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시조

덤프버전 :

분류

中始祖
1. 개요
2. 특성
3. 목록



1. 개요[편집]


족보성씨본관을 말할 때, 시조의 후손으로서 중간에 가문을 일으킨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중조(中祖)라고도 하며, 주로 시조 항목의 1번 의미와 구별되어, 성을 받은 사람은 시조로. 시조의 자손들 중 가문을 번영하게 하거나 중흥시킨 사람들의 경우 중시조로 구분한다.


2. 특성[편집]


계보학에서는 중시조에 주목하고 있는데, 시조는 숭조사업으로 인한 추숭으로 과장 윤색되거나 아예 가공의 인물일 경우가 상당하며 중시조가 실질적인 시조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 이와는 좀 다르게 기록이 부실하여 중시조가 시조로 잘못 알려졌던 경우도 있다. 상나라탕왕은 그동안 시조로 알려졌었는데, 지금까지 발굴된 갑골문에 따르면 시조가 아니라 나라를 부흥시킨 중시조라고 한다. 실제 상나라의 시조는 삼황오제 시대 제곡까지 이어진다고 한다.

이 '가문' 이 왕실이 되는 경우 중시조에게는 묘호에 '종' 이 아니라 '조' 를 받는다. 고려는 오직 태조만이 '조'를 받았고, 실질적인 중시조이자 최고의 성군으로 꼽히는 현종마저도 '종'을 받았을 정도로 '조'를 붙이는데 신중했던 반면(그나마도 원나라침입 이후에는 '종'조차도 붙이지 못했다), 조선은 '조' 를 지나치게 남발했다는 평을 받는다.[2] 왕조나 통치가문에서는 대체로 (개국 이전부터 추산한) 건국군주, 전성기의 명군, 중흥 군주, 왕사의 중간 왕통(중통)을 겸하는 경우가 많다.


3. 목록[편집]



3.1. 한국사[편집]


  • 고구려 - 태조대왕, 미천왕
  • 백제 - 고이왕, 근초고왕, 무령왕
  • 신라 - 내물 마립간, 지증왕, 태종 무열왕, 열조 원성왕[3], 신덕왕
  • 발해 - 선왕[4]
  • 고려 - 현종[5]
  • 조선 - 선조, 인조[6]


3.2. 세계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7:10:08에 나무위키 중시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를 들면 고구려 태조대왕이 있다. 태조대왕이 실제 고씨 왕실의 첫 왕이고 그 전 왕들은 아예 다른 왕계였다는 설이 그것이다.[2] 조선에서 실제로 재위한 군주들 가운데 조의 시호를 받은 왕은 창업군주인 태조 이성계를 비롯하여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까지 총 7명이나 되며 추존 왕인 태조 이성계의 4대조(고조부 목조 이안사, 증조부 익조 이행리, 조부 도조 이춘, 부친 환조 이자춘), 대한제국 시기에 장조로 추존된 사도세자, 역시 대한제국 시기에 문조로 추존된 효명세자까지 합치면 무려 13명이나 된다. 단, 영조, 장조, 정조, 문조는 대한 제국으로 국호가 변경되면서 새롭게 4대조 추존을 위해 추존된 것이다. 고종의 4대조 중 한 명인 순조는 이미 철종이 묘호를 변경했기에 종에서 조로 바뀐 상태였다.[3] 서양으로 따지면 아예 왕조가 교체되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이전 왕들과 촌수가 멀어 사실상 새로운 왕통을 열었고 시대 분류상 중대와 하대로 구분된다.[4] 선왕부터는 고왕 왕통이 아닌 대야발의 후손이다.[5] 현종부터 비로소 고려 초기의 혼란기가 종식되었고, 이후 모든 고려 군주들이 현종의 후손이다.[6] 인조 이후로 효종의 남계 후손이 모조리 단절되다시피한 상황에서 인평대군의 후손 고종왕위에 오르면서 중시조가 되었다.[7]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의 개창자.[8] 표트르 1세의 외손자로서 왕위를 계승해서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를 개창한 표트르 3세가 공식적으로는 중시조지만, 표트르 3세의 외아들인 파벨 1세의 아들들 중에서 유일하게 아들을 낳았고 니콜라이 1세의 아들들이 모두 엄청난 아들부자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중시조는 니콜라이 1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