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최근 편집일시 :


1. 지역
1.1. Korea
1.1.1. 대한민국의 영문명 Korea
1.1.1.1. 스포츠 대회에서 남북단일팀으로 출전시 사용하는 명칭
1.2. 다른 국가
1.2.1. 인도 번왕국 중 하나였던 소국 Koriya
1.3. 지명
1.3.1. 아시아 극동에 위치한 Korean Peninsula
1.3.2. 인도 차티스가르(Chhattisgarh) 주의 구
1.4. 도시
2. 예술
2.1.1. 탁구를 소재로 한 국내영화 '코리아'
2.2. 그리스의 전통무용 χορεία
2.3.1. 노래
2.3.1.1. Leslie Mandoki & Csepregi Éva (Eva Sun)의 곡 'KOREA' (1987)
2.3.1.2. 데프톤즈의 곡 'Korea' (2000)
2.3.1.3. 싸이의 곡 'KOREA' (2012)
2.3.2. 아티스트
2.3.2.1. 스웨덴의 밴드 Korea
2.3.2.2. 러시아의 밴드 Korea
2.3.2.3. 러시아의 록 그룹 Chorea
2.3.2.4. 스페인의 밴드 Corea
3. 인명
3.1. 성씨 Correa, Correia
3.2. 스리랑카의 성씨 Corea
4. 질환 Chorea
5. 과거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단 KOREA
8. 비상업 영화 월간지 Corea
9. 정부 발행잡지


1. 지역[편집]



1.1. Korea[편집]



1.1.1. 대한민국의 영문명 Korea[편집]


코리아(Korea). 대한민국의 공식 영문명 'Republic of Korea'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영문명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영어 발음은 /kəˈɹi.ə/(커리어)라고 하나, 위키낱말사전에 의하면 원순화해서 [kʰɵˈɹi.ə](코리어)에 가깝다고 한다.[1] 독일어 발음은 '코레아(Korea)'다. 한자문화권 국가들과 몽골 문화권[2]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와 유사한 발음의 이름을 쓰며 Corea, Koreya 등의 변형이 있다. 각국에서의 사용은 대한민국/국명 문서 참고. 음역어로는 '가서아(柯瑞亞)[3]'다.

코리아라는 이름이 국제적으로 처음 쓰이게 된 것은 고려시대 벽란도에서 교역하던 무슬림 상인들이 '고려'라는 국명을 아랍어로 '쿠리야()'[4]라고 부른 것이 기원이라는 설이 유력하다.[5]

당대 서적에 가 나라이름을 뜻할 때는 '려'가 아닌 '리'로 발음한다고 써 있는 것을 근거로 고려시대 당시 사람들에게는 '고려'가 아닌 '고리'로 불렸다는 설이 있다. 그러다가 麗의 발음을 이원화하기 복잡해서 점점 그냥 '고려'로 발음하게 되었지만, 당시 사람들은 '고리'로 발음했고, 교역하던 외국 상인들이 '고리'뒤에 라틴어계 언어에서 '땅'을 뜻하는 '-a'를 붙여서 코리아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전자의 설만을 근거로 '고리'라고 발음해야 한다고 단정하기엔 확실하지 않다. 《삼강행실도언해(1481)》 등 동시대에 간행된 다른 한글 서적에는 고구려와 고려의 이름이 한글로 '고구려', '고려'라고 분명히 적혀있다. 조선후대의 《오륜행실도(1797)》 등에도 한글로 '고려적', '고려'라고 적힌 표기가 있어 한글 '고려'표기가 이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조선에서 공식적으로 편찬된 자료들에 표준 발음이 '고려'라고 나온 것을 보면, '고려'라는 발음 역시 상당한 역사성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Korea의 어원이 '고려'이기 때문에 바로 그 고려를 무너뜨리고 세워진 나라였던 조선 때는 외국인들이 코리아라고 부르는 것을 당연히 거북하게 여겼다. 실제로 고종 때는 대한제국을 'Korean Empire'라고 하지 말고 Empire of Dai Han이라는 영문 호칭을 사용해주길 주한 외국 공사관에 요청한 적도 있었는데 거의 무시당했다. 결국 대한제국도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한 후 포기하고 코리아란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당시 조선 및 대한제국이 발행한 우표에는 영어 및 프랑스어로 Corea, Korea, Corée 등으로 나라 이름을 적었다.[6][7]

현대에 Korea는 남북한 전부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8] 북한에서도 틈이 생기면 자신이 Korea를 대표하고자 하지만[9], 국제사회에서는 대한민국이 Korea라는 단순명칭을 선점하여 사용하여 온 역사가 길다. 정부 수립 직후부터 국제스포츠 대회에 Korea 또는 Korea Republic[10]이라는 명칭으로 참가했고,[11] 모든 국산 제품에 Made in Korea 라는 표시를 하여 수출했다. KOR, KR라는 Korea의 약어도 대한민국이 선점하였다. 덕분에 Republic of Korea의 약어인 ROK는 군대 명칭에 대한 약어 'ROK Armed Forces' 외에는[12][13] 용례가 드물다. 북한은 울며 겨자먹기로 수식어를 덧붙여 DPRK 또는 DPR Korea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

1990~2000년대에는 북한의 국제 활동도 늘어나고, 북한이 핵개발 이슈 등으로 국제 뉴스에 활발하게 등장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Korea라고만 하면 North인지 South인지 물어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10년대를 거치며 지금은 다시 상황이 바뀌어, 대한민국의 위상이 대단히 커지면서 '코리아'에서 왔다고 하거나, 여행을 다녀왔다고 하면 외국인들도 남한으로 알아듣는 경우가 확실히 많다. 심지어 제3국간의 공식 외교석상에서도 Korea라고만 하면 북한이 아닌 대한민국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꽤 있는 듯 하다.[14]

한편 과거 Korea 표기는 본래 Corea였는데 일제알파벳J(Japan) 뒤에 가도록 하기 위해서 'C'를 'K'로 고쳤다는 루머가 인터넷으로 퍼져 이를 바로잡자는 운동이 일어난 적이 있다. 그러나 이는 근거 없는 도시전설에 불과하다. 보다 상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고.


1.1.1.1. 스포츠 대회에서 남북단일팀으로 출전시 사용하는 명칭[편집]

대한민국은 '한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이라고 하기 때문에, 단일팀 명칭을 중립적인 '코리아'로 합의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남북단일팀 참조.

야구 국제대회 세계야구 협회인 wbsc 주관 대회등에서는 south korea라고도 부르지만, 남북단일팀이 아니라도 그냥 korea republic도 아닌 korea라고 표기하고 외국해설자도 korea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북한은 wbsc랑 아시아야구 bfa 아시아연맹에도 가입해 있지만, 야구를 자본주의의 유희로 여겨 탄압했고, 재일동포 출신이나 같은 사회주의 국가임에도 야구가 번성한 쿠바등을 통해 야구로 교류를 하기도 했고, 90년대 초에는 국제대회에 야구대표팀을 꾸려서 참가하기도 했지만, 고난의 행군이후에는 야구국제대회에 대표팀을 보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차피 북한이 참가할 일이 없기에 구분할 필요도 없이 그냥 한국을 korea라고 부르는 것. 영상을 보면 대표팀을 보내지 않을뿐 북한에서도 야구를 소수이지만 하긴 하는 모양이다. 북한 주민들 상당수는 야구라는 종목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1.2. 다른 국가[편집]



1.2.1. 인도 번왕국 중 하나였던 소국 Koriya[편집]


파일:alsorea.png
Koriya의 국기

Korea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는 대놓고 Korea State가 표제명이다.

현재 인도 레와(Rewa) 지방과 수루구자(Suruguja) 지방 사이, 당시 기준으로 오디샤 일대에 위치했다. 1941년 기준 면적 4,224㎢, 인구 12만 6874명. 이 나라를 포함한 인도 번왕국들은 인도가 독립하면서 1948년 1월 1일부로 통치권을 인도 정부에 양여하였다.


1.3. 지명[편집]



1.3.1. 아시아 극동에 위치한 Korean Peninsula[편집]


우리가 흔히 한반도라고 부르고, 북한에서는 조선반도라 부르는 지역의 영문 명칭. 한반도에 관한 주장이 아닌 남북한 국명에 관한 부분은 윗 문단인 '국가' 문단을 참조.


1.3.2. 인도 차티스가르(Chhattisgarh) 주의 구[편집]


Korea 구(District)는 앞 문단의 'Koriya' 왕국에서 이름을 따왔다. (지방 정부 홈페이지:https://korea.gov.in/)


1.4. 도시[편집]



1.4.1. 인도[편집]




1.4.2. 미국[편집]




1.4.3. 핀란드[편집]


인구 4천여 명의 소도시. 근처의 주요도시는 라띠(Lahti), 꼿까(Kotka)가 있으며 헬싱키에서 129km 떨어져 있다.


1.4.4. 파키스탄[편집]




1.4.5. 푸에르토리코[편집]




1.4.6. 기타[편집]




2. 예술[편집]



2.1. 영화[편집]



2.1.1. 탁구를 소재로 한 국내영화 '코리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코리아(영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그리스의 전통무용 χορεία[편집]


러시아의 호로보트(хоровод) 같은 춤들이 여기서 파생되었다고 한다.


2.3. 음악[편집]



2.3.1. 노래[편집]



2.3.1.1. Leslie Mandoki & Csepregi Éva (Eva Sun)의 곡 'KOREA' (1987)[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OREA(노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헝가리인인 레슬리 만도키가 작곡한 이탈로 디스코로, 징기스칸의 보컬이었던 레슬리 만도키와 뉴튼 패밀리의 멤버인 에바 선이 같이 부른 노래로 1987년 발표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대표하는 노래 중 하나였다.


2.3.1.2. 데프톤즈의 곡 'Korea' (2000)[편집]


미국록밴드 데프톤즈(Deftones)가 2000년 발표한 White Pony 앨범의 8번 트랙 곡명. 길이 3분 23초.

가사가 심히... 뭐랄까... 매춘부를 묘사하는 부분이 많아서 한국인으로서는 듣기에 거시기할 수 있다. 이하는 가사 전문.

I taste you much better
off teeth taste
of white skin on red leather
check the claws we got
night time cavity to come in downtown
pony work your pitch
I came to in feathers
like leaves and you
rubbed me together
with claws like we got
night time cavity to come
in downtown pony
work your pitch
day time dancer
I'll come inside
got my teacher
now carve your niche

첫 구절부터가 당신을 더욱 맛보길 원해... 치노 이 무서운 사람

음악 중간에 가 짖는 것 같은 소리가 들리는데, 이를 이유로 개고기를 먹는 한국인을 비꼬려고 만든 노래가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다. 그러나 국내 음악잡지 Hot Music(현재 폐간) 2003년 6월지에 실린 보컬리스트 치노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사실 이 곡은 한국이랑 아무 관계 없으며 단지 어감이 좋았던 것도 있고, 노래 가사가 한 소녀에 관한 것인데 그녀의 성이 한국 이름과 비슷해서 제목을 Korea라 지었다고 한다. 물론 그 여성도 한국인이 아니라고 한다.


2.3.1.3. 싸이의 곡 'KOREA' (2012)[편집]



정식 앨범 수록곡이 아닌 국립국악원/국악지음과 찍은 2012 런던 올림픽 응원가이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당시 SBS 중계방송에서 국가대표 금메달 획득 시 이 음악이 나왔다.


2.3.2. 아티스트[편집]



2.3.2.1. 스웨덴의 밴드 Korea[편집]

200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결성된 4인조 록밴드. 보컬의 마이클과 드럼 데니스, 기타의 미카엘 레이몬드로 구성된 멤버에서 베이스의 로버트가 합류하며 틀이 갖추어졌다.

미국의 프로듀서 블레이크와 인연이 닿고 앨범 하나를 발표했으나 그다지 좋은 결과는 나오지 않은 듯. 블레이크와는 2005년 의견 차이로 결별했다. 2010년에는 2집 앨범을 발표했다.


2.3.2.2. 러시아의 밴드 Korea[편집]

2003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에서 결성된 4인조 메탈 그룹. 보컬의 예브게니 포테힌, 드럼의 세르게이 쿠즈네초프(Сергей Кузнецов), 베이스의 스타스 로스첸스트벤스키(Стас Рожденственский), 기타의 알렉산드르 쿠즈네초프(Александр Кузнецов) 등으로 구성된다.


2.3.2.3. 러시아의 록 그룹 Chorea[편집]



2.3.2.4. 스페인의 밴드 Corea[편집]



3. 인명[편집]



3.1. 성씨 Correa, Correia[편집]


스페인과 중남미의 성씨 중 하나로 본래는 코레아라고 읽는다. 세파르담 유대인 계통의 성씨라고 하며 흔하지는 않지만 에콰도르라파엘 코레아처럼 대통령까지 나왔을 정도이니 희귀한 성씨는 아니다. 포르투갈과 갈리시아에서는 철자를 다르게 써서 Correia라고 하며, 코헤이아라고 표기한다. 한국에서는 축구 선수인 앙헬 코레아 야구 선수인 카를로스 코레아가 유명한 편이다.


3.2. 스리랑카의 성씨 Corea[편집]


스리랑카의 성씨중 하나다.


4. 질환 Chorea[편집]


흔히 '무도병'이라고 부르는 질환. 뇌성마비나 헌팅턴 무도병에 의해서 일어난다. 어원은 위의 인명에서 유래하였다. 자신의 의지에 반대해 민첩하게 운동이 일어나는 증상을 보인다.


5. 과거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단 KOREA[편집]


2000년 10월에 정식 게임단으로 등록되어 활동하였다. 이름의 의미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프로게임단이 되겠다'는 뜻.

2006년 온게임넷에 인수되어 온게임넷 스파키즈라는 이름으로 재창단을 한 후 하이트맥주와 네이밍계약을 맺으며 하이트 스파키즈가 되었다. 그러나 하이트 스파키즈가 2010년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의 여파로 큰 타격을 입고 급기야 CJ 엔투스에 흡수합병되면서 이 팀에서 온게임넷 스파키즈를 거쳐 하이트 스파키즈로 이어지는 계보가 끊어지고 말았다.


6. 민족주의 정당 가나코리아의 약칭[편집]


가나코리아 문서로.


7.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테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트랙/코리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유래는 대한민국의 영문명 Korea. 대한민국의 지역을 모티브한 테마다.

8. 비상업 영화 월간지 Corea[편집]


그야말로 비상업 월간지라는 걸 보여준 잡지로 그 어떠한 상업광고도 없던 곳이었다. 이러다보니, 소개하는 영화들도 매우 좌파적인 영화라고 할까. 온갖 영화배우나 포스터를 장식하던 다른 영화잡지와 달리 표지만 보면 대체 이거 무슨 잡지인가 싶을 정도로 영화와 무관해보이는 표지였다.

특이하게도 북한을 이북, 한국을 이남이라고 표기했다. 그렇다고, 친북적인 건 절대 아니라서 북한영화를 세세하게 소개하면서도 김정일 독재와 우상을 비난하는 컬럼(미국이나 일본, 한국 정치권도 비난하면서 북한 독재 역시 통일을 가로막는다고 서술)이나 곳곳에 글로 쓰기도 하며 아프리카나 중남미 영화들을 소개하는 면도 영화광이라면 볼만했다.

하지만, 문제는 상업적인 걸 너무 비난하고 대단히 민족위주적인, 어찌보면 이런 면에서 보수적인 서술이나 주장을 많이 했다. GO(영화)를 가리켜 반겨레적이라며 철저하게 비난하는 등 영화적 분석보다 민족적인 이런 면에 치중하는 모습도 많았다.

이러다보니 재정적 문제에 시달려 2007년쯤에 몇달 정도만 발행하고 그야말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덕분에 자료는커녕 그 이름조차 넷상에서도 무척 찾기 어렵다.


9. 정부 발행잡지[편집]


월간 Korea로 한국 문화를 해외에 홍보하기 위한 간행물로서, 매월 한국의 문화, 예술, 음식, 관광, 정부 정책 등을 주제로 하여 60면 내외로 발행한다.

[1] 둘 다 미국식 영어 기준으로 영국식은 i가 장음이다.[2] 이 쪽은 설렁거스라는, 대한도 조선도 코리아도 아닌 독자적인 계통 단어가 존재한다.[3]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으면 이게 어떻게 '코리아'의 음역인지 이해가 안 되겠지만, 의 중국어 발음은 ruì다. 즉 중국식 발음인 kē ruì yà를 고려한 것.[4] 페르시아어로는 쿠리예().[5] 다만 중동 상인들의 바닷길을 통한 한반도 진출은 통일신라 때 처음 시작되었다. 이때는 금성(경주)과 가까운 울산항에서 교역했다. 중동권 지리서에서는 고려시대 초기인 11세기까지도 한반도를 신라라고 부르다가 점차 고려로 대체되었다.[6] 비슷하게 일본은 'Japan'이라는 대외명칭이 중국식 발음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이를 자국 발음인 'Nippon'으로 바꾸길 원했으나 이 또한 무시당했다. 이외에도 자기들이 스스로 부르는 나라 이름(endonym)과 영어 명칭이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이름(exonym)이 전혀 다른 나라는 여럿 있다. 예를 들어 핀란드수오미(Suomi), 그리스는 엘라다(Ελλάδα), 헝가리는 마쟈로르사그(Magyarország), 알바니아는 Shqipëria(슈치퍼리아), 아르메니아는 하야스탄(Հայաստան / Hayastan)이 현지어에 따른 자칭이다.[7] 간혹 국제사회에서 영어나 러시아어 등 현지어 명칭과 다른 이름으로 통용되던 자국 또는 자국 내 지방의 이름을 바꾸어 불러달라는 요구가 받아 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조지아의 경우 러시아의 침공을 겪은 이후 러시아어 이름인 그루지야에서 영어 이름인 조지아로 바꾸어 불러달라 요청하였고, 국제사회의 동정을 받아 성공하였다. 참고로 조지아의 현지어 명칭은 사카르트벨로다. 그리고 우크라이나도 키예프를 키이우로 바꾸는 식으로 자국 도시 이름을 그동안 통용되던 러시아식 발음이 아닌 자국식 발음으로 불러달라고 요청하였다. 역시 러시아 침략으로 인한 동정을 얻어 쉽게 정착되었다.[8] 예를 들면 영국의 구성국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를 전부 영국이라고 하는것과 비슷하다.[9] 북한의 대외 선전 방송인 '조선의 소리'를 'Voice of Korea'라고 하는 것에서 그러한 의도가 드러난다.[10] Republic of Korea를 Korea를 앞세워 도치시킨 형태. 대표적으로 FIFA 주관 경기에서 이런 식으로 표기한다. 북한이 이 방식을 쓸 경우 Korea DPR이라고 쓴다.[11] IOC 주관 경기에서는 무려 2000년 시드니 올림픽까지 Korea라는 단순명칭을 대한민국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썼었다. 이후 북한이 활발히 출전하면서 IOC의 요구로 Korea라는 명칭을 남한이 독점하지는 못하게 되었다.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당시 북측이 출전하지도 않았는데도 미국 매스컴이 대한민국 대표팀을 'South Korea'라고 호칭한 것에 대해 우방에게 뒤통수를 맞은 것처럼 모욕적으로 생각하는 반응도 드물지 않았다. (이때는 아직 IOC가 Korea로 칭하던 때였다.)# 북한이 출전하지 않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는 현재도 여전히 대한민국을 Korea라는 단순명칭으로 칭하고 있다.[12] 예컨대 대한민국 공군은 영어로 ROKAF(Republic of Korea Air Force)라고 약칭한다.[13] 미군(특히 주한미군)에서 대한민국 국군을 가리킬 때 '락 아미'라고 발음하는데, 바로 'ROK Army'를 그대로 읽은 것이다.[14] 일례로 2022년 3월 바이든 미국 대통령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러시아를 규탄하는 연설을 하면서 대러시아 제재에 동참하고 있는 국가들을 나열했는데, 영국, 캐나다, 일본 다음으로 South없이 Korea만을 언급했다. 당연히 남한, 즉 대한민국만을 지칭하는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6:31:05에 나무위키 코리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