정동과 마주하고 있다. 학교는 복산초, 함월초, 울산중, 성신고가 있다.
  • 복산2동: 인구는 10,882명.[P] 중구청이 있다. 과거에는 울산 지역 부유층이 거주하던 동네였으나 아파트단지로 재개발된 동네이다. 홈플러스 울산점이 있고 래미안, 효성해링턴, 서한이다음 등 아파트단지 주변으로 학원가도 형성되어 있다.[10] 또, 삼성 디지털프라자 중울산센터 및 삼성전자서비스센터도 홈플러스 바로 옆에 있다. 학교는 울산고가 있다.


9.1.2. 성안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교동(일부)·북정동(일부)·성안동이다.[11] 인구는 20,517명.[P] 원래 교동은 중앙동, 성안동은 북정동에 속했던 곳이었으나 2014년 9월 1일 행정동 북정동이 폐지되고 성안동이 신설되면서 교동과 북정동의 북부순환도로 북쪽 부분을 편입하였다.

성안동은 1990년대까지는 아무것도 없는 그저 험한 산악지대였지만 시가지로 개발됨에 따라 울산지방경찰청같은 일부 공공기관이 옮겨왔다. 이 동네는 산을 개발한 곳이라 그런지 걸어서 올라가면 매우 힘들다. 시가지가 해발고도 150m 가량에 위치하는데 어찌보면 요새(fortress, 성(城) 안) 같기도 하다. 청주 성안길처럼 城의 안쪽에 있어서 붙은 이름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사실 城과는 관련이 없다. 부처님 오신 날에는 많은 불교 신자들이 찾는 백양사가 유명하다. 북정동 시절 성안동 주민들은 주민센터에서 업무를 보려면 북정동까지 내려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 때문에 분점 형태로 민원실을 따로 설치했었다. 지금은 성안동 내에 크고 깔끔한 주민센터가 세워져 있다.

법정동 성안동 지역은 북부순환도로에서 북쪽으로 한참 올라가야 나타나는 반면 혁신도시가 있는 교동, 북정동은 북부순환도로와 붙어 있다. 혁신도시가 완성되면서 한국동서발전 본사, 한국산업인력공단/근로복지공단/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본사,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있다.

관내 학교는 백양초, 성안초, 성안중, 울산애니원고가 있다.


9.1.3. 우정동[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7,536명.[P]

90년대에 선경(현 SK)그룹이 방직공장을 헐고 아파트단지[12]를 지은 것[13]이 시가지 개발의 시작이다. 최근에는 혁신도시 사업인 우정혁신도시의 중심 지역이라 집값도 많이 오르는 등 행보가 심상치 않다. 학교는 우정초가 있다



9.1.4. 태화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태화동(울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관할 법정동은 유곡동·태화동(일부)이다. 인구는 32,227명[P]으로 중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동이다.

우정혁신도시의 연장선상에서 아파트단지들이 많이 들어섰다. 울산중부소방서, 울산광역시교육청 등의 공공기관도 있으며, 태화강변에는 태화강국가정원이라는 큰 공원도 있다. 공원 맞은편에 울산 제2의 병원인 동강병원이 있다. 학교는 울산초, 유곡중, 함월고가 있다.


9.1.5. 중앙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동(울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관할 법정동은 교동(일부)·북정동(일부)·성남동·옥교동·학산동이다. 인구는 11,776명.[P]

성남동은 울산 최대 상권이었으며 지금은 많이 쇠퇴했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유동인구는 여전히 많다. 울산향교, 울산시립미술관이 있다. 학교는 양사초가 있다.


9.1.6. 학성동[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0,989명.[P]

환승의 요충지로 더 잘 알려진 학성공원, 울산MBC가 있다. 과거 동해남부선 철로가 있던 시절에는 이곳을 중심으로 도시가 크게 발달하였다. 그리고 또, 서희건설의 번영로 서희스타힐스 에듀파크가 이 곳에 들어올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태화강역참고. 학교는 옥성초가 있다.


9.2. 舊 울산군 하상면 지역[편집]


1914년 군면대폐합 때 하부면과 내상면이 합병되어 하상면이 출범하였고, 1962년 출범하는 울산시에 흡수되어 사라졌고 그 자리에 병영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6년에 병영출장소가 폐지되었다. 이외에도 하상면이었던 곳은 북구 명촌동·연암동·진장동·효문동·양정동이다.


9.2.1. 반구1동, 반구2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반구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관할 법정동은 반구동이다. 반구사거리를 기준으로 남쪽이 1동, 북쪽이 2동 정도 된다.
  • 반구1동: 인구는 16,229명.[P] e편한세상 강변(1,112세대) 제외하면 아파트단지는 거의 없고 대부분 빌라다. 학교는 내황초, 울산중앙여고가 있다.
  • 반구2동: 인구는 8,433명.[P] 소형 아파트들이 꽤 많긴 하나 빌라와 원룸이 많은 것은 1동과 별 차이 없다. 학교는 학성초, 가온중이 있다.


9.2.2. 병영1동, 병영2동[편집]


병영동이라는 법정동은 없다. 다만 여기에 옛 병영성이 있어서 이름이 붙여진 곳.
  • 병영1동 : 관할 법정동은 남외동이다. 인구는 21,266명.[P] 중구보건소, 울산중부경찰서, 노인복지회관, 울산광역시 공설운동장과 동천체육관을 끼고 있다. 과거에는 대부분이 허허벌판이었으나, 최근 몇년새 아파트 러쉬를 이루어 현재는 푸르지오, 에일린의 뜰, 삼일아파트 등 아파트 밀집구역으로 변화하였다. 참고로 남외동이라는 명칭은 옛 병영성 남문 바깥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학교는 남외초, 남외중이 있다.
  • 병영2동 : 관할 법정동은 동동·서동·장현동이다. 인구는 19,865명.[P] 보통 병영이라 하면 이곳을 일컫는다. 연암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필히 거치는 곳. 동의 동쪽엔 한국폴리텍대학 울산캠퍼스(舊 울산기능대학)이 있다. 학교는 병영초, 삼일초, 외솔초, 외솔중이 있다.


9.2.3. 약사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약사동(울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0,762명.[P]

래미안과 더샵, 아이파크와 같이 대형 평수 아파트들이 많은 중산층 주거지역이다. 학교는 무룡초, 약사초, 평산초, 무룡중, 약사중, 약사고, 학성여고와 특수학교인 울산혜인학교가 있다.


9.3. 舊 울산군 범서면 지역[편집]



9.3.1. 다운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다운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관할 법정동은 다운동·태화동(일부)이다. 인구는 22,033명.[P]

원래는 법정동 태화동 쪽으로만 택지가 조성되었으나 점차 다운동 쪽으로 연장되었고, 현재 척과천을 따라 다운동 안쪽으로 택지지구가 조성되고 있다. 울산테크노파크가 있다. 학교는 다운초, 다전초, 명정초, 다운중, 울산제일중, 학성여중, 다운고, 울산중앙고가 있다.


10.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4:05:02에 나무위키 중구(울산광역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8개 법정동, 13개 행정동[2]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3] 중구 가선거구 (학성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중앙동) : 김태욱
중구 나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 김도운
중구 다선거구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박경흠, 문기호
중구 라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 강혜순
비례대표 : 홍영진
[4] 중구 가선거구 (학성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중앙동) : 안영호
중구 나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 문희성
중구 다선거구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정재환
중구 라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 이명녀
[5] 중구 제1선거구 (학성동, 복산1동, 복산2동, 성안동, 중앙동) : 권태호 (초선)
중구 제2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 김기환 (3선)
중구 제3선거구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 이성룡 (3선)
중구 라선거구 (반구1동, 반구2동, 약사동) : 김종섭 (재선)
[6] 개발되기 전에는 논과 밭이었고, 이름 그대로 3개의 산이 있었다.[7] 병영, 왜성(학성공원), 태화루, 향교 등 유적이 많은 데다가 슬로건부터가 '문화가 살아 숨쉬는 중구'이다.[8]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Q] 북정동은 성안동과 함께 행정동 북정동이 되었다가 2014년 행정동 북정동이 폐지되며 다시 이관됨.[9] 나머지 절반 정도는 삼산동을 지나며, 심지어 둘 다 훑는 노선도 존재. 이 둘을 지나지 않는 노선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P] A B C D E F G H I J K L M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10] 사실 울산에서 옥동을 빼면 학군은 없는 수준이지만 여기가 중구에선 그나마 가장 학원이 많기는 하다.[11] 카카오맵에 행정동 경계가 잘못 적용되어 있다.[12] 우정 선경1차아파트(866세대), 우정 선경2차아파트(1,613세대)[13] 과거에 부유층이 많이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