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삶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무한도전의 특집에 대한 내용은 무한도전 타인의 삶 문서
무한도전 타인의 삶번 문단을
무한도전 타인의 삶#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타인의 삶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타인의 삶 (2006)
Das Leben der Anderen
The Lives Of Others


파일:external/slowgerman.com/das-leben-der-anderen-848172l.jpg

장르
드라마
감독 / 각본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
출연
울리히 뮈에, 제바스티안 코흐
마르티나 게덱, 울리히 투쿠르, 토마스 티에메
음악
가브리엘 야레드, 슈테판 모하
제작사
비더만 & 베르크,Wiedemann & Berg,
바이에리쉐어 룬트풍크 아르테,Bayerischer Rundfunk Arte,
배급사
파일:독일 국기.svg 부에나 비스타 인터나치오날,Buena Vista Internationa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에스와이코마드
개봉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3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년 3월 22일
상영시간
137분
총 관객수
50,656명 (국내 / 최종)
국내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및 포스터
2.1. 예고편
2.2. 포스터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수상
6. 기타



1. 개요[편집]


2006년에 개봉한 독일 영화. 동독 방첩기관 슈타지의 민간인 사찰을 주요 소재로 다뤘다.


2. 예고편 및 포스터[편집]



2.1. 예고편[편집]



▲ 예고편


2.2. 포스터[편집]


파일:external/gogetdeutsch.free.fr/DASLEBENDERANDEREN2.jpg
파일:external/www.insightofgscaltex.com/%ED%83%80%EC%9D%B8%EC%9D%98-%EC%82%B6-%ED%8F%AC%EC%8A%A4%ED%84%B0.jpg
공식 포스터 (독일)
공식 포스터 (국내)


3. 시놉시스[편집]



파일:external/static.cinemagia.ro/das-leben-der-anderen-157408l.jpg


5년간 내 삶이었던... 타인의 삶
난 그들의 삶을 훔쳤고 그들은 나의 인생을 바꿨다.

1984년, 동독.
악명높은 국가보위부(슈타지)로부터 자신도 모르게 철저히 감시당했던 동독의 국민들.
보이지 않는 정보국 요원의 삶.
10만 명의 비밀경찰과 20만 명이 넘는 스파이.
그들의 목표는 단 하나…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기 5년 전,
나라와 자신의 신념을 맹목적으로 고수하던 냉혈인간인 비밀경찰 비즐러는
동독 최고의 극작가 드라이만과 그의 애인이자 인기 여배우 크리스타를 감시하는 중대 임무를 맡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드라이만을 체포할 만한 단서는 찾을 수 없고 그러던 중 뜻밖의 사실을 발견하게 되는데...





4.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external/www.tagesspiegel.de/1-format43.jpg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게르트 비즐러 (울리히 뮈헤[1])
Gerd Wiesler

이 영화의 주인공. 동독의 정보기관인 국가보위부, 일명 슈타지의 베테랑 비밀 요원이자 냉혈한 심문관이다. 코드명은 HGW XX/7이며 계급은 대위 (Hauptmann). 프롤로그에서 대학에서 예비 슈타지 후보생들을 데리고 수사기법에 대한 강의를 하는 와중에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토씨 하나 안 틀리고 똑같은 말만 반복한다, 잠을 재우지 마라, 결백한 사람은 여기서 화를 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조용하거나 침묵하거나 운다."라는 말을 하는데 인권을 철저히 짓밟는 강압수사를 단지 컴퓨터 데이터 처리나 기계적인 사무 마냥 처리하는 그 악의 평범성의 섬득함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다.

수업 후 강의실 문에 서서 기다리고 있던 상관 그루비츠 국장의 제안으로 함께 연극 공연장에 방문했다가, 극작가인 게오르그 드라이만이라는 인물을 알게되고 국장의 지시로 코드명 "라즐로"라는 드라이만에 대한 전방위적 도청감시 작전을 시작한다. 처음에는 공산주의 독재국가의 충견답게 드라이만을 의심하며 주도면밀하게 그를 감시하나 별다른 혐의점을 찾을 수 없게된다. 동독 문화부 장관인 브루노 헴프가 크리스타를 성적 노리개로 삼고 있음을 드라이만이 목격하도록 유도하지만, 이를 본 드라이만이 오히려 크리스타를 이해하고 감싸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도청 도중 발견하며 찔러도 피 한 방울 나지 않을 것 같은 그의 차가운 인간성에도 조금씩 변화가 일기 시작한다.

한국어 더빙판 성우는 최한이 맡았다.

파일:external/www.br.de/das-leben-der-anderen-ulrich-muehe-von-donnersmarck-sebastian-koch-oscar-martina-gedeck-114~_v-img__16__9__xl_-d31c35f8186ebeb80b0cd843a7c267a0e0c81647.jpg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게오르크 드라이만 (제바스티안 코흐[2])
Georg Dreyman

동독의 젊은 유명 극작가. 비즐러에 의해서 주요 감시 대상으로 지정된 인물이다. 예술가로서 섬세한 내면을 가졌으며 조국인 동독을 사랑히고 사회주의 이념에 비교적 충실한 인물이었다. 하지만 동독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올라 무려 7년동안 출판이 금지된 연출가 선배의 자살을 계기로 독재 정권에 분노하게 되고, 지인들과 비밀리에 저항 운동을 벌이기로 결심한다.

한국어 더빙판 성우는 구자형이 맡았다.

파일:external/de.web.img3.acsta.net/19312162.jpg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크리스타 마리아 질란트 (마르티나 게덱[3])
Christa-Maria Sieland

아름다운 외모와 뛰어난 연기로 사랑받는 동독의 유명 연극 배우. 드라이만과 동거하는 연인사이다.

한국어 더빙판 성우는 윤성혜가 맡았다.

파일:external/1.bp.blogspot.com/35.jpg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안톤 그루비츠 (울리히 투쿠르[4])
Anton Grubitz

슈타지 내 부서 국장. 계급은 중령 (Oberstleutnant). 비즐러의 대학 동기이며 국가보위부 직속 상사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으며 권력자에게 아부하는 교활한 성격이다.

한국어 더빙판 성우는 이종혁이 맡았다.

파일:external/p5.focus.de/das-leben-der-anderen-5.jpg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브루노 헴프 (토마스 티에메[5])
Bruno Hempf

탐욕스러운 동독의 문화부 각료. 드라이만의 연인인 크리스타 마리아 질란트를 가로채 성적 노리개로 삼기 위해 그에 대한 도청 감시를 그루비츠 국장에게 은밀히 지시한다.

한국어 더빙판 성우는 최석필이 맡았다.


5. 수상[편집]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외국어영화상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갱스터 초치
(남아프리카 공화국)

타인의 삶
(독일)


카운터페이터
(오스트리아)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비영어 영화상
제60회
(2007년)


제61회
(2008년)


제62회
(2009년)

판의 미로

타인의 삶

당신을 오랫동안 사랑했어요



6. 기타[편집]


  • 이 영화의 주인공인 비즐러 역을 맡았던 울리히 뮈에는 이 배역으로 2006년 독일의 아카데미상으로 불리우는 '독일 영화상(Deutscher Filmpreis)'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4개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 하였다. 그리고 이듬해인 2007년, 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 그에게는 이 영화는 유작(遺作)이자 최고의 명성을 가져다준 작품인 셈이다.[6]

  • 비즐러의 첫 심문 장면에서 계속해서 용의자의 두 손을 허벅지 밑에 넣게 해서 앉으라고 요구하는데, 나중에 이 손 냄새가 베긴 의자 커버를 모아두었다가 나중에 수사시 군견이 찾을 수 있게하기 위함이다. 비슬러가 지금껏 모든 용의자들의 체취를 수 많은 유리병들 안에 모아두었다고 하는 부분에서 구 동독 당시 슈타지가 얼마나 악명 높았는지를 실감하게 한다.

  • 작중 차량으로 고관대작인 헴프의 차량으로는 볼보 264모델이, 비즐러의 차량으로는 트라반트가 등장한다. 전자는 동독의 고위층에게, 후자는 일반 국민들에게 사랑받던 모델이다.

  • 울리히 뮈에와 같이 구 동독 연극계 스타 배우였던 그의 전처 예니 그뢸만 (Jenny Gröllmann)과 네 명의 가족과도 같은 연극단원들이 그를 슈타지의 지시로 감시한 의혹이 있는 문서가 슈타지 기록보관소에서 발견되었다. 그뢸만은 이러한 의혹을 강력히 부인하며 뮈에를 고소하였으나 2006년에 유방암으로 사망해 진실은 저 너머에가 되었다. # Remembering Ulrich Mühe

  • 배우들이 평소 출연료의 10%만 받고 출연한 저예산 영화였지만 탁월한 작품성과 열연한 배우들의 탁월한 연기로 아카데미 최우수외국어영화상을 받았다. # How we made The Lives of Others

  • 극 중 유명한 소설가인 게오르그 드라이만은 독일의 통일 2년 후, 일반에 공개된 슈타지의 감찰 파일을 열람하던 중 비즐러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아름다운 영혼의 소나타(Die Sonate Vom Guten Menschen / 디 소나테 폼 구텐 멘쉔)'라는 소설을 쓴다.[7] 이 책의 첫 페이지에 '감사한 마음을 담아 HGW XX/7에게 이 책을 바칩니다.'('HGW XX/7 gewidmet, in Dankbarkeit.')라는 글귀가 적혀있다.[8][9]

  • "착한(좋은) 사람" 테마는 극 전반을 통해 던져지는 물음이다.[10] 비즐러가 펍에서 크리스타를 만나 조언을 하자 크리스타에게서 "좋은 사람"이라는 말을 듣는다. 또한 드라이만의 집에서 훔쳐온 브레히트의 시집을 읽고 감명 받은 찰나, 드라이만의 피아노 연주를 도청하는 비즐러는 조용히 눈물을 흘리는데 이때 드라이만은 크리스타에게 "이 곡을 진심으로 듣고도 악한(나쁜) 사람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또한 영화에는 실제로 나오지 않지만, 대본집을 보면 원래 동네 꼬마에게도 "아저씨 나쁜 사람 아니네요"란 말을 듣는 장면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 그로부터 2년 뒤, 통일 후 우체부로 일하게 된 비즐러는 서점에서 드라이만의 책 광고를 보고 책을 열어 본 뒤 자신에게 바치는 드라이만의 헌사를 발견하고 계산대로 다가가 책을 구입한다. 서점 직원이 "선물 포장해 드릴까요?(Geschenkpakung?)"라고 묻자, "아니오, 이 책은 나를 위한 겁니다."(Nein, das ist für mich.)"라고 담담하게 대답하며 영화는 끝이 난다. 이 마지막 비즐러의 대답은 '자신이 읽으려는 것'임과 동시에, 나에게 바치는 것이라는 중의적 의미를 담고 있다.[11]

다만, 실제로는 이런 책 없으니 찾아 헤매지 않길 바람. 아래의 표지는 이 영화의 소품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독일의 한 업체에서 만든 가짜다.

파일:external/www.mr-typo.com/4_gross.jpg

  • 극 중 언급되는 지명들은 모두 실제로 있는 장소이다. 하지만 통일 이후 드라이만이 분단 시절 슈타지 기록을 열람하였을 때 비즐러의 정보에 나오는 1058 Berlin Leibnizring 12는 동독 시절의 동베를린의 주소이며, 통일 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해 해당 주소는 이제 사라져버렸고, Leibnizring이라는 주소명을 가진 곳은 베를린 인근에는 옆 도시인 포츠담이 유일하지만 옛 주소랑은 전혀 무관하다.

  • 비즐러가 우편 배달을 하다 드라이만의 얼굴을 보고 마지막에 들르는 서점인 Karl-Marx-Buchhandlung은 실제로 베를린에 있는 서점이며, 지하철 5번 노선(U5) 슈트라우스베르거 플라츠(Strausberger Platz) 역과 베버비제(Weberwiese) 역 사이에 있다. 베버비제 역과 조금 더 가깝다.

  • 대한민국에서는 개봉 당시 그다지 주목을 받지는 못했지만, 작품성이 뛰어난 터라 9점이 넘을 정도로 평점이 높은 영화 중 하나이다. 네이버 영화 다음 영화[12] 한편, 해외에서는 이 영화가 굉장한 호평을 받았다.

  • 2007년에 시드니 폴락 제작, 아카데미 9개부문을 수상한 잉글리쉬 페이션트로 알려진 영국 감독 앤소니 밍겔라 연출로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한다는 뉴스가 나왔는데 10년이 넘게 지난 지금까지도 소식이 없다. 밍겔라 감독이 편도선 종양 수술 후 과다출혈로 2008년 3월, 54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제작자로 나서려 했던 시드니 폴락도 역시 같은 해 5월 암 투병 10개월만에 세상을 떠난 것이 일단 큰 원인이다. 원작자인 도너스마르크 감독이 아직 제작자 후보로 남아있어서 2011년까지는 제작 가능성이 상당히 있었는데 2013년 에드워드 스노든NSA 기밀자료 폭로사건이 뉴스로 터지자 미국 내에서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명분 하에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이 되면서 아무래도 타이밍을 놓친 듯.


[1] 1953~2007, 배우 본인도 동독 출신으로, 연극계에서 활동 하다가 통일 이후 영화쪽으로 전향 하였다. 개봉 1년 후인 2007년에 위암으로 사망하였다.[2] 히틀러 암살 발키리 작전을 다룬 독일 영화 슈타우펜베르크에서 주인공 슈타우펜베르크 역을 맡기도 했다.[3] 우연찮게도 1년 뒤에는 독일 적군파를 다룬 <바더 마인호프 콤플렉스>에서 적군파 간부 울리케 마인호프 역을 맡게 되는데, 인상이 굉장히 다르다.[4] 이후 욘 라베 역을 맡았다.[5] 영화 몰락에서 마르틴 보어만 역을 맡은 바가 있다.[6] 사실 뮈에는 동독 연극계 시절부터 꽤 인지도가 있었으며, 영화쪽으로 온 후에도 탄탄한 연기력으로 상도 여러번 받았다. 그의 사후 2010년에 발표된 “네메시스”가 최종 유작이 되었다.[7] 제목은 작중 작품 활동이 금지되어 자살한 예르스카로부터 생일 선물로 받은 악보의 제목에서 따왔다.[8] 드라이만은 통일 후 자신의 감찰 파일을 열람하면서 자신이 상시적인 도청과 감시의 대상이었고 5년간 행해진 그 감찰 보고서의 양이 엄청남을 알고 큰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감시당하는 줄 모르고 자신이 했던 반체제적 발언들이 감찰 파일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았고, 무엇보다 서독 잡지인 슈피겔에 익명 기고한 동독체제 비판 글의 작성자가 드라이만임을 입증할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물을 자신을 감시하던 요원인 HGW XX/7이 직접 은폐했으며 자신이 체포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보고서를 거짓 작성했다는 사실을 깨닫고 고맙다고 인사한 것이다.[9] "선한 사람을 위한 소나타"라고 번역한 버전도 있는데, 사실 Guten Menschen의 의미는 확실히 이쪽이며 "아름다운 영혼"은 과한 의역이다.[10] 브레히트의 대표작인 희곡 <사천의 선한 사람>(Der gute Mensch von Sezuan)에서 따왔을 수도 있다. 브레히트 자신이 세계 연극계에 한 획을 그은 위인으로써 독일 문학사에서 그 이름을 절대로 빼 놓을 수 없는 인물인 점, 특히 2차대전 전후 브레히트의 행적이 끊임없이 동독과 소련의 억압성을 공공연히 비판하고 냉소하며 조롱하면서도 그래도 나치 독일보다는 동독이 낫다고 주장했고, 서독 역시 많은 문제가 있음을 주장하는 등 비판적, 양심적 작가의 면모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상당한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11] 이런 중의적인 표현은 앞서 그루비츠가 비록 물증은 없지만 비즐러라면 충분히 완벽히 증거를 숨길만하고도 남는다는 심증을 갖고 앞으로 스팀기로 편지 열람하는 일을 하게 될 거라는 말을 할 때도 사용된다. "20년, 긴 세월이지." 이 말은 그루비츠가 비즐러를 대학 동기시절부터 20년동안 가까이에서 알아왔다는 의미도 되지만, 달리 해석하면 "20년 동안 감옥의 편지 열람실에서 썩게 될거다"라는 의미도 된다. 중의법의 달인[12] 반면 황진미는 주인공 비즐러의 개심이 너무나 개연성이 없다는 혹평을 하며 스토킹 하다 느껴버린 퀴어 영화 운운하는 한심한 소리를 했는데 황진미 평론이 늘 그렇듯이 엄청나게 씹히고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1:50:31에 나무위키 타인의 삶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