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군

최근 편집일시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아시아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유럽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 오세아니아 ]⠀





캄보디아 왕립군
| Royal Cambodian Armed Forces


캄보디아 왕립군 상징
국가
[[캄보디아|

캄보디아
display: none; display: 캄보디아"
행정구
]]

소속
캄보디아 국방부
최고사령관
노로돔 시아모니
통수권자
훈 마넷
국방부장
띠어 반
상비군
131,900명
예비군
200,000명
병역제도
징병제, 모병제(징모혼합제)
육군력
[ 펼치기 · 접기 ]

해군력
[ 펼치기 · 접기 ]

공군력
[ 펼치기 · 접기 ]

예산
국방비 총합
8억달러(2022년이후)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수뇌부
3. 편제
3.1. 왕립육군
3.2. 왕립해군
3.3. 왕립공군
3.4. 왕립 헌병대
3.5. 특수부대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캄보디아의 군대. 1953년에 창설되었다가 공산혁명으로 인민군이 되었다가 1993년에 다시 왕립군으로 복귀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Norodom_crop.jpg

통수권자는 국왕인 노로돔 시하모니(1953-)이다. 캄보디아도 국가 특성상 문민통제가 어려워서 국방부장을 전직 4성 육군 장군인 띠어 반(1945-)[1]이 지내고 있다. 총병력 10만 5천명으로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군종
규모
육군
85,000
해군
3,000
공군
2,500
특수전군
5,000
왕립 헌병군
10,000
총병력
105,000

으로 되어있다. 본래 12~14만명 규모를 유지했으나 02년부터 본격적으로 군축을 시작하여 2만명의 규모을 줄였으며 추가적으로 03년에 3만명을 추가 감축하려고 했으나 여러가지 정치적 문제로 중지되어서 오늘날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캄보디아군은 총 5번의 군대의 변화를 겪었으며 이중 하나는 다시 회귀한 형태이다. 1953년 프랑스 식민지군으로서의 크메르 왕립군(Royal Khmer Armed Forces (FARK))으로 시작하여 1970년경 독립과 함께 크메르 국군(Khmer National Armed Forces (FANK))으로 개칭되어서 독립국가의 군대가 되나 크메르 루주의 공산 쿠데타로 인하여 캄푸치아 혁명군(Revolutionary Army of Kampuchea (RAK))으로 1975년만에 다시 변화하게 된다.

크메르 루주때 사실상 공산군이 되어서 베트남 침공이 시작되는 1979년에 프놈펜 정부에 의해서 다시 재조직된 캄푸치아 인민혁명무장역량(Kampuchean People's Revolutionary Armed Forces (KPRAF))이라는 체제로 변경된다.[2]

결국 1993년에 다시 합법적으로 선출된 1기 정부에 의해서 캄보디아 왕립군(Royal Cambodian Armed Forces)이라는 명칭으로 다시 복권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군사체제 변혁이나 쿠데타 등을 막기 위해서 캄보디아 왕립 헌병대(Royal Gendarmerie of Cambodia)이 국왕의 직속부대 겸 치안통제등의 활동을 하기 위해서 창설되게 된다.


2. 수뇌부[편집]


파일:캄보디아 국장.svg
상징적 통수권자
실질적 통수권자
국방부장
총참모장
파일:kingSihamouni.jpg
파일:Hun_Manet_(2022).jp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노로돔 시아모니 국왕
훈 마넷 수상
티 세이하 육군 대장
봉 피센 육군 대장
육군사령관
해군사령관
공군사령관
헌병대장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마오소판 육군 중장
티 빈 해군 중장
소응삼낭 공군 대장
사오소카 헌병 대장



3. 편제[편집]



3.1. 왕립육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캄보디아 육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oyal_Cambodian_Army_logo.jpg

85,000명 수준으로 가장 규모가 크다. 1-5구역과 특별영역[3]으로 나뉘어 캄보디아 영토를 방위한다. 총 5개 군단이 야전군 사령부를 겸하는 형태를 취하며 수도를 중심으로한 내륙 중부는 특수전사령부가 담당하고 있다. 주로 공산권 군대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탓에 공산권 무기들을 주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장비는 여러모로 낙후한 장비가 운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갑전력은 경전차를 합쳐서 500대가 넘는 것으로 추산되지만 주력 전차가 T-54T-55로 상당히 노후화되어 있다. 90년대 지상군의 기계화를 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장비가 들어왔다고 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Cmdp.jpg

사진은 수단 공화국에 파견된 캄보디아 육군 장병들.


3.2. 왕립해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캄보디아 해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Logo_navy_Big.png

해군의 규모는 3500명 수준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US_Navy_100607-N-6770T-001_Royal_Cambodian_Marines_embark_aboard_the_amphibious_dock_landing_ship_USS_Tortuga_%28LSD_46%29.jpg

미합중국 해군 소속의 토르투가함에 훈련을 하러 탑승하는 캄보디아 해병대원들.


3.3. 왕립공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현대 캄보디아 왕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캄보디아 왕국군 (1993~현재)
កងទ័ពយុទ្ធពលខេឞរភូមិន្ទ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AS350 · AS355 에쿠루일 (1/2) | AW109S 트레커
'''

다목적 헬기
'''
Mi-17-1V | Mi-8(S/T/MT) | Z-9(EH/WE)
수송헬기
Mi-26TR
'''[[전투기|

전투기
]]'''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bis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MA-60 | BN-2A 아일랜더 | 하얼빈 Y-12
'''[[훈련기|

훈련기
]]'''
제트
L-39C 알바트로스 | MiG-21UMR
VIP 탑승기
A320-214 | Mi-8AMT | 하얼빈 H-425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30px-Royal_Cambodian_Air_Force_Wings.svg.png

공군의 규모는 2500명 수준이다. 규모가 매우 영세해 고정익기 5기, 회전익기 18기 정도밖에 안 되고 전투기는 한 대도 없다.

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공군기와 여타 수송기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공군이 제대로 가동되던 시점도 그 시점으로 알려져 있다. 비행기지는 프페놈 국제공항과 Pochentong 공군 기지로 두개의 기지가 운영되며 현재까지 알려진바로는 전투기와 같은 전술기는 존재하지 않으며 주로 수송기와 헬기만 운영하고 있다.

수송기
규모
헬기
규모
총 기체수
5대
20대
에어버스 A320
1대[4]
Mi-17
5대
MA60
2대
Mi-26
2대
Y-12
1대
Z-9
11대
BN-2
1대
AS350[5]
2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공군 산하의 축구단이 C-리그(캄보디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뛰고 있다.


3.4. 왕립 헌병대[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40px-Khmer_Gendarmerie_emblem.gif

캄보디아는 프랑스의 영향으로 군에 대한 견제 및 통제를 위해 헌병을 독립된 군종으로 운용하고 있다.

쿠데타를 막기 위해 헌병대는 1만 명 수준의 병력을 보유하며, 이는 전군의 10%에 해당하는 비율이다. 이들의 직속상관은 캄보디아 국왕이며, 헌병대는 거의 모든 군을 통제하는 사실상의 실세이다.


3.5. 특수부대[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20px-Coat_of_arms_of_Cambodia.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mbodgian_paratroopers.jpg

공식적으로는 육군 소속이지만, 특수부대사령부(Special Forces Command) 예하로 육군 특수부대, 해군 특수부대, 대테러부대 등이 전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사실상 분리된 구조다.

예전에는 제911특무연대로 알려져 있었으며, 특공대로 구성된 신속대응군 역할을 맡았다. 구성원들은 인도네시아 육군 특수부대인 코파서스에게 훈련을 받았으며, 총 13개 대대로 구성되었다. 4개는 공수부대, 4개는 특공대, 3개는 예비대였으며, 대테러와 경호를 수행하는 2개의 독립단이 있다. 이들은 구 소련제 무기가 아니라 중국제와 한국제 무기들을 운용하고 있다.

해군 특수부대의 경우 대한민국의 해군 특수전전단 예비역들에게 훈련을 받은 뒤 캄보디아 최초의 특수부대로 창설되었다.

파일:external/3.bp.blogspot.com/1538833_1447547485457914_732324533_n.jpg

대테러부대에서는 M4 카빈도 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BHQ라고 쓰인 패치를 부착하고 다니는 '요인경호본부'도 있으나, 이들은 훈 센 총리 개인의 사병 겸 친위대라고 한다. 현재 캄보디아가 독재 중인 나라이므로 정보가 잘 공개되지는 않으나 해외 커뮤니티의 캄보디아인들에 의하면 이 요인경호본부에 대한 민간의 평은 매우 나쁜 것으로 보인다. 그와 별개로 이들은 대부분이 옵스코어 헬멧과 플레이트 캐리어를 비롯한 고급 장구류를 사용하며, 중국제/서방제 화기로 무장하고 있다.


4. 관련 문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 부수상을 겸직하고 있다.[2] 이 말고도 내전상황이었기에 크메르 인민민족해방무장역량(Khmer People's National Liberation Armed Forces (KPNLAF))이라든지 국립 크메르 독립군(Khmer Independent ANKI (previously called Armées Nationale Sihanoukist ANS))이라는 명칭의 우익무장조직까지 난립한 상황이었다.[3] 한국수방사와 같은 역할. 프놈펜 인근 지역을 방위한다.[4] VIP용[5] AS355 기종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