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 불교/환생자 제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티베트 불교

1. 환생자(뚤꾸)의 정의
2. 환생자 제도의 토대
2.1. 불신론(佛身論)과 보살사상
2.2. 환생과 업
3. 환생자 선정과 교육
4. 환생자 제도의 위기
5. 환생자 제도와 스승의 선택
6. 사후 의식과 툭담(thugs dam) 연구
6.1. 사후 의식의 연속과 툭담
6.2. 툭담의 관찰 사례
6.3. 톰슨(2014)의 해석
6.4. 데이비슨(2021)의 연구
6.5. 연구 동향



1. 환생자(뚤꾸)의 정의[편집]


티베트 불교의 뚤꾸(sprul sku)란 깨달음을 얻은 존재, 혹은 높은 수준의 성취자(siddha)로서 일체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 다시 태어난 존재를 말한다. 뚤꾸는 '응신(應身)'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니르마나카야(nirmanakaya)'의 티베트어 의역이다. 통상 티베트에서는 환생자를 '뚤꾸', '린뽀체(rin po che)'[1], '양시(yang srid)'[2], '라마(bla ma)' 등의 호칭으로 일컫는다.


2. 환생자 제도의 토대[편집]



2.1. 불신론(佛身論)과 보살사상[편집]


티베트 불교의 환생자 출신인 뚤꾸 퇸둡(Tulku Thondup)은 그의 저서 Tulku Thondup,《Incarnation: The History and Mysticism of the Tulku Tradition of Tibet》에서 환생자 제도의 토대로 (1) 붓다의 삼신(三身) (2) 보리심의 서원(誓願) (3) 업(karma) (4) 환생을 언급하였다. 뚤꾸 퇸둡의 견해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환생자 제도의 토대를 설명할 수 있다.

뚤꾸의 정의와 어원에서 짐작할 수 있듯 뚤꾸는 대승 불교의 불신론(佛身論)과 보살사상에서 유래하였다. 불신론(佛身論)에 따르면 부처의 몸, 즉 불신(佛身)은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 이타행을 위해 중생의 근기에 따라 여러 가지 모습으로 화현하는 불신(佛身)을 '응신' 또는 '화신'이라고 한다. 중생이 업력(業力)에 의해 불가피하게 윤회하는 것과는 달리 대승의 불보살은 일체 중생을 이롭게 하겠다는 원력(願力)으로 응신을 나투어[3] 자발적인 환생을 선택한다.[4][5]

뚤꾸란 이러한 대승불교의 불신론, 보살사상과 스승-제자 간의 사자상승(師資相承)[6]을 중시하는 티베트 불교의 특성이 반영되어 만들어진 티베트 불교 고유의 종교적 제도이다. 대표적인 뚤꾸로 흔히들 달라이 라마를 연상하지만, 티베트 불교의 공식적인 초대 뚤꾸는 13세기 환생한 까르마 까규의 법왕인 제3대 까르마빠(Karmapa) 랑중 도제(rang byung rdo rje)다. 전해지는 일화에 따르면 초대 까르마빠 뒤숨 켄빠(dus gsum mkhyen pa)가 사망한 후, 그의 제자 중 한 명의 심안(心眼)에 환생자가 될 아이의 모습이 반복적으로 현시(顯示)하면서 이윽고 제2대 까르마빠인 까르마 팍시(karma pak shi)를 찾게 되었다고 한다. 까르마 팍시가 사망한 1284년에 제3대 랑중 도제를 까르마 팍시의 환생자로 인정하면서 본격적으로 환생자 제도가 정립되고 초대, 제2대까지 까르마빠 지위가 소급 적용되었다. 이후 티베트 불교의 다른 종단과 티베트의 토착 종교인 뵌(Bon)교에서도 까르마 까규의 환생자 제도를 차용하기 시작했다. #

파일:Karmapa_Rangjung_Dorje.jpg
티베트 불교 최초의 공식적인 환생자인
제3대 까르마빠 랑중 도제(rang byung rdo rje)


2.2. 환생과 업[편집]


예를 들어 환생자 중 달라이 라마의 경우, 전대 달라이 라마와 무관하게 새로 후임자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불교의 환생설을 바탕으로 전대의 환생자를 찾아 달라이 라마 지위를 계승하게끔 한다. 그렇다면 초대 달라이라마와 제14대 달라이라마는 같은 인물일까? 둘의 몸만 다를 뿐 영혼은 같다는 설명은 불교적으로 옳지 않다. 불교에서는 영혼이나 아트만처럼 고정불변하는 독립적 실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무아설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환생의 주체에 관하여 남방 상좌부 불교에서는 바왕가(bhavaṅga, 有分心), 대승불교 유식학파에서는 알라야식(ālaya vijñāna, 阿賴耶識), 자립논증 중관학파에서는 사례 의식, 귀류논증 중관학파에서는 이름[名言]으로만 가설(假說)되고 존재할 뿐, 지칭 대상/가설의 토대인 오온(五蘊) 가운데 지칭의 의미/가설된 의미인 '나'를 찾을 수 없는 '나' 등으로 설명하였다.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불교 학파에서 환생의 주체로 보는 마음/의식 역시 분석해보면 진실로 성립ㆍ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과에 따른 연속성은 존재한다. 즉 불교적 관점에서 초대 달라이 라마와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동일성은 없지만 연속성은 있다. 선대 달라이 라마로부터 이어지는 상속(相續) 중에는 선대가 쌓은 공덕(지혜와 복덕)[7]도 포함된다. 이러한 지혜와 복덕이 바로 환생자가 차기 달라이 라마의 직위에 오를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스승의 사후에 법을 전할 가장 적합한 인물이 스승의 공덕을 이어받은 스승 본인의 환생자라 보고 환생자를 찾는다.[8] 인연 있는 중생들을 구제하고 보살의 서원을 실현하기 위해서, 그리고 법맥의 순수한 가르침을 최대한 오염시키지 않고 온전히 지키기 위해서 그 법맥의 창시자나 주요 스승들이 다시 환생하여 가르치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환생자를 찾은 후 그에게 내재된 수승한 자질을 다시 발현시키기 위하여 환생자는 일정 기간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환생자가 교육을 받는 동안 생기는 가르침의 공백은 전생의 제자들이나 다른 스승들이 메꾼다.

3. 환생자 선정과 교육[편집]


스승의 사후에 전생 제자들과 다른 고승들은 후보들을 대상으로 여러 단계에 거쳐 전생에 대한 기억, 뚤꾸로서의 자질 등을 검증한 끝에 진정한 뚤꾸를 찾아낸다. 일반적으로 여러 물건 중에 전생에 사용하던 물건을 찾아내거나 전생 제자를 알아보는 방식으로 뚤꾸를 찾곤 하지만 뚤꾸를 찾는 방법이 반드시 정해진 것은 아니다. 그 밖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 죽기 전 유언이나 편지로 자신의 내생을 직접 밝힌다. 그들은 자신이 인간으로 환생할지 혹은 정토에 태어날지 등을 밝힌다. 심지어 어느 곳에 태어날지, 부모의 이름은 무엇인지 알려주기도 한다. 환생과 관련된 정보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명시할 때도 있고 시(詩) 형식으로 암시하는 글을 남겨 해석을 요할 때도 있다

  • 말을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전생이 어떠했는지 말하고, 사원에 출가하고 싶다는 의지를 직접 밝힌다.

  • 어렸을 때부터 자신이 가진 비범한 지혜와 능력을 발휘한다. 예를 들어 어린 아이임에도 자신이 전생에 배운 경전을 강의한다든지, 처음 보는 경전을 한 번만 보고 외운다든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진언을 외운다든지 하는 식으로 자신의 지혜와 능력을 드러낸다.

  • 다른 고승들로부터 환생자임을 인증받는다.

  • 과거에 경전이나 기록에서 예언된 환생자이다.


뚤꾸들은 대개 전생으로부터 이어진 비범한 자질을 갖고 있지만, 잠재된 능력을 다시 발현시키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뚤꾸 역시 완벽한 깨달음을 얻지 못하였거나, 여러 생을 거치며 퇴락의 위험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9] 대부분의 뚤꾸는 환생 후에도 스승의 지도를 받으며 과거생에 세운 중생 구제의 서원을 지키기 위해 정진하는 과정을 거친다. 충분한 교육과 수행을 거친 후에는 본격적으로 중생 제도를 위한 전법활동을 펼친다.

환생자 제도의 본질은 교육에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 최초의 종합 대학이자 불교 대학인 나란다 대학의 경우를 봐도 알 수 있듯, 불교가 융성할 수 있는 저력은 다르마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교육으로부터 나온다. 이슬람의 침공으로 불교 대학과 사원들이 파괴되어 교육의 전달 경로가 폐쇄되자 이내 인도에서 불교가 급속도로 쇠퇴한 것처럼, 교육을 폐하면 불교는 지속될 수 없고 설사 복원을 하더라도 이전 교육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수 세대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반대로 교육이 흥하면 불교도 흥한다. 때문에 인도 불교와 마찬가지로 티베트 불교 역시 교육을 매우 중시하며 환생자 제도는 그러한 티베트 불교 교육 제도의 일부이기도 하다.

환생자 제도는 고승의 환생자로 추정되는 우수한 인재를 조기에 발굴한 후, 명망 높은 스승들로부터 집중적인 교육을 받게 하여 미래의 불교 지도자로 육성하는 일종의 엘리트 교육 시스템이다. 이들 환생자 집단은 다시 본인들이 스승이 되어 제자들을 양성함으로써 불교계 전반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저변을 확대하는 낙수효과를 발휘한다. 훌륭한 스승 밑에는 그만큼 훌륭한 제자들이 많이 배출되기 마련이고, 환생자의 제자들 역시 훗날 스승, 지도자로 성장하여 제자들 중에 새로운 환생자 전승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일종의 분수효과인 셈이다. 이처럼 환생자 제도가 선순환을 창출하려면 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비록 환생자로 선정되었더라도 그에 걸맞는 교육을 받지 못한다면 환생자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워진다.

4. 환생자 제도의 위기[편집]


환생자 제도가 본 취지대로 잘 적용되면 선거로 뽑힌 선출직 지도자와는 비교할 수 없는 영적, 정신적 권위를 갖게 된다. 환생자는 사원의 정신적 구심점으로서 종교 권력을 안정적으로 계승ㆍ유지하는 역할과 함께 사원의 운영과 전법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맡아왔다. 1989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고, 교황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영적 지도자로 손꼽히는 # 달라이 라마의 경우를 봐도 알 수 있듯 많은 환생자들은 범인(凡人)이 행할 수 없는 여러 업적을 남기며 중생 구제의 사업을 충실히 이끌어왔다.

그러나 모든 제도가 그러하듯 환생자 제도에도 명(明)과 암(暗)이 존재한다. 가령 환생자의 활동이 사원의 명성과 재정 수입에 직결되다보니 과도한 교육과 전법(傳法) 활동으로 환생자를 혹사시키는 사례가 있었고, 또한 환생자의 권위를 뒷배 삼아 환생자의 친족이나 측근들이 사원 운영에 간섭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심지어 환생자의 선정 과정에서부터 이권을 노린 세력이 개입하여 종종 가짜 환생자가 등장하였고, 또한 환생자가 권력다툼의 희생양이 되어 유폐되거나 살해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환생자 제도는 귀족과 사원으로 구성된 티벳의 봉건제도와 연계되어 비판의 대상이 될 때도 있다. 환생자 중 일부는 종교지도자이면서 동시에 정치지도자로서 왕, 귀족들과 함께 세속권력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더 나아가 1950년대 이전 티베트는 국민의 95%가 농노(農奴)인 봉건 농노제 사회였으며 환생자를 비롯한 승려 계층이 농노를 착취하는 소유주였다는 중국 공산당의 주장도 있다. 라싸 대학의 따시 체링(Tashi Tsering)이나 탐 그룬펠드(Tom Grunfeld) 뉴욕주립대 교수 역시 티베트의 봉건 농노제를 비판하였다.

그러나 과연 서구식의 봉건제도(feudalism)와 농노제(serfdom) 개념을 티베트 사회에 적용하는 것이 합당한지, 농노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이 과장되거나 조작되지 않은 신뢰할만한 근거인지, 달라이 라마와 환생자들이 세속의 절대 권력을 행사하는 신분이었는지, 중공의 티베트 지배가 과연 티베트인들의 복지를 향상시켰는지 등의 여부를 두고 학자들 간에 이견이 있고 중국 공산당과 티베트 망명정부의 주장도 엇갈리고 있다. 이처럼 티베트의 역사, 정치 관련 연구는 특정한 정치적 시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경우가 많다.

특히 중국, 대만 출신 학자들과[10] 서구권 출신 학자들의 시각차가 두드러지므로 서로 다른 연구 결과들을 아우르는 균형잡힌 접근이 필요하다. 일례로 티베트의 인구수 증감에 관하여 중국 학자들은 티베트의 총 인구수가 18세기에 정점을 찍은 뒤 티베트가 중국에 병합되는 1950년대까지 줄곧 감소하였다고 보는 반면, UN 소속 인구통계학자 토마스 스푸렌버그(Thomas Spoorenberg)는 티베트의 인구수가 1950년대까지 완만하지만 꾸준히 증가하였다고 추정했다.
Wikipedia, 《Serfdom in Tibet controversy》
심혁주, 《티베트의 활불제도》
Thomas Spoorenberg, 《Mortality, Fertility, and Population Growth in Historical Tibet》

엄밀히 말해 환생자 제도와 관련된 논란 대부분은 환생자 제도 자체보다 환생자 제도를 포괄하는 티베트의 정교합일(政敎合一) 체제에서 기인하였다고 볼 수 있다. 정치적 권한을 티베트 망명정부에 모두 이양하여 정교분리를 이룬 현대에는 이러한 논란의 여지가 대폭 감소하였다. "앞으로도 달라이 라마의 환생은 지속될 것이지만, 자유가 없는 땅에서 환생하지 않을 것이며 달라이 라마에 의한 티베트 통치도 종식될 것"이라는게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망명정부의 공식 입장이다.# 2011년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티벳중앙정부(Central Tibet Administration)에게 정치적 권한을 이양하고 달라이 라마를 국가원수로 삼는 입헌군주제하 의원내각제 정부를 구성하였다. 이후 2016년 두 번째 총선을 거쳐 2021년 세 번째 총선을 통해 차기 정부수반과 45명의 의회 의원들을 선출하였다. 티베트 망명정부의 총선은 선거권을 가진 망명 티베트인들의 직접 선거로 이루어진다.[11][12] # # #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제 친구 삼동(zam gdong) 린뽀체와 마찬가지로-바로 이런 것입니다. 환생자 제도는 박물관에 속해 있습니다! 그 당시에는 큰 도움이 되었지만, 이제 환생자 제도와 함께 끝이 났습니다.

로덴 셰랍 닥얍 린뽀체(Loden Sherab Dagyab Rinpoche) #


정교분리로 인해 환생자 제도는 정치적 기능을 상실하였지만 여전히 본래 목적인 종교적 제도로는 남아 있다. 그러나 종교 제도로서의 환생자 제도 또한 앞으로 얼마나 존속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중국 정부의 간섭과 통제, 망명지에서의 활동의 제약, 티베트 사회의 세속화 등으로 인해 환생자 제도는 이미 종교적으로도 상당 부분 기능을 상실하였다.

또한 환생자들의 자질이나 환생자 본인의 인권 문제,[13] 환생자에게 집중된 특권, 환생자를 앞세운 이권 활동 등으로 인해 티베트 불교계 내ㆍ외부에서 환생자 제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비판 측은 일부 환생자들에게서 발견되는 결점과 비행, 부패가 단순히 환생자 개인의 문제에서 그치지 않고 환생자 제도와 관련된 윤회와 환생, 업과 인과, 보살 사상, 구루(스승) 원리 등 티베트 불교의 근간에 대한 전반적인 회의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티베트 불교계의 자성과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5. 환생자 제도와 스승의 선택[편집]


라마(lama)와 뚤꾸(tulku)는 티베트 사회에서 존경받는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그 칭호들이 단지 사회적 신분이 되어서 어떤 사람들을 뚤꾸나 린포체(rinpoche), 라마라고 부르는 것이 부패로 이어지기도 했다. 사람들이 칭호를 너무 높이 평가하는 것을 나는 안타깝게 여긴다. 불교는 사회적 신분에 대한 것이 아니다. 어떤 사람을 자신의 종교적 스승으로 받아들이기 전에, 그 사람의 자격과 자질을 점검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스승들은 칭호의 유무와 상관없이 열심히 수행해야 하고, 존경받을 자격을 갖춰야 한다.

제14대 달라이 라마, 툽텐 최된,《달라이 라마의 불교 강의》(주민황 譯)


티베트 내부에서 환생자가 존숭의 대상이기는 하지만 환생자 제도와 스승을 선택하는 것은 별개의 사안이다. 환생자로 선정되면 사원과 종단의 정신적 지도자가 되므로 그/그녀를 스승으로 모실 가능성도 커지지만, 반드시 환생자를 스승으로 모셔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대승장엄경론》등의 경론에서 말하는 선지식의 요건 중에 스승이 환생자여야 한다는 조항은 없다. 환생자라 함은 믿을 만한 법맥의 가르침을 잘 전수받았고, 스승의 자격을 갖추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일종의 참고 사항이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다. 《대승열반경》의 <사의법(四依法)>에 나와 있듯 사람이 아니라 법(法)에 의지해야 하며, 바른 법을 전해주는 사람이라면 환생자가 아니라 백정이나 거지라도 스승이 될 수 있다.

서구에 처음 티베트 불교가 소개되었을 때, 서구인들은 환생자에 대한 막연한 환상을 품고 별다른 고민 없이 환생자를 자신의 스승으로 삼곤 하였다. 그들은 스승의 자격이나 스승과 제자 간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그다지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때로는 티베트 불교 지도자들이 사전에 스승의 중요성을 제대로 설명해주지 못하고 제자를 받아들이는 우(愚)를 범할 때도 있었다. 이로 인해 나중에는 스승과 제자 간의 관계가 훼손되고 스승을 거역하거나 모독하는 심각한 업을 짓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생자 제도와 스승의 선택 문제가 별도의 사안임을 알고, 스승의 자격과 제자의 의무 등을 미리 상세히 숙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스승으로 모시려는 사람이 경전에서 말하는 스승의 자격을 갖추었는지 신중히 관찰한 후에, 확신이 생기면 그 때 자신의 스승으로 선택해야 한다. 초심자가 처음부터 완벽한 스승을 찾기란 쉽지 않다. 훌륭한 스승을 알아본다는 것은 곧 자신의 안목과 능력이 그만큼 성장하였음을 의미한다. 칸드로(Khandro) 린뽀체는 "제자가 스승을 찾는 것이 아니다. 제자가 준비가 되고 공덕이 갖추어졌을 때 스승이 제자를 찾아오게 된다."고 말하였다.

일단 스승을 선택한 후에는 스승을 부처로 보는 청정한 인식을 유지하고 흠을 잡거나 비난하는 일 없이 신심과 헌신으로 제자의 도리를 다해야 한다. 함부로 스승을 배반하거나 거역해서는 안되며 이는 중대한 악업에 해당한다. 스승의 수에는 제한이 없어서 스승을 한 명만 모실 수도 있고 또는 여러 명을 모실 수도 있으나 그 전에 먼저 자신의 능력과 형편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스승에 대한 청정한 믿음이 약한 사람은 다수의 스승을 모시기에 적합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초심자에게는 한 명이나 소수의 스승을 꾸준히 섬기며 배우는 것을 권장한다. 각 전승과 종파들의 가르침은 모두 동등하게 존중받지만, 까르마 까규의 대학자 잠곤 꽁뚤 로되 타예(‘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가 지적한대로 초학자가 여러 전승의 가르침을 두서없이 배울 경우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우선 자신이 속한 전승, 종파의 가르침을 충분히 익힐 필요가 있다. 충분한 자격을 갖춘 수행자가 여러 스승을 섬기며 다양한 가르침을 받는 것은 가능하고 때로 권장되지만, 비록 수행자 본인의 능력이 성장하였더라도 스승을 선택할 때는 언제나 신중을 기해야 한다.

스승을 찾는 것은 결혼 상대를 찾는 것과 비슷한 면이 있다. 그러나 티베트의 격언에 따르면 잘못된 결혼은 한 번의 인생을 망치지만, 잘못된 스승을 섬기는 것은 세세생생 수많은 생을 망칠 수 있어 더욱 조심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스승을 찾을 때 유용한 종사르 켄체 린뽀체의 몇 가지 조언이다.

초심자는 의구심을 갖고 구루의 배경을 철저히 조사하길 바란다. 구루 주위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듣고, 그/그녀의 책과 다른 저작물을 읽고, 그/그녀의 소셜 미디어를 평가해보라. 또한 단지 한 명의 구루에만 국한하지 말고, 눈 앞에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 다른 선택지들에 대해서도 마음을 열어 두어라.

구루가 수많은 추종자들의 사랑을 받는다고 그/그녀의 진정한 가치가 증명되는 것은 아니다. 역사에서 알 수 있듯 많은 수의 대중은 집단 부인(group denial) 현상을 유발하기 쉽다. 처음으로 흥미를 끄는 사람에게 안주할 수도 있지만, 제자가 되겠다는 서약을 하기 전에 다양한 연령대, 다양한 스타일, 다양한 법맥의 스승들을 알아보는 것이 현명하다. 그들은 아마도 당신의 마음을 열어줄 것이다.

아마도 당신은 특정 타입의 구루를 싫어하는 선입견을 갖고 있을 수 있지만, 바로 그 타입의 구루가 당신에게 가장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놀랄 지 모른다. #


예외적으로 과거 전생부터 사제(師弟)의 인연이 있는 선지식은 얼굴을 보기만 하거나 혹은 이름만 들어도 특별한 감흥이 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밀라레빠의 경우 처음에 스승 마르빠의 이름만 들었을 뿐인데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기쁨과 신심(信心)이 생기면서 온 몸에 전율이 흘러 털들이 곤두서고 눈에선 눈물이 흘러내렸다고 한다. 이런 경우 바로 상대방을 자신의 스승으로 모시는 경우도 있지만, 어떤 경우에서든 먼저 경전에 의거하여 스승의 자격을 신중히 검증할 것을 권장한다.

6. 사후 의식과 툭담(thugs dam) 연구[편집]



6.1. 사후 의식의 연속과 툭담[편집]


불교에서는 생명체가 색(色, 물질), 수(受, 느낌), 상(想, 인식), 행(行, 의지), 식(識, 의식)이라는 오온(五蘊, 다섯 가지 무더기)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이 중 색온은 물질이고 수, 상, 행, 식은 의식 혹은 정신에 해당한다. 생명체가 죽음에 이르게 되면 색온, 수온, 상온, 행온 및 식온의 거친 부분은 소멸된다. 이는 뇌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뇌사에 이르는 경우 기억이나 자의식이 훼손당하는 기존의 과학적 연구 사실과 일치한다. 의식과 상호작용하는 물질적 조건이 제한되면서 의식의 기능에도 제한이 생기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여기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식온의 가장 미세한 부분, 즉 초(超)미세의식은 미세물질과 상호작용하며 계속 상속(相續)되고, 이러한 초미세의식이 (태생胎生의 경우) 자궁 속의 수정란과 합쳐져 환생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달라이 라마, U.C. 산타바바라 강연《마음의 본성》1부 2부 3부

사후에도 존재하는 미세의식과 관련된 사례로 티베트 불교의 툭담(ཐུགས་དམ་, Wyl. thugs dam, tukdam/thukdam)이라고 하는 사후의 특수한 명상을 들 수 있다. 티베트어로 "툭(thugs)"은 마음이나 의식, "담(dam)"은 삼매(samādhi)나 명상 상태를 의미한다. 툭담에 든 고승들은 심정지로 의학적 사망(clinical death)이 선고된 이후에도 수 일 혹은 수 주에 걸쳐 시신이 부패하거나 시반(屍斑), 사후경직(rigor mortis)이 발생하지 않고 생전처럼 시신이 부드럽게 움직이며 (특히 심장 부근에서) 따뜻한 체온을 유지한다.

생전에 높은 수행의 경지에 이른 고승들은 바르도(bardo)[14]라는 죽음과 환생 사이의 과도기에 초미세의식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깊은 명상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한다. 수행자 뿐만 아니라 모든 의식을 가진 생명체는 사후 정광명(淨光明, ‘od gsal)이라는 초미세의식 상태를 경험하지만 일반적으로 수 초 정도의 짧은 순간만 지속되는 것에 불과한데 반해 고도의 숙련된 명상 수행자는 초미세의식 상태를 수 일에서 수 주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이 때의 의식 상태를 활용하여 공성(空性)에 대한 지관쌍운(止觀雙運)을 수행하면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룰 수 있다고 전해진다. 티베트 불교, 특히 그 중에서도 밀교 경전에서는 툭담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의식의 활동에 대해서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15]


6.2. 툭담의 관찰 사례[편집]


툭담은 티베트 불교권 지역인 몽골의 경우에만 지난 50여 년간 수십 차례의 사례 보고가 있었다.[16] 툭담은 비단 티베트, 몽골과 같은 춥고 건조한 지역 뿐 아니라 남인도, 대만 등 고온다습한 지역에서도 발생하는 현상이다. 달라이 라마의 스승이었던 제6대 링(Ling) 린뽀체는 1984년 인도 다람살라에서 13일 동안 툭담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 2020년 5월 남인도에서 입적한 게쉬 롭상 체링(Lobsang Tsering) 스님은 20일 이상 툭담 상태를 유지하였다고 알려졌다.# 대만에서는 2017년 입적한 도종(Dorzong) 린뽀체가 3주 가까이 툭담 상태를 유지하였고[17], 2020년 7월 역시 대만에서 입적한 게쉬 잠빠 갸초(Jampa Gyatso) 스님이 28일 간 툭담 상태를 유지하여 국립 대만중앙연구원(台灣中央研究院) 소속 과학자들이 혈중 산소 포화도와 맥박, 뇌파 등을 조사한 바 있다.[18]

2020년 11월 21일 남인도 카르나타카 주 내 간덴 장쩨(Gaden Jangtse) 사원에서 사망한 게쉬 뗀빠 다르게(Tenpa Dhargyal) 스님이 20여 일 동안 툭담 상태를 유지하여[19] 관련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미국과 러시아의 과학자들에게 공유되었다. 더불어 또다른 툭담 사례가 데뿡 로셀링(Drepung Loseling) 사원에서 발견되어 조사가 진행됨에 따라 2020년 12월 25일 미국, 러시아, 인도-티베트 연구팀의 화상회의가 열리기도 하였다. #


6.3. 톰슨(2014)의 해석[편집]


에반 톰슨(Evan Thompson)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교수는 2014년 발간한 에반 톰슨,《각성, 꿈 그리고 존재》(이성동, 이은영 譯)에서 툭담에 관한 연구자들의 의견 일부를 소개하였다. 톰슨은 뉴질랜드, 네팔, 인도, 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보고된 툭담 사례들과 툭담에 관한 티베트 불교의 전통적 견해를 소개하였다. 툭담에 관하여 법의학자들은 '온도, 습도, 사체의 산소 노출, 장내 미생물 등의 조건에 따라 사체부패가 지연될 수 있으며, 사후경직 역시 일반적으로 사망 후 36시간 내외 시점에 해경되어 연화되기 시작하므로 관찰 시점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또한 톰슨은 톰슨 본인이 참여한 위스콘신-메디슨대의 '건강한 마음 탐구 센터(Center for Investigating Healthy Minds)'에서 열린 소모임에서의 대담을 소개하였다. 그 소모임은 세포 대사와 가사(假死)상태 전문 분자생물학자, 코마(coma)와 뇌사(腦死) 전문 뇌과학자, 법인류학자, 사체분해병리학자, 티베트 명상 전문가, 티베트 전통의학자들이 모여 툭담을 조사하기 위한 가장 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해 개최되었다.

모임에서 법병리학자 빈센트 트란치다(Vincent Tranchida)와 법인류학자 다니엘 웨스코트(Daniel Wescott)는 리처드 데이비슨 연구팀이 그 당시까지 조사한 4건의 툭담 사례에서 보이는 분명한 부패 지연 현상은 일정한 조건이 주어진다면 그다지 기이한 현상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흥미로운 한 가지 가능성은 티베트 불교의 명상 수행자들이 깊은 명상 상태에 이르면 호흡이 관찰되지 않는 일종의 정지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제기되었다. 가사상태 분석 전문가인 분자생물학자 마크 로스(Mark Roth)는 명상을 통해 산소요구량을 줄여 대사활동을 늦추거나 심지어 멈출 수도 있지 않은지 의문을 제기했다. 논의가 진행됨에 따라 가장 좋은 방법은 생전에 명상을 통해 대사활동을 지연시킬 수 있는지 관찰하는 것이라는 점이 분명해졌다. 그리고 나서 수행자의 죽음과 분해과정을 비수행자의 것과 다른지 연구해보는 것이다.

톰슨은 사체의 장기 부패지연 현상이 사후 의식이 보존된다는 믿음을 확인시키는 결정적 근거가 되기에는 불충분하지만, 과거에 존재했던 의식이 사후 신체에도 영향을 주는 사례일 수 있다고 해석하였다. 때문에 톰슨은 마음이 죽음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생물학적으로 죽음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과학과 티베트 불교의 상호협력이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6.4. 데이비슨(2021)의 연구[편집]


2021년 1월 리처드 데이비슨(Richard Davidson) 위스콘신대 교수와 그의 미국, 인도-티베트 연구팀에 의해 툭담에 관한 첫 논문이 발표되었다. 데이비슨은 2020년 8월《Frontiers in Psychology》지에 《No Detectable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After Clinical Declaration of Death Among Tibetan Buddhist Meditators in Apparent Tukdam, a Putative Postmortem Meditation State》라는 제목의 논문을 제출하였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결론적으로 툭담 상태의 관찰 대상에게서 별다른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변화를 감지할 수 없었다.

데이비슨은 뇌간(Brain stem)이 모든 장기의 활동을 통합하고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대상에게 청각 자극을 준 후 음전위부정합(Mismatch Negativity, MMN)과 청각뇌간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을 측정하여 툭담 상태에서의 의식 활동 여부를 알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13년에서 2019년까지 살아있는 티베트인 14례와 사후 툭담상태[20]에 해당하는 13례에게 청각 자극을 준 후 두피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MMN과 ABR을 측정하여 각각 비교해보았다.

측정 결과 살아있는 14례의 건강 기준치(Healthy baseline)는 통상적인 MMN과 ABR의 파형(waveform)을 보였으나 툭담 상태의 13례에게서는 식별할 만한 파형 변화를 찾을 수 없었다. 13례의 툭담 사례 중 6례의 측정 결과는 과도한 전기 간섭과 불완전한 프로토콜로 인해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데이비슨은 두피에 부착된 전극으로 감지하기에는 뇌파가 너무 미미하거나, 현장에서 쓰인 측정 장치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만일 의식의 활동이 사후 부패 지연 현상의 조정자(mediator)가 아니라면, 다른 생체 메커니즘이 작용하였을 수도 있다고 추측하였다. 두 경우(의식 활동 또는 다른 생체 메커니즘) 모두 관찰 대상의 라이프 스타일, 의료 기록, 수행 경력, 혈액ㆍ타액ㆍ생체 조직 등을 추가로 조사한다면 또다른 메커니즘을 밝히는 열쇠가 될 수도 있다고 데이비슨은 주장하였다.

툭담과 관련된 의미 있는 과학적 데이터를 얻을 수는 없었지만, 데이비슨은 본 연구가 툭담 연구의 시초이며 툭담 현상의 실증적인 지위를 단정지으려는 의도는 없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논문에서 개선점과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고, 미국, 러시아, 인도-티베트 연구팀의 후속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2016년 《사백론》 법문에서 "사망 시 먼저 몸을 이루는 지, 수, 화, 풍 4대(大)가 흡수된 후 백색, 적색, 흑색의 환영을 거처 금강승에서 말하는 제4공(空), 정광명이 발현된다. 뇌파 발생이나 혈액 순환은 풍대(風大)가 흡수될 때 완전히 멈추므로 정광명의 상태에서는 뇌파를 관찰할 수 없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즉 달라이 라마의 설명에 따르면 금강승에서 말하는 툭담 상태, 혹은 정광명의 의식 수준에서는 이미 신체적 활동이 완전히 중단되고 매우 미세한 수준의 의식만이 활동하므로 뇌파 관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데이비슨 연구팀이 툭담 상태에서의 뇌파 변화를 감지할 수 없었던 것은, 의식을 뇌의 산물로 보는 기존의 과학적 관점 뿐 아니라 불교적 관점에서도 어느 정도 예상된 결과였다고 볼 수 있다. #


6.5. 연구 동향[편집]


툭담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리차드 데이비슨(Richard Davidson) 위스콘신대 교수 #, 시바또슬라브 메베데브(Svyatoslav Medvedev)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교수 # # 등이 툭담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착수한 바 있다. 데이비슨이 이끄는 미국 연구팀과 메베데브가 이끄는 러시아 연구팀은 2019년 인도 고아(Goa)에서 회동을 갖고 서로의 연구 경험을 공유하며 향후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합의하였다. 미국과 러시아의 과학자들은 인도 현지의 서양의학과 티베트 전통의학을 전공한 의료진들, 그리고 연구에 필요한 훈련을 받은 젊은 승려들과 함께 협력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1)

(2)

(3)

(4)

(5)

2021년 제14대 달라이 라마와 러시아 과학자들의 툭담과 명상의 과학적 연구에 관한 대담 《How to Study Meditation by Scientific Methods》 (1) ~ (5)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5:16:25에 나무위키 티베트 불교/환생자 제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배'란 뜻을 가진 티베트어로 고승(高僧)에 대한 경칭으로도 쓰인다. 환생자 뿐 아니라 환생자가 아닌 당대에 높은 성취를 이룬 고승에게도 쓰이는 경칭이다.[2] '환생' 혹은 '환생자'를 뜻하는 티베트어.[3]화엄경》에서는 보살의 지위를 10지(地)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견도(見道)에 들어선 초지(初地)보살은 100개의 화신을 나툴 수 있다고 한다. 높은 지에 오를수록 나툴 수 있는 화신의 수가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부처가 되면 무한한 화신을 나툴 수 있다.[4] 아라한, 벽지불, 대력보살은 이미 윤회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승만경》에서는 그들이 받는 죽음을 윤회 내에서 중생들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죽음과 구별하여 ‘부사의변역(不思議變易, acintya-pāriṇāmikī)'이라고 표현하였다.[5] 보살의 생(生)에도 4가지 종류가 있다. ① ལས་ཀྱི་དབང་གིས་སྐྱེ་བ་ 업생(業生): 자량도, 가행도에 있는 범부보살이 업과 번뇌의 힘으로 태어남. ② སྨོན་ལམ་གྱི་དབང་གིས་སྐྱེ་བ་ 원생(願生): 견도, 수도(초지~십지)에 있는 성자보살이 중생구제하려는 원력으로 태어남. ③ ཏིང་ངེ་འཛིན་གྱི་དབང་གིས་སྐྱེ་བ་ 선정생(禪定生): 색계에 있는 보살이 욕계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선정의 힘으로 욕계로 태어남. ④ དབང་འབྱོར་བའི་དབང་གིས་སྐྱེ་བ་ (왕조르와): 십지 중 거의 부처와 다를 바 없는 힘을 가진 대보살이 중생구제를 위해 태어남.[6] 제자가 스승에게서 정법을 받아 이를 상호ㆍ계승한다는 뜻의 불교 용어.[7] 지혜자량은 부처의 법신을 이루는 원인이 되고 복덕자량은 부처의 색신을 이루는 원인이 된다.[8] 물론 다음 생에도 환생하겠다는 스승 본인의 의지가 전제되어야 한다.[9] 보살은 수행의 과정에서 종종 삼악도나 성문, 연각의 경지로 퇴락하기도 한다. 반면에 더이상 퇴락하지 않고 깨달음을 잃지 않는 상태를 '불퇴전', '아비발치'라 한다. 구체적으로 불교 교학에서는 보살 52위 중 십주(十住)의 제7주인 불퇴전주(不退轉住), 십지(十地)의 제8지인 부동지(不動地) 등을 불퇴전지라고 일컫는다. 그 중 진정한 의미의 불퇴전지는 제8지인 부동지이며, 부동지에 오른 후에는 부처의 지위에 이르기까지 더이상 퇴전함 없이 향상(向上)하게 된다.[10] 티베트의 역사, 정치를 바라보는 중국 학계와 대만 학계의 인식은 기본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 주체만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중화민국으로 바뀔 뿐, 대만 역시 중국처럼 티베트를 자국 영토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티베트 연구에 있어 양안(兩岸) 학계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1990년대 이후 양안 간 학술 교류가 활발해졌고, 대만에서 티베트 관련 연구를 하려면 문헌 조사를 하든 현지 답사를 하든 간에 중국 학계의 도움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연구의 양적 규모도 중국이 대만을 압도한다. 다만 티베트를 실질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중국에 비해 대만은 정치적으로 보다 온건하고 유화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민진당을 비롯한 범록연맹 계열에서 티베트의 독립 내지 실질적 자치를 지지하는 경우도 있다. 연구의 자율성/독립성도 대만 측이 상대적으로 더욱 보장된다고 알려져 있다.[11] 2021년 총선은 전세계 25개국, 57개 지역에서 82,969명의 등록 유권자 중 76.78%인 63,701명이 참가해 역대 최고 투표율을 보였다.#[12] 티베트 망명정부 의회 의석 중 일부는 승려 신분의 각 불교 종파 대표들에게 할당된다. 이는 귀족과 승려들로 구성된 전통적인 티베트 정부 내각(카샥Kashag)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총 45석의 의석 중 닝마, 사캬, 까규, 겔룩 등 티베트 불교 주요 4대 종파와 티베트 전통 종교인 뵌교에 각각 2석씩 의석이 할당된다. 의회에 참여할 종파별 대표는 각 종파에 소속된 승려들의 투표로 선출한다. 현재 해외에 거주 중인 티베트 난민은 총 13만여 명 정도이고 그 중 승려가 2~3만여 명에 달하므로, 승려에게 할당된 의석 수와 인구 비율은 얼추 상응하는 셈이다.[13] 인격과 가치관이 정립되지 않은 미성년일 때부터 종교 교육을 받고 종교지도자로서의 의무를 수행하며 대중의 관심, 숭배를 받게 된다는 점 때문에 환생자 제도가 아동 인권 침해에 해당한다고 보는 티베트 외부의 시각이 있다.[14] 바르도는 '둘(do) 사이(bar)'라는 뜻으로, 특정한 두 시점 사이의 기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단 중유(中有, antarā-bhava)뿐 아니라 생유(生有), 본유(本有), 사유(死有) 등 사유(四有) 각각을 지칭할 때도 쓰인다.[15] 바르도에서 일어나는 의식의 변화에 대하여 다음의 서적들을 참조할 것. 《바르도 성취법》, 《달라이 라마, 죽음을 말하다》, 《티베트의 지혜(삶과 죽음을 바라보는)》, 《밀교의 성불 원리》, 《티베트 사자의 서(개정 완역)》, 《티벳 사자의 여행 안내서》 등. 각각의 문헌에 따라 설명에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일명《티베트 사자의 서》로 잘 알려진 《바르도 퇴돌》은 14세기 닝마 수행자인 까르마 링빠(kar ma gling pa)에 의해 발견된 뗄마(보장) 문헌으로서, 닝마 전승에서만 통용되는 가르침이며 티베트 불교의 다른 종파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16] 관련 기사 링크(※시신 사진 주의) #1 #2 #3 #4 #5[17] 촉니(Tsoknyi) 린뽀체가 도종 린뽀체의 시신 상태를 설명하는 영상(※시신 영상 주의) #[18] 관련 기사 링크. #1 #2 #3 #4 #5 [19] 관련 기사 링크. #1 #2 #3 #4 [20] 생전에 동의를 구한 잠재군(群) 중 사후 부패 지연 현상을 보인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