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도(BBTAG)

덤프버전 :

1. 개요
2. 기술표 및 게임 내 설명
3. 성능

파일:BlazBlue_Cross_Tag_Battle_(New_Logo).png
블레이블루 크로스 태그 배틀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블블태그로고BBCF.png
[[라그나 더 블러드엣지(BBTAG)|

파일:블블태그라그나.png
라그나]]

[[진 키사라기(BBTAG)|

파일:블블태그진.png
]]

[[노엘 버밀리온(BBTAG)|

파일:블블태그노엘.png
노엘]]

[[레이첼 알카드(BBTAG)|

파일:블블태그레이첼.png
레이첼]]

[[아이언 테이거(BBTAG)|

파일:블블태그테이거.png
테이거]]
1.1
[[하쿠멘(BBTAG)|
파일:블블태그하쿠멘.png
하쿠멘]]

[[ν-13(BBTAG)|

파일:블블태그뉴13.png
]]

[[하자마(BBTAG)|

파일:블블태그하자마.png
하자마]]

[[마코토 나나야(BBTAG)|

파일:블블태그마코토.png
마코토]]
1.0
[[플라티나 더 트리니티(BBTAG)|
파일:블블태그플라티나.png
플라티나]]
1.2
[[이자요이(BBTAG)|
파일:블블태그이자요이.png
이자요이]]

[[아즈라엘(BBTAG)|

파일:블블태그아즈라엘.png
아즈라엘]]
2.0
[[세리카 A 머큐리(BBTAG)|
파일:블블태그세리카.png
세리카]]
1.2
[[나인 더 팬텀(BBTAG)|
파일:블블태그나인.png
나인]]
1.5
[[쿠로가네 나오토(BBTAG)|
파일:블블태그나오토K.png>
나오토]]
2.0
[[스사노오(BBTAG)|
파일:블블태그스사노오.png>
스사노오]]

[[Es(BBTAG)|

파일:블블태그Es.png
Es]]
1.2
[[마이 나츠메(BBTAG)|
파일:블블태그마이.png
마이]]
1.1
[[쥬베이(BBTAG)|
파일:블블태그쥬베이.png
쥬베이]]
파일:블블태그로고P4U.png
파일:블블태그로고p4u2.png

[[나루카미 유우(BBTAG)|

파일:블블태그유우.png
유우]]

[[하나무라 요스케(BBTAG)|

파일:블블태그요스케.png
요스케]]

[[사토나카 치에(BBTAG)|

파일:블블태그치에.png
치에]]

[[아마기 유키코(BBTAG)|

파일:블블태그유키코.png
유키코]]
1.0
[[타츠미 칸지(BBTAG)|
파일:블블태그칸지.png
칸지]]
1.5
[[곰(BBTAG)|
파일:블블태그곰.png
]]
1.1
[[시로가네 나오토(BBTAG)|
파일:블블태그나오토.png
나오토]]
1.2
[[키리조 미츠루(BBTAG)|
파일:블블태그미츠루.png>
미츠루]]
1.2
[[사나다 아키히코(BBTAG)|
파일:블블태그아키히코.png>
아키히코]]
1.1
[[아이기스(BBTAG)|
파일:블블태그아이기스.png>
아이기스]]
2.0
[[엘리자베스(BBTAG)|
파일:블블태그엘리자베스.png>

엘리자베스
]]
1.2
[[라비리스(BBTAG)|
파일:블블태그라비리스.png>
라비리스]]
2.0
[[아다치 토오루(BBTAG)|
파일:list.png>
아다치]]
파일:블블태그로고UNIELst.png
[[하이도(BBTAG)|

파일:블블태그하이도.png
하이도]]

[[린네(BBTAG)|

파일:블블태그린네.png
린네]]

[[왈렌슈타인(BBTAG)|

파일:블블태그왈렌슈타인.png

왈렌슈타인
]]
1.1
[[카마인(BBTAG)|
파일:블블태그카마인.png
카마인]]
1.0
[[오리에(BBTAG)|
파일:블블태그오리에.png
오리에]]

[[고르도(BBTAG)|

파일:블블태그고르도.png
고르도]]
1.2
[[메르카바(BBTAG)|
파일:블블태그메르카바.png
메르카바]]
1.1
[[바티스타(BBTAG)|
파일:블블태그바티스타.png>
바티스타]]
1.5
[[세토(BBTAG)|
파일:블블태그세토.png>
세토]]
1.2
[[유즈리하(BBTAG)|
파일:블블태그유즈리하.png>
유즈리하]]
2.0
[[힐다(BBTAG)|
파일:블블태그힐다.png>
힐다]]
1.2
[[미카(BBTAG)|
파일:블블태그미카.png>
미카]]
파일:블블태그로고RWBY.png
[[루비 로즈(BBTAG)|

파일:블블태그루비.png
루비]]

[[와이스 슈니(BBTAG)|

파일:블블태그와이스.png
와이스]]
1.0
[[블레이크 벨라도나(BBTAG)|
파일:블블태그블레이크.png
블레이크]]
1.1
[[양 샤오롱(BBTAG)|
파일:블블태그양.png
]]
2.0
[[네오 폴리탄(BBTAG)|
파일:블블태그네오.png
네오]]
파일:블블태그로고AH.png
1.5
[[아이노 하트(BBTAG)|
파일:블블태그하트.png>
하트]]
파일:블블태그로고kagura.png
2.0
[[유미(BBTAG)|
파일:블블태그유미.png>
유미]]
파일:블블태그로고akatsuki.png
2.0
[[아카츠키(BBTAG)|
파일:블블태그아카츠키.png>
아카츠키]]
2.0
[[전광전차(BBTAG)|
파일:블블태그전광전차.png>
전광전차]]
캐릭터 우상단 숫자표기: DLC 캐릭터며 해당 배포 패치 버전을 의미함.




1. 개요[편집]


격투게임 블레이블루 크로스 태그 배틀에 등장하는 하이도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언더 나이트 인버스"의 주인공. 이능의 힘에 눈을 뜬 고등학생 소년.

거리에 관계없이 싸울 수 있는 올라운더다. 무기 "인슬레이터"[1]

를 사용한 공격은 가드 위에서도 대미지를 줄 수 있다.

- BBTAG 공식 홈페이지 캐릭터 소개문


프로필 이름하이도
(ハイド / Hyde)
본명키도 하이도
(城戸 灰都 / Hyde Kido)
담당 성우파일:일본 국기.svg 키무라 료헤이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맥칼리
출신작UNDER NIGHT IN-BIRTH Exe:Late[st]
배포 형태기본 캐릭터
파일:BBTag_Hyde.png
체력17000 (평균 수준)
이동 타입기본 달리기
공중 점프 가능
공중 대시 가능 (어설트)
고유 게이지없음
크러시 어설트발동 느림, 다리 속성 무적

  • 테마곡
    • Scraper Sky High
    • VS 세토 : Mutual Situation

2. 기술표 및 게임 내 설명[편집]





* 앉아 B는 머리 속성에 무적인 대공기다.
* 검을 쓰는 통상기는 스킬처럼 가드하고 있는 상대에게도 "가드 대미지"를 입힐 수 있다.
스마트 콤보
스마트 콤보 1A・A・A・A
스마트 콤보 2B・B・B
스마트 콤보 3공중에서 A・A
특수기
특수기1공중에서 C 후에 →
리버설 액션
\ 홍색을 두른 어둠의 날개(레드 클래드 크레이버A + D (공중 가능)

* 동작 개시부터 무적이다. 지상판은 공중 가드가 불가능하다.
스킬
\ 원환의 흉와(블랙 오비터↓↘→ + A or B

* "블랙 오비터"가 화면에 있을 때는 파생기 "다크 로터스"와 "벤드 시니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 심연에 피는 흑연(다크 로터스블랙 오비터 중에 ↓↘→ + A
 ⇒ 왜곡된 공극(벤드 시니스터블랙 오비터 중에 ↓↘→ + B
\ 허공을 나누는 단층 - 1층(베이컨트 시프트 퍼스트↓↙← + A or B (공중 가능)
 ⇒ 허공을 나누는 단층 - 2층(베이컨트 시프트 세컨드베이컨트 시프트 퍼스트 중에 A or B or C
  ⇒ 허공을 나누는 단층 - 3층(베이컨트 시프트 서드베이컨트 시프트 세컨드 중에 A or B or C
EX 스킬
\ 원환의 흉와(블랙 오비터↓↘→ + C
\ 허공을 나누는 단층 - 다중격층(베이컨트 시프트 세디먼트↓↙← + C (공중 가능)
 ⇒ 벤드 시니스터A or B블랙 오비터 중에 ↓↘→ + C

* 동작 개시부터 장풍 속성에 대하여 무적이다.
디스토션 스킬
\ 종언으로 이끄는 나선의 우리(자일 볼텍스↓↘→ + B + C

* 동작 개시부터 무적이다.
\ 각성 화를 부르는 성홍의 쐐기(베일 브링어 애로즈↓↙← + B + C

* 동작 개시부터 무적이다.
디스토션 스킬 듀오
\ 종언으로 이끄는 나선의 우리(자일 볼텍스메인 캐릭터의 디스토션 스킬 중 P

* 동작 개시부터 무적이다.
아스트랄 히트
\ 천지를 베어 찢는 황신의 포효(레이징 로어↓↓↓ + B + C

* 동작 개시부터 무적이다.
파트너 스킬
중립 + 파트너 스킬 (출신작의 베일 브링어)
→ + 파트너 스킬 (블랙 오비터)
← + 파트너 스킬 (다크 로터스)


3. 성능[편집]


중거리 성향의 표준형 캐릭터.

하이도는 리조넌스 블레이즈를 켜지않아도 통상기로 가드 대미지를 줄 수 있다. 물론 리조넌스를 켜면 가드 대미지가 흉악할 수준으로 더 높아진다. UNI 출신 캐릭터의 특징으로 C에서 B, A로 연계하는 등 통상기를 한 번씩 역순으로 넣을 수 있는 패싱 링크 시스템이 존재하는데 가드 대미지 갉아먹는 도중에 후딜레이를 줄여서 딜레이캐치를 방지할 수 있는 등 시스템 적인 이점을 많이 받고 있는 캐릭터다.

동작이 짧고 여러가지 후속으로 이을 수 있는 장풍 '블랙 오비터', 순식간에 상대를 구석으로 운반할 수 있는 돌진기 '베이컨트 시프트' 등 출신작 주인공다운 쉽고 다재다능한 올라운더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외에도 어시스트 성능은 진과 바티스타와 함께 최고의 성능으로 평가받는다.

콤보 데미지가 타 캐릭터들보다 비교적 약한 편에 유의할 것. 초기엔 이 점 때문에 강캐라고 하긴 애매한 분위기였으나 일본에서 개최된 공식 EVO 선수 선발 대회에서 과거 UNI 플레이 경력이 있던 kubo의 플레이로 인해 강점이 많이 재발견되었다. 1.5 패치 이후에는 자체성능은 굉장히 평균적인 딱 중간 위치의 캐릭터로 평가받는 정도.

2.0 패치로 블랙 오비터 이후 게이지 1칸을 소모하여 EX판 밴드 시니스터를 발동 가능, 적중 시 추격타가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4:23:03에 나무위키 하이도(BBTAG)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열의 면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