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네이케스

덤프버전 :

테베 군주

[ 펼치기 · 접기 ]
역대 왕
카드모스 왕조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카드모스
펜테우스
폴리도로스
랍다코스
찬탈기
카드모스 왕조
오이디푸스 왕조
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암피온 & 제토스
라이오스
오이디푸스
폴리네이케스 & 에테오클레스
찬탈기
오이디푸스 왕조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리코스 2세
라오다마스
테르산드로스
티사메노스
오이디푸스 왕조
다마식톤 왕조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아우테시온
다마식톤
프톨레미
크산토스
역대 섭정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닉테우스
리코스
크레온
페넬레오스



테베를 공격한 일곱 장군

[ 펼치기 · 접기 ]
아드라스토스총사령관
티데우스
카파네우스
에테오클로스
히포메돈
파르테노파이오스
암피아라우스
폴리네이케스
개인 문서가 있는 인물은 볼드 처리




Πολυνείκης / Polynices

1. 개요
2. 일대기
3. 대중매체에서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테베이자 테베를 공격한 일곱 장군 중 하나.

아버지 오이디푸스가 어머니인 이오카스테와의 근친상간을 통해 얻은 네 명의 자식 중 하나다. 즉 오이디푸스에게는 아들이자 남동생이며, 이오카스테에게는 아들이자 손자이다. 쌍둥이 형제 에테오클레스와 공동으로 왕위에 오르지만, 권력 다툼으로 인해 전쟁이 일어나게 된다.

아이스퀼로스와 에우리피데스는 에테오클레스를 형으로, 폴리네이케스를 동생으로 기록했다. 반대로 소포클레스는 폴리네이케스를 형으로, 에테오클레스를 동생으로 기록했다.[1]


2. 일대기[편집]


오이디푸스는 이오카스테와의 진실이 밝혀지자 자신을 모욕한 아들들에게 그들이 로 유산을 나눌 것이라는 저주를 퍼부었고 실제로 형제는 1년간 번갈아가며 통치하기로 합의했지만, 에테오클레스는 약속을 지키지 않고 폴리네이케스를 테베에서 추방한다.

테베에서 추방당한 폴리네이케스는 아드라스토스 왕이 다스리는 아르고스로 가는데 여기서 마찬가지로 조국에서 추방당한 칼리돈의 왕자 티데우스와 시비가 붙었고 이를 본 아드라스토스 왕은 폴리네이케스와 티데우스를 말리고 둘을 사위로 삼는데, 이는 두 딸을 사자멧돼지에게 시집보내라는 신탁을 받았기 때문이다. 당시 폴리네이케스는 사자 가죽을 몸에 걸치고 사자가 새겨진 방패를 들고 있었고 티데우스는 멧돼지 가죽을 몸에 걸치고 멧돼지가 새겨진 방패를 들고 있었다.[2] 폴리네이케스는 아드라스토스의 두 딸 중에 한 명인 아르게이아와 결혼하여 테르산드로스라는 아들을 얻게 된다.[3]

아드라스토스 왕은 사위들의 왕위를 되찾아줄 것을 약속한다.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에서 폴리네이케스는 테베를 치기 전, 아테네에서 테세우스의 보호를 받던 아버지를 찾아가 축복을 부탁하지만 오이디푸스는 자신을 내쫒은 에테오클레스와 폴리네이케스를 저주한다. 안티고네가 테베를 치지 말라고 만류했음에도 거부하고 떠났다. 이후 자신과 티데우스를 포함한 일곱 장군이 이끄는 아르고스 군대를 거느리고 테베를 침공하고 테베의 일곱 성문 각각에 장군들을 배치시킨다.

테베의 왕 에테오클레스도 자신의 장군들을 성문 각각에 보내고 마지막으로 자신은 직접 폴리네이케스를 상대한다. 결국 제1차 테베 침공은 실패했지만, 테베의 왕 에테오클레스 역시 폴리네이케스와의 전투에서 서로를 동시에 찌르며 죽음을 맞이했다.[4]

크레온은 테베를 지키다 죽은 에테오클레스의 시신은 영웅으로서 성대한 장례식을 치르지만, 폴리네이케스의 시신은 들짐승이 찢어먹게 둘 것으로 포고령을 내렸다. 이를 여동생 안티고네가 거역하고 오빠의 장례를 치르고 벌을 받게 된다.

아이스퀼로스의 비극 《테베를 공격한 일곱 장군》에서는 암피아라오스에게 "외국의 군대를 끌고 들어와 조국의 도시와 조국의 신들을 없애버리는 것이 과연 신들의 마음이 들고, 후세 사람들이 듣고 전하기에 아름답고 훌륭한 행동이겠구려! 제 어머니의 원천을 말리는 것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겠소? 그대의 열성에 의해 창에 제압된 조국 땅이 어떻게 전쟁에서 그대의 전우가 될 수 있겠소?"라고 비난받는다. 폴리네이케스는 이에 개의치 않고, 왕좌를 다시 차지해서 에테오클레스를 추방하려고 벼르고 있었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포이니케 여인들》에서는 아버지 오이디푸스가 친모와 결혼했다는 사실에 절망해 스스로 맹인이 되자, 형과 같이 아버지를 유폐해서 '날선 무쇠로 이 집을 나눠 가지라'는 저주를 받는다. 아버지의 저주를 두려워한 폴리네이케스는 스스로 테베를 떠나고, 에테오클레스가 먼저 왕이 된다. 해마다 한 명이 왕이 되면 다른 한 명은 테베를 떠나기로 신들에게 맹세했지만 에테오클레스는 이를 어기고 폴리네이케스를 추방한다. 폴리네이케스가 테베를 공격한 일곱 장군 중 하나가 되자, 에테오클레스는 크레온의 조언대로 일곱 장군들을 상대할 장군들을 뽑는다. 이오카스테는 폴리네이케스에게 휴전하라고 설득하고, 차남의 결혼식에서 횃불을 들지 못한걸 아쉬워하며 두 아들들을 화해시키려 하지만 실패한다. 에테오클레스는 아르고스군에게 자신이 폴리네이케스와 1대 1로 싸우겠다고 선언하고, 내가 지면 폴리네이케스에게 이 집을 일임하되 자신이 동생을 죽이면 혼자서 집을 관리하겠다고 한다. 폴리네이케스는 헤라에게 기도하고, 에테오클레스는 아테나에게 기도한 후 1대 1로 싸우다가 동시에 죽었고[5], 이오카스테는 아들들의 죽음에 절망해 자살한다. 크레온은 폴리네이케스의 장례를 치르는 걸 금지하고 오이디푸스를 추방한다.


3. 대중매체에서[편집]


  •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7권에서는 소포클레스 버전을 채택해 에테오클레스의 형으로 나온다. 구판에서는 동생과 같이 아버지 오이디푸스에게 안긴 모습만 나온다. 신판에서는 왕좌를 독차지한 에테오클레스에게 추방당하고, 아르고스 왕 아드라스토스를 찾아간다. 아드라스토스를 비롯한 이들과 함께 테베를 치려고 하고, 예언자 암피아라오스가 테베 원정에 불참하려 하자 그의 아내 에리필레를 하르모니아의 목걸이로 매수해 암피아라오스도 참전시킨다. 결국 원전대로 에테오클레스와 서로를 찔러 동시에 죽고, 안티고네도 자신의 장례를 치룬 일로 감옥에 갇혀 자살한다. 아들 테르산드로스를 비롯한 에피고노이가 테베를 함락시킨 일, 암피아라오스와 에리필레의 아들 알크마이온이 아버지의 복수로 어머니를 죽인 후 미쳐 버렸다는 후일담도 나왔다.

  • 만화로 읽는 초등 인문학 그리스 로마 신화 19권에서는 아이스퀼로스, 에우리피데스 버전을 채택해 에테오클레스의 동생으로 나온다. 크레온의 제안으로 처음에는 서로 1년간 번갈아가며 왕위를 차지했으나 에테오클레스가 마음을 바꾸어 왕좌를 독차지하고 폴리네이케스를 추방한다. 이에 분노하여 아르고스 왕 아드라스토스를 찾아가고, 티데우스와 의자를 두고 다투는 해프닝이 있었으나 둘 다 아드라스토스의 사위가 되고, 테베 원정을 나간다. 테베의 승리를 위해 자살한 메노이케우스에게 고인드립을 치고, 에테오클레스와 서로를 찔러 동시에 죽는다. 안티고네는 자신의 장례를 치룬 일로 감옥에 갇혀 자살한다. 아들 테르산드로스를 비롯한 에피고노이의 후일담은 부록에서 다룬다.


4. 기타[편집]


  • 이름이 폴리데우케스와 비슷하다. 다만 폴리데우케스는 폴리네이케스와 다르게 형 카스토르와 사이가 좋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5:12:58에 나무위키 폴리네이케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이스퀼로스의 비극 《테베를 공격한 일곱 장군》에서는 정찰병이 폴리네이케스를 에테오클레스의 친아우라고 언급한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포이니케 여인들》에서도 에테오클레스가 형으로 나온다. 반대로 소포클레스의 비극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에서는 이스메네가 "나중에 태어난 혈기왕성한 아우(에테오클레스)가 먼저 태어난 폴리네이케스의 왕위를 빼앗고 조국에서 추방했어요."라고 언급한다. 세 비극 모두 역자는 천병희.[2] 만화로 읽는 초등 인문학 그리스 로마 신화 19권에서도 잘 묘사된다. 티데우스와 의자를 두고 서로 앉겠다며 싸우는데, 아드라스토스 왕은 사자 가죽과 멧돼지 가죽을 입고 있는 둘을 보고 사자와 멧돼지처럼 멍청한 녀석들이라고 까다가 신탁을 떠올리고 바로 둘을 사위로 삼는다.[3] 다른 한 딸은 티데우스의 아내이자 디오메데스의 어머니 데이필레.[4] 제1차 침공에서 실패한 일곱 장군들의 아들들은 후에 다시 테베를 공격해서 함락에 성공하는데, 이들을 '에피고노이'라고 한다. 이들 중 폴리네이케스의 아들이었던 테르산드로스는 이 전쟁에서 당시 테베의 왕이자 에테오클레스의 아들이었던 라오다마스를 죽인 뒤(전승에 따라서는 죽인 것이 아니라 테베에서 추방시켰다는 설도 있다.) 테베의 새로운 왕이 되었다.[5] 폴리네이케스가 먼저 쓰러지자 에테오클레스는 자신이 이겼다고 방심했다. 그러나 폴리네이케스에게 간을 찔리고 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