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밥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트리머에 대한 내용은 톱밥입니다 문서
톱밥입니다번 문단을
톱밥입니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ancer_blood.png
WHO IARC 지정 발암물질
[ 펼치기 · 접기 ]
1군
확실한 발암 물질 118개

주류알코올 음료・ 스모그(화학성 안개)・ 아플라톡신알루미늄・ 아미노비페닐・ 빈랑자・ 아리스트롤로킥산・ 알제닌 화합물・ 석면・ 아우라민・ 아자티오프린・ 미세먼지 및 기타 대기오염・ 벤젠・ 벤지딘・ 벤조피렌베릴륨・ 구장 퀴드・ 클로로메틸・ 부설팬・ 부타디엔(뷰타다이엔)・ 카드뮴・ 클로람부실・ 클로나파진・ 크로뮴・ 간흡충・ 석탄콜타르・ 시클로포스파미드・ 사이클로스프린・ 다이에칠스틸베스트롤・ 디젤 엔진배기 가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에리오나이트・ 폐경기 에스트로겐 보충・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토젠 경구 피임약산화에틸렌(에틸렌 옥사이드)・ 에토포시드・ 방사성 스트론튬포름알데하이드・ 적철광 채굴・ 위나선균B, C형 간염에이즈인유두종 바이러스[1]・ 사람 T세포 림프 친화 바이러스・ 이온화 방사선・ 제철 공정・ 이소프로필 알코올・ 카포시육종・ 가죽 먼지・ 마젠타・ 멜파란・ 메톡살렌・ 메틸렌・ 미네랄 오일・ 나프탈아민・ 중성자 방사・ 니켈화합물・ 니트로소노르니코틴・ 부탄온・ 타이간흡충・ 도장공 일・ 펜타클로로비페닐・ 펜타클로로다이벤조퓨란・ 페나세틴・ 플루토늄・ 염화 폐비닐・ 방사성 요오드방사성 핵종라듐・ 고무 제조 공정・ 염장 생선[2]・ 빌하르쯔주혈흡충・ 셰일 오일규소 먼지・ 태양열・ 그을음설퍼 머스타드・ 타목시펜[3]고엽제・ 티오테파・ 토륨흡연간접흡연・ 오르토톨루이딘・ 트리클로로에틸렌・ 자외선・ 자외선 태닝기계・ 염화비닐・ 목재 먼지・ X선・ 감마선・ 가공육
2-A군
가능성 있는 발암 물질 75개

1・4-다이옥세인・ DDT・ 브롬산염・ 아드리아마이신・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아자시티딘・ 바이오매스 연료・ 캡타폴・ 클로랄・ 클로랄 수화물・ 클로람페니콜・ 아크릴아미드 및 튀김, 튀김과정적색육[4]・ 질산염 및 아질산염미용 업무인유두종 바이러스 화합물・ 정유 공정・ 우레탄말라리아국물 등 65도 이상의 모든 액체류 섭취 등
2-B군
잠재적으로 의심되는 발암 물질 288개

아세트알데하이드・ 아세트아마이드・ 아크릴로니트릴・ 아미노아조벤젠・ 아미노아조톨루엔・ 알로에 베라・ 고사리[5]목공 업무클로로포름경유드라이클리닝・ 휘발유 엔진의 배기 가스휘발유・ 카바 추출물・ ・ 마젠타・ 퓨란・ 자기장카라멜 색소나프탈렌니켈김치 등 (특히 아시아의) 염장 야채・ 인쇄 업무무선 주파수 자기장・ 섬유 제조 공정・ 이산화티타늄페놀프탈레인
3군
발암여부가 정해지지 않은 물질 503개

4군
암과 무관한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 1개

[1] 암의 종류에 따라 1군/2A군으로 나뉜다.
[2] 정확히는 광동식 염장 생선이 비인두암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먹는 멸치젓 등은 연구된 바가 없다.
[3] 유방암 치료제로 쓰인다.이이제이
[4] GMO, 항생제 등등 고기 잔류 물질이 문제가 아니다. IARC에서는 확실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고기의 성분 자체가 조리되면서 발암 물질을 필연적으로 함유하기 때문이라고 논평하였다. 청정우 같은 프리미엄육을 사 먹어도 발암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에 전세계의 육류업자들이 고기를 발암물질로 만들 셈이냐며 정식으로 항의하기도 하는 등 논란이 있었다.
[5] 단, 올바른 조리 과정을 거치면 먹어도 문제는 없다. 문서 참조.





파일:external/www.bagboys.co.nz/Optimized-Sawdust-Bulk-AKL.jpg

1. 개요
2. 용도
2.1. 식용?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4. 기타


1. 개요[편집]


Sawdust. 절단, 연마, 사포질 따위의 목재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을 말한다. 고운 목재 입자로 구성돼 있다. 다른 말로 '칼밥'이라고도 한다.

WHO에서도 명시되어 있는 발암물질이다. 톱밥을 지속적으로 흡인하게 되면 코 안에 암이 생기는 비인두암에 걸릴 수 있다.

가연성이 커 분진폭발에 의한 산업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용도[편집]


공업용으로는 압축하여 펠릿 형태로 만들어 보일러, 발전소에 사용하거나, 합판으로 만들어 쓴다.

톱밥을 바싹 말린 다음 숯가루 + 밀가루나 전분 등으로 만든 풀을 넣어 뭉치면 번개탄이 된다.

일상생활 속에서는 주로 애완용 설치류의 케이지에 바닥재로 쓰이며, 동물실험 쪽에서는 왜인지는 몰라도 톱밥이라는 용어보다는 '깔짚' 이라는 용어를 더 애용한다.

퇴비를 만들 때 사용하기도 하는데, 볏짚보다도 질소 함량이 높아 좋은 퇴비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

톱밥으로 배지를 만들어 버섯을 재배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생선 등을 보관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2.1. 식용?[편집]


톱밥은 초식을 하는 가축들조차도 위장장애를 일으키므로 식재료로서 부적합하다. 톱밥을 소화시킬 수 있는 건 흰개미 같이 나무를 식용하도록 진화한 생물들 뿐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양을 불리기 위해 빵에 넣은 일이 꽤 있었다. 1841년독일에서 간행되었다는 시집[1]에서 전쟁 포로를 위한 톱밥 호밀빵의 레시피가 소개되어 있다.

<Black Bread>

50% bruised rye grains

20% sliced sugar beets

20% tree flour (saw dust)

10% minced leaves and straw

<Quotation for the Day>

O God! that bread should be so dear,

And flesh and blood so cheap!

<검은 빵>

50% 찧은 호밀

20% 썬 사탕무

20% 나무 전분 (톱밥)

10% 다진 잎과 짚

<오늘의 말씀>

오 주여! 저 빵은 이다지도 귀한데도,

살과 피는 이렇게나 싸다니요!

독일은 이후에도,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밀가루에 톱밥을 섞어서 빵을 만들어 먹었다고 전해진다. 독일이 영국의 해상봉쇄로 인해 기본적인 생필품이 모조리 떨어졌고 독일과 교류하려던 나라조차 없었기 때문이다. 당연히 맛은커녕 건강에도 안 좋았다. 당시 사람들의 증언에 의하면 지푸라기 풀이 빵과 뒤섞인 희한한 맛이었지만 이것말고는 먹을만한게 별로 없어서 억지로 꾸역꾸역 먹었다고. 물론 유대인 수용소에서는 이마저도 몇개 배급되지 않아 굶주리는 사람들이 많았고, 그래서 이러한 지옥에서 살아남을려면 지급된 담배를 팔아가며 이 맛없는 빵이라도 사 먹어서 영양보충을 해야했다.

관련 내용 블로그. 19세기에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을 공급하기 위해 톱밥을 빵에 넣는 행위가 정당화되기도 했다. 심지어 몇몇 농업 학회 저널이나 연구자들은 톱밥이 소화가 더 잘 되고 영양도 높다고 주장하면서 빵을 만들 때 톱밥을 넣는 것을 권장하기도 했다고 한다.

사실 경제적으로 열악한 처지의 사람들이 빵에 엉뚱한 것을 넣어서 양을 불려 먹는것은 오래전부터 있었던 일이다. 척박한 땅에 살았던 옛 바이킹의 유적지에서 발굴된 빵 조각 중에서는 나무 껍질을 갈아 넣거나, 심지어는 작은 돌멩이 혹은 모래를 섞은 것도 발견되었다고 한다. 18~19세기 영국에선 밀가루 양을 불리는 재료로 뼛가루를 쓰기도 했다. 당연히 칼슘 섭취 같은 효과 따위는 애시당초 목적도 아니었기에 기대할 수도 없었고, 그저 폭리의 결과물일 뿐이었다. 게다가 그 뼛가루의 출처 또한 알 수 없었다. 그 외에도 톱밥이 씨앗이랍시고 첨가된 딸기잼이라든지, 오물이 섞여 들어간 소시지라든지, 여하튼 식품위생이란 개념이 없었던 시절의 음식들은 처참한 경우가 많았다.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편집]


  • 프로스트펑크: 시민들에게 공급하는 식량에 톱밥을 넣는 정책이 있다. 식량이 부족할 경우 시행하게 되는데 톱밥을 섞을 경우 배급량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처럼 눈속임이 가능해서 시민들의 불만은 안 올라가지만 몸에 좋을 리는 없으니 환자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톱밥 대신 물을 넣어서 멀건 죽 형식으로 수프를 내는 정책도 있지만 이쪽은 환자 발생률은 높아지지 않는 대신 식사 때마다 불만이 올라간다.
  • 사이버펑크 2077: 톱밥음식이 등장한다. 재팬타운에서 타케무라가 야키토리를 주문한 후 한입 먹어보고 뱉는데, 주인공이 다 먹고 계산하고 일어날 때 '톱밥이랑 플라스틱이라니...'하고 혼잣말을 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참고로 나이트 시티는 조류독감 땜에 조류관련 고기가 금지되었다.[2]
  • 위대한 독재자: 지나치게 긴 근로시간, 톱밥을 섞은 빵 배급으로 파업이 일어나자 독재자 힌켈이 하는 말이 압권이다.
"대체 뭘 바라는거야? 최고급 목재에서 나온 거란 말이야!"


4. 기타[편집]


  • 2차 세계대전 때 영국에서는 얼음 항공모함을 만드는 계획이 있었다. 톱밥과 물을 섞어 얼린 얼음을 재료로 항공모함을 만드는 계획이었는데, 내구성 측면에서는 5cm의 톱밥얼음이 80kg의 하중과 권총 사격을 견디는 데 성공할 정도로 예상외의 수준을 보였지만, 1/35 사이즈의 축소 모형을 만들어본 결과 물에 제대로 뜨지도 않고, 극지방에서 얼음이 녹진 않더라도 수증기로 승화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실패로 끝났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0:12:07에 나무위키 톱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마스 후드의 작품으로 추정되기도 한다.[2] 고기가 없는건 아닌데 이 고기란 것이 애벌레나 메뚜기를 갈아 '스콥'으로 가공한 후 다시 고기로 재가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