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제1공화국

덤프버전 :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 공화국
République française
Première République

파일:프랑스 국기(1790-1794).svg.png
파일:프랑스 제1공화국 국장.svg
국기
(1790년 10월 31일~1794년 2월 14일)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국기
(1794년 2월 15일~1804년 5월 18일)

국장
파일:프랑스 제1공화국.svg
1792년 9월 21일 ~ 1804년 5월 18일
성립 이전
멸망 이후
프랑스 왕국
프랑스 제1제국
국가
라 마르세예즈(총재정부)
출발의 노래(집정정부)
위치
오늘날의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라인강 이서 라인란트
수도
파리
정치체제
공화정
• 국민공회[1] (1792 ~ 1795)[2]
• 총재정부[3] (1795 ~ 1799)[4]
• 집정정부[5] (1799 ~ 1804)[6]
국가원수
공회장 → 총재[7] → 집정[8]
주요 지도자
조르주 당통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9]
언어
근대 프랑스어 → 프랑스어
국교
입헌 교회[10] (1792 ~ 1794)
이성 숭배[11] (1793 ~ 1794년 3월)
최고 존재의 제전[12] (1794년 3월 ~ 1794년 7월)
세속 국가 (1795년 이후)[13]

민족
프랑스인
주요 사건
1792년 국민공회 설립
1795년 국민공회 해산, 총재정부 수립
1799년 나폴레옹 쿠데타, 집정정부 수립
1804년 나폴레옹 황제 즉위로 공화국 소멸, 제1 제정 수립
통화
프랑

1. 개요
2. 역사
2.1. 공화국의 설립
2.2. 공포 정치
2.4. 나폴레옹의 집권
3. 역대 지도자
3.1. 국민공회 의장
3.2. 총재정부 의장
3.3. 집정



1. 개요[편집]


프랑스어: République Française
영어: French First Republic

프랑스 대혁명 중에 구성된 국민공회(Convention nationale. National Convention)가 1792년공화제를 선포하면서 수립된 정권으로, 공식 명칭은 프랑스 공화국.[14] 1804년 나폴레옹황제의 자리에 오르면서 사라지게 된다.


2. 역사[편집]


크게 네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부르봉 왕가의 몰락과 공화국의 설립 → 로베스피에르공포정치테르미도르 반동나폴레옹의 집권.


2.1. 공화국의 설립[편집]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 감옥 습격사건으로 프랑스 혁명은 촉발되었으나, 혁명 이후 프랑스의 정체(政體)에 대해서는 혁명세력 내에서도 의견이 달랐다. 의외로 군주가 없는 '공화' 체제는 세력 내 주류 의견이 아니었다. 당시 혁명의 주된 목적은 어디까지나 앙시앵 레짐을 비롯한 프랑스의 여러 낡은 제도와 계급 사회 구조를 타파하는게 첫 번째였으며 왕을 없애자는 생각은 별로 나타나지 않았던 것. 그저 왕의 권한을 축소하는 '입헌군주제' 정도가 주류에 가까웠다.

아직 공화국이 수립되기 전이었던 1792년 프랑스혁명에 적대적이었던 외부세력, 특히나 프로이센 왕국오스트리아 제국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이러한 외부의 위협[15]은 민중들을 단합시키는 한편, 정치적으로 극단적인 세력들의 목소리를 키우게 만들었고 곳곳에서 폭력 사태가 잇따른다.

대표적인 사례가 흥분한 민중들이 유폐된 루이 16세와 그 일가가 머무르고 있던 튈르리 궁전으로 쳐들어가 스위스 용병을 학살한 9월 대학살. 이처럼 혁명 전쟁이 발발함에 따라 프랑스 내부 여론은 크게 바뀌었고 점차 왕정 폐지로 가닥이 잡히게 된다. 이후 루이 16세가 오스트리아와 내통했다는 혐의가 걸리면서 1793년, 루이 16세는 사형을 당하고 부르봉 왕가는 폐지된다.


2.2. 공포 정치[편집]


공화국이 세워졌지만, 프랑스는 내우외환으로 몸살을 앓고 있었다. 특히나 수도파리는 식량이 부족해서 '빵을 달라'는 요구와 함께 1792년에서 1793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내내 식량 소요 사태가 끊이지 않았을 정도. 한편 외부세력과의 전쟁 역시 계속되었고 이에 1793년 4월 국민 공회는 공안 위원회(Comité de salut public)라는 행정부서를 조직하여 치안을 유지하고자 시도한다. 이 공안위원회를 이끄는 사람은 바로 급진세력의 거두인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였다. 혁명의 이름으로 국가의 적으로 인식된 자들은 줄줄이 기요틴 앞으로 끌려가기 시작했고, 공안위원회는 공포 정치의 대명사로 자리잡게 된다. 로베스피에르와 급진세력이 주도한 공포정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로베스피에르의 공포정치와 로베스피에르 항목의 공포정치를 참조하자.

다만 이 시기에 인권이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한 가지 중요한 사건이 일어난다. 바로 1793년 최초의 프랑스 공화국 헌법이 발효된 것. 1789년 발표된 프랑스 인권 선언[16]을 기본으로 하여 21세 이상 성인 남성들의 보통선거권과 더불어 '주권인민에 속한다'는 내용의 재민주권을 확인한 이 헌법은 이후 전 세계 헌법의 모태가 된다. 또한 이 시기 프랑스 공화력이라고 불리는 비효율적인 역법 개혁 및 반가톨릭 운동도 수반됐다. 교회와 종교 기념물이 파괴되는 건 물론이고 심지어 잔 다르크 관련 문화재까지 화를 면치 못했다.[17]


2.3. 테르미도르 반동[편집]


이런 상황에서 급진개혁파 안에서도 내분이 일어나 지나치게 과격했던 에베르 파, 상대적으로 온건했던 당통 파가 차례로 축출된다. 당내 라이벌들을 제거하고 견제가 없어지자 로베스피에르의 폭주는 점점 더 가속화됐고, 변질된 혁명을 견디다 못해 테르미도르 반동1794년 일어나 로베스피에르는 처형되고 숨어있던 온건 지롱드파가 다시 권력을 쥐게 된다.

지롱드파산악파가 주도한 1793년 헌법을 개정하고자 시도했고 1795년 헌법을 통해 양원제와 더불어 5명의 총재(Directeur. Director)가 정부를 구성하는 소위 총재정부(directoire, Directory)를 기본으로 하는 새로운 정치 체제가 도입된다. 이 새로운 정치 체제는 양원제[18], 5명의 총재에서 보이지만 권력을 철저히 나누어서 특정인물 혹은 특정 계파의 폭주를 막기 위한 것이 주 목적이었다. 문제는 이번엔 너무 권력을 나눠서(...) 국가가 똑바로 운영되지가 못했다. 행정부입법부는 서로를 잡아먹지 못해서 안달인 와중에 초인플레이션이 터지면서 경제는 엉망진창이 되자 민중들의 불만은 또다시 고조되기 시작한다.


2.4. 나폴레옹의 집권[편집]


이런 와중에 소장파 장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군사적 성과를 바탕으로 민중의 지지를 받게 된다. 한편 위의 항목에서 상술한 입법부행정부의 대립은 심각한 지경이어서 입법부 의원들은 행정부 총재에 대한 암살 시도를 공공연히 시도할 정도(...)였다.[19] 이에 나폴레옹은 안개의 달 18일 쿠데타, 혹은 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고 종신 집정(Consul)의 자리에 오르면서 프랑스 혁명, 그리고 프랑스 제1공화국은 과거로 남게 된다. 1799년 쿠데타 당시에 이미 공화국은 끝난 것과 마찬가지이기는 했지만 공식적으로는 나폴레옹프랑스 제1제국황제에 오른 1804년이 공화국의 마지막 해.


3. 역대 지도자[편집]




[ 펼치기 · 접기 ]
국민공회 의장 (1792~1795)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필리프 륄
제롬 페티옹 드 빌뇌브
장프랑수아 들라크루아
엘리 가데
마리장 에로 드 세셸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앙리 그레구아르
베르트랑 바레르
자크 드페르몽
장바티스트 트레야르
피에르 빅튀르니앵 베르니오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장폴 라보 생테티엔
장자크 브레아르
에드몽루이알렉시 뒤부아크랑세
아르망 장소네
장앙투안 드브리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장프랑수아 델마스
마르크다비드 라주르스
장바티스트 부아예퐁프레드
막시맹 이스나르
프랑수아르네 말라르메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장마리 콜로데르부아
자크알렉시 튀리오
앙드레 장봉 생탕드레
조르주 당통
마리장 에로 드 세셸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자크니콜라 비요바렌
피에르조제프 캉봉
루이조제프 샤를리에
무아즈 벨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피에르앙투안 랄루아
샤를질베르 롬
장앙리 불랑
조르주 쿠통
자크루이 다비드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마르크기욤알렉시 바디에
조제프니콜라 바르보 뒤 바랑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
필리프 륄
장랑베르 탈리앵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장바티스트앙드레 아마르
로베르 랭데
라자르 카르노
클로드앙투안 프리외뒤베르누아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엘리 라코스트
장앙투안 루이
장마리 콜로데르부아
필리프앙투안 메를랭 드 두에
앙투안 메를랭 드 티옹빌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앙드레앙투안 베르나르
앙드레 뒤몽
장 자크 레지 드 캉바세레스
피에르루이 프리외
루이 르장드르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장바티스트 클로젤
장프랑수아 뢰벨
피에르루이 벤타볼
에티엔프랑수아 르투르뇌르
스타니슬라스 조제프 프랑수아 그자비에 로베르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폴 바라스
프랑수아루이 부르동
앙투안 클레르 티보도
장 펠레
프랑수아앙투안 부아시 당글라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
테오도르 베르니에
장바티스트 샤를 마티외
장드니 랑쥐이네
장바티스트 루베 드 쿠브레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루이귀스타브 둘세 드 퐁테쿨랑
루이마리 드 라 레벨리에르레포
피에르 도누
마리조제프 셰니에
테오필 베를리에
제76대
제77대
피에르 샤를 루이 보댕
장조제프빅토르 제니시외



프랑스어 위키백과의 국민공회 의장 목록
프랑스어 위키백과의 총재정부 의장 목록

아래는 사실상의 실권자 목록이다.
대수
이름
임기
초대
조르주 당통
1792년 9월 21일 ~ 1792년 10월 9일
제2대
롤랑 드 라 플라티에르
1792년 10월 9일 ~ 1793년 1월 23일
제3대
에티엔 클라비에르
1793년 1월 23일 ~ 1793년 6월 2일
제4대
조르주 당통
1793년 6월 2일 ~ 1793년 7월 10일
제5대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1793년 7월 27일 ~ 1794년 7월 27일
제6대
라자르 카르노
1794년 7월 27일 ~ 1794년 10월 6일
제7대
장 자크 레지 드 캉바세레스
1794년 10월 6일 ~ 1794년 11월 8일
제8대
라자르 카르노
1794년 11월 8일 ~ 1795년 3월 3일
제9대
장 자크 레지 드 캉바세레스
1795년 3월 3일 ~ 1795년 11월 2일
제10대
라자르 카르노
1795년 11월 2일 ~ 1797년 9월 4일
제11대
폴 바라스
1797년 9월 4일 ~ 1799년 6월 18일
제12대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
1799년 6월 18일 ~ 1799년 11월 9일
제13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1799년 11월 9일 ~ 1804년 5월 18일


3.1. 국민공회 의장[편집]


Président de la Convention nationale
대수
이름
임기
(초대)
필리프 륄
1792년 9월 20일[20]
제2대
제롬 페티옹 드 빌뇌브
1792년 9월 20일 ~ 1792년 10월 4일
제3대
장프랑수아 들라크루아
1792년 10월 4일 ~ 1792년 10월 18일
제4대
엘리 가데
1792년 10월 18일 ~ 1792년 11월 1일
제5대
마리장 에로 드 세셸
1792년 11월 1일 ~ 1792년 11월 15일
제6대
앙리 그레구아르
1792년 11월 15일 ~ 1792년 11월 29일
제7대
베르트랑 바레르
1792년 11월 29일 ~ 1792년 12월 13일
제8대
자크 드페르몽
1792년 12월 13일 ~ 1792년 12월 27일
제9대
장바티스트 트레야르
1792년 12월 27일 ~ 1793년 1월 10일
제10대
피에르 빅튀르니앵 베르니오
1793년 1월 10일 ~ 1793년 1월 24일[21]
제11대
장폴 라보 생테티엔
1793년 1월 24일 ~ 1793년 2월 7일
제12대
장자크 브레아르
1794년 2월 7일 ~ 1793년 2월 21일
제13대
에드몽루이알렉시 뒤부아크랑세
1793년 2월 21일 ~ 1793년 3월 7일
제14대
아르망 장소네
1793년 3월 7일 ~ 1793년 3월 21일
제15대
장앙투안 드브리
1793년 3월 21일 ~ 1793년 4월 4일
제16대
장프랑수아 델마스
1793년 4월 4일 ~ 1793년 4월 18일
제17대
마르크다비드 라주르스
1793년 4월 18일 ~ 1793년 5월 2일
제18대
장바티스트 부아예퐁프레드
1793년 5월 2일 ~ 1793년 5월 16일
제19대
막시맹 이스나르
1793년 5월 16일 ~ 1793년 5월 30일
제20대
프랑수아르네 말라르메
1793년 5월 30일 ~ 1793년 6월 13일
제21대
장마리 콜로데르부아
1793년 6월 13일 ~ 1793년 6월 27일[22]
제22대
자크알렉시 튀리오
1793년 6월 27일 ~ 1793년 7월 11일
제23대
앙드레 장봉 생탕드레
1793년 7월 11일 ~ 1793년 7월 25일
제24대
조르주 당통
1793년 7월 25일 ~ 1793년 8월 8일
제25대
마리장 에로 드 세셸
1793년 8월 8일 ~ 1793년 8월 22일
제26대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1793년 8월 22일 ~ 1793년 9월 5일
제27대
자크니콜라 비요바렌
1793년 9월 5일 ~ 1793년 9월 19일
제28대
피에르조제프 캉봉
1793년 9월 19일 ~ 1793년 10월 3일
제29대
루이조제프 샤를리에
1793년 10월 3일 ~ 1793년 10월 22일[23]
제30대
무아즈 벨
1793년 10월 22일 ~ 1793년 11월 6일
제31대
피에르앙투안 랄루아
1793년 11월 6일 ~ 1793년 11월 21일
제32대
샤를질베르 롬
1793년 11월 21일 ~ 1793년 12월 6일
제33대
장앙리 불랑
1793년 12월 6일 ~ 1793년 12월 21일
제34대
조르주 쿠통
1793년 12월 21일 ~ 1794년 1월 5일
제35대
자크루이 다비드
1794년 1월 5일 ~ 1794년 1월 20일[24]
제36대
마르크기욤알렉시 바디에
1794년 1월 20일 ~ 1794년 2월 4일
제37대
조제프니콜라 바르보 뒤 바랑
1794년 2월 4일 ~ 1794년 2월 19일[25]
제38대
루이 앙투안 드 생쥐스트
1794년 2월 19일 ~ 1794년 3월 6일
제39대
필리프 륄
1794년 3월 6일 ~ 1794년 3월 21일
제40대
장랑베르 탈리앵
1794년 3월 21일 ~ 1794년 4월 5일
제41대
장바티스트앙드레 아마르
1794년 4월 5일 ~ 1794년 4월 20일
제42대
로베르 랭데
1794년 4월 20일 ~ 1794년 5월 5일
제43대
라자르 카르노
1794년 5월 5일 ~ 1794년 5월 20일
제44대
클로드앙투안 프리외뒤베르누아
1794년 5월 20일 ~ 1794년 6월 4일
제45대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
1794년 6월 4일 ~ 1794년 6월 19일[26]
제46대
엘리 라코스트
1794년 6월 19일 ~ 1794년 7월 5일
제47대
장앙투안 루이
1794년 7월 5일 ~ 1794년 7월 19일
제48대
장마리 콜로데르부아
1794년 7월 19일 ~ 1794년 8월 3일[27]
제49대
필리프앙투안 메를랭 드 두에
1794년 8월 3일 ~ 1794년 8월 18일[28]
제50대
앙투안 메를랭 드 티옹빌
1794년 8월 18일 ~ 1794년 9월 2일
제51대
앙드레앙투안 베르나르
1794년 9월 2일 ~ 1794년 9월 22일
제52대
앙드레 뒤몽
1794년 9월 22일 ~ 1794년 10월 7일
제53대
장자크레지스 드 캉바세레스
1794년 10월 7일 ~ 1794년 10월 22일
제54대
피에르루이 프리외
1794년 10월 22일 ~ 1794년 11월 6일
제55대
루이 르장드르
1794년 11월 6일 ~ 1794년 11월 24일
제56대
장바티스트 클로젤
1794년 11월 24일 ~ 1794년 12월 6일
제57대
장프랑수아 뢰벨
1794년 12월 6일 ~ 1794년 12월 21일
제58대
피에르루이 벤타볼
1794년 12월 21일 ~ 1795년 1월 6일
제59대
에티엔프랑수아 르투르뇌르
1795년 1월 6일 ~ 1795년 1월 20일
제60대
스타니슬라스 조제프 프랑수아 그자비에 로베르
1795년 1월 20일 ~ 1795년 2월 4일
제61대
폴 바라스
1795년 2월 4일 ~ 1795년 2월 19일
제62대
프랑수아루이 부르동
1795년 2월 19일 ~ 1795년 3월 6일
제63대
앙투안 클레르 티보도
1795년 3월 6일 ~ 1795년 3월 24일
제64대
장 펠레
1795년 3월 24일 ~ 1795년 4월 5일
제65대
프랑수아앙투안 부아시 당글라
1795년 4월 5일 ~ 1795년 4월 20일
제66대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
1795년 4월 20일 ~ 1795년 5월 5일
제67대
테오도르 베르니에
1795년 5월 5일 ~ 1795년 5월 26일
제68대
장바티스트 샤를 마티외
1795년 5월 26일 ~ 1795년 6월 4일
제69대
장드니 랑쥐이네
1795년 6월 4일 ~ 1795년 6월 19일
제70대
장바티스트 루베 드 쿠브레
1795년 6월 19일 ~ 1795년 7월 4일
제71대
루이귀스타브 둘세 드 퐁테쿨랑
1795년 7월 4일 ~ 1795년 7월 19일
제72대
루이마리 드 라 레벨리에르레포
1795년 7월 19일 ~ 1795년 8월 3일
제73대
피에르 도누
1795년 8월 3일 ~ 1795년 8월 19일
제74대
마리조제프 셰니에
1795년 8월 19일 ~ 1795년 9월 2일
제75대
테오필 베를리에
1795년 9월 2일 ~ 1795년 9월 23일
제76대
피에르 샤를 루이 보댕
1795년 9월 23일 ~ 1795년 10월 8일
제77대
장조제프빅토르 제니시외
1795년 10월 8일 ~ 1795년 10월 26일


3.2. 총재정부 의장[편집]


Présidence du directoire
대수
이름
임기
초대
장프랑수아 뢰벨
1795년 11월 1일 ~ 1797년 9월 4일
제2대
루이마리 드 라 레벨리에르레포
1797년 9월 4일 ~ 1797년 12월 4일
제3대
폴 바라스
1797년 12월 4일 ~ 1798년 2월 25일
제4대
필리프앙투안 메를랭 드 두에
1798년 2월 25일 ~ 1798년 5월 26일
제5대
장프랑수아 뢰벨
1798년 5월 26일 ~ 1798년 11월 26일
제6대
폴 바라스
1798년 11월 26일 ~ 1799년 5월 26일
제7대
필리프앙투안 메를랭 드 두에
1799년 5월 26일 ~ 1799년 6월 18일
제8대
에마뉘엘 조제프 시에예스
1799년 6월 18일 ~ 1799년 9월 23일
제9대
루이제롬 고이에
1799년 9월 23일 ~ 1799년 11월 9일


3.3. 집정[편집]


Consul
대수
이름
임기
제1집정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1799년 11월 9일 ~ 1804년 5월 18일
[1] 프랑스어 : Convention nationale. 영어 : National Convention[2] 자코뱅당이 우세.[3] 프랑스어 : Directoire. 영어 : Directory[4] 지롱드당이 우세.[5] 프랑스어 : Consulat. 영어 : Consulate[6] 나폴레옹의 쿠데타로 인해 세워져서 사실상 나폴레옹이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7] 프랑스어 : Directeur. 영어 : Director[8] Consul[9] 1799년 쿠데타 이후[10] 1790년의 성직자기본법에 의거하여 교회교황이 아닌 혁명정부의 통제를 받았다. 현대 중국공산당애국회를 통하여 가톨릭교회를 통제해 추구하려는 목표와 유사하다.[11] Culte de la Raison. 무신론을 바탕으로 이성(理性)을 찬양. 자코뱅 내 강경파인 자크 르네 에베르에 의해 추진.[12] Culte de l'Être suprême. 이신론자였던 로베스피에르가 추진했다. 로베스피에르 시기에는 3만명의 사제들이 처형될 정도로 가톨릭교회를 가혹하게 박해했다.[13] 실질적으로 혁명기에도 농촌을 중심으로 대다수의 국민은 가톨릭 신자였고, 혁명정부의 가혹한 가톨릭 박해가 농촌을 중심으로 한 반혁명세력의 반발을 불러와 방데 전쟁 등 대항혁명 시도로 이어졌다.[14] 제1이라는 수식어는 어디까지나 후대에 세워진 제2, 제3 공화국과의 구분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붙은 것이다.[15] 프로이센은 프랑스의 국경 지대 요새인 베르됭을 점령했고, 브라운슈바이크의 공작은 '루이 16세를 복위시키지 않으면 파리까지 쳐들어가 폭도들을 다 목매달아버리겠다'는 식의 선언서를 발표했다. 곳곳에서 온갖 유언비어가 나도는 건 당연한 상황이었다.[16] 정식 명칭은 Déclaration des droits de l'Homme et du citoyen으로, 인간시민의 권리 선언이라는 뜻이다.[17] 다만 원체 가톨릭프랑스인들의 삶에 뿌리 깊게 스며들었기 때문에 지방에서는 정부의 반가톨릭 운동에 엄청난 반발을 일으켰다. 방데에서는 방데 전쟁이라는 대규모 봉기까지 일어났을 만큼 가톨릭 탄압의 실제 효과는 미미했으며, 나폴레옹황제에 오르면서부터는 교황을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고자 가톨릭을 적극적으로 포용한다.[18] 하원은 500인 의회, 상원원로원이라고 불렸다.[19] 나폴레옹 역시 마차를 타고 가다가 폭탄 테러를 당할 뻔 했다.[20] 지롱드파 집권.[21] 1월 21일 루이 16세 처형.[22] 몽테뉴파 집권.[23] 10월 16일 마리 앙투아네트 처형.[24] 화가로 유명한 그 사람이 맞다. 잘 알려져있지 않은 사실이지만 프랑스의 국가원수도 역임했었다.[25] 재임 중 2월 15일에 프랑스 국기의 색깔 배치가 현재의 파랑 하양 빨강으로 변경됨.[26] 재임 중 최고 존재의 제전 실시.[27] 테르미도르의 반동 당시 국민공회 의장.[28] 테르미도르파 집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9:26:28에 나무위키 프랑스 제1공화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