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가어

덤프버전 :

중국티베트어족

[ 펼치기 · 접기 ]
한어파
중국제어
관화 (표준중국어) · 오어 · 상어 · 감어 · 객가어 · 민어 (대만어) · 광동어 · 둥간어
티베트버마어파
보도나가어군
보드어 · 나가어 · 타니어 · 발티어 · 라다크어
히말라야어군
티베트어 · 종카어 · 셰르파어 · 렙차어 · 키란티어 · 림부어 · 네와르어
창어군
얼수어 · 리주어 · 창어 · 서하어
롤로버마어군
미얀마어 · 이어 · 나시어 · 하니어 · 라후어
카친어군
카친어 · 농어 · 삭어
카렌어군
파오어 · 풔어
기타
바이어 · 마니푸르어 · 투자어
* 취소선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 펼치기 · 접기 ]
상고한어
(上古漢語)
(기원전 13세기~기원후 3세기)
중고한어
(中古漢語)
(3세기~13세기)
관화 - 진어
관화
(官話)

북경관화(표준중국어) · 동북관화 · 중원관화 · 난은관화 · 기로관화 · 강회관화(남경어) · 교료관화 · 서남관화(민강화)
진어
(晉語)

오어 - 휘어
오어
(吳語)

북부오어(상해어 · 조주어) · 남부오어 · 서부오어
휘어
(徽語)

상어
(湘語)

호남어(湖南語) · 길숙방언 · 장사방언 · 누소방언
감어 - 객어
감어
(竷語)
창정방언 · 의유방언 · 길차방언 · 무광방언 · 회악방언
객가어
(客家語)

오화어 · 매현방언 · 대만 객가어
월어 - 평어
월어
(粤語)

광동어(廣東語) · 싱가포르 광동어 · 태산어(台山語)
평어
(平語)

민어
(閩語)

민남어
(閩南語)
복건어
(福建語)
대만어(臺灣語) · 하문어(廈門語) · 천주어 · 싱가포르 민남어
조주어
(潮州語)

민북어
(閩北語)
건구어 · 건양어
민동어
(閩東語)
복주어 · 복청어 · 복안어 · 만어 · 마조어
민중어
(閩中語)
삼명방언 · 영안방언 · 사현방언
보선어
(莆仙語)

소장어
(邵將語)

경뢰어
(瓊雷語)
해남경어
(海南瓊語)

뇌주어
(雷洲語)

한문(漢文)



객가어
客家话 / 客家話[1]
Hakka Chinese

파일:Idioma_hakka.png

객가어 사용 지역 분포도
유형
고립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우종서 (오른쪽부터 세로쓰기)
문자
한자, 로마자
주요 사용 지역
[[중국|

중국
display: none; display: 중국"
행정구
]]

푸젠성
광둥성
[[대만|

대만
display: none; display: 대만"
행정구
]]

원어민
약 3,000만 명
계통
중국티베트어족
한어
중국어
객가어
언어
코드

ISO 639-1
-
ISO 639-2
-
ISO 639-3
hak

納木維基,大家人共下培育介知識介樹。 (정체자)

纳木维基,大家人共下培育介知识介树。 (간체자)

nab mùg vî gí, tai gá ngîn kiung ha pî iùg ge dí siìd ge su[2]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대만의 객가어 채널인 객가TV의 주제곡 <객가세계 客家世界>.

1. 개요
2. 상세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중국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대만에서 쓰이는 중국어방언.

한족의 일파인 객가인(客家人)들의 언어다. 객가인은 중원에 있던 한족이 오호십육국 시대의 혼란으로 남쪽으로 피난을 떠나 문화적으로 갈라진 일파이다. 대만에도 객가어 사용자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한다.

중국어의 방언으로 되어 있지만 관화와는 통역 없이 의사소통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현재 관화와 겹치는 부분이 기껏해야 40% 후반에서 51~52%(기초 어휘 기준)인데, 이 정도 차이는 사실 방언의 범주가 아니라 독자적인 언어로 봐도 무관할 정도로 차이가 크다는 의미이다.

중국어 방언 가운데서 한국 한자음과 유사성이 가장 높다. 이것은 한국 한자음의 기반이 된 중고한어로부터 객가어가 갈라져 나왔기 때문이다.

로마자 표기에 이끌려 '하카어'[3]라고도 하는데 하카(ha.kka)가 아닌 학가(hak.ka)가 객가어 원어 발음에 가깝다.

2. 상세[편집]


지역적으로 규정되는 중국어의 다른 여러 방언들과는 달리 집단에 의해 규정되는 방언이다. 그 이유는 객가어 화자들이 중국의 중남부 지역 여러 곳에 흩어져 있기 때문이다. 장시성 남부와 광둥성 동부에선 객가어의 통용 비율이 넓이로나 인구로나 상당히 큰 편이다. 이 방언의 화자 집단인 객가인들은 후한~대에 을 피해 중국 북부에서 남부로 내려왔다고 하는데, 원체 집단이 보수적이고 폐쇄적이다 보니 방언도 옛날 색채를 띤다. 언어는 모집단이 클수록, 그리고 외부인의 유입이 많을수록 크게 변화하기 때문.

여러 군데 점점이 흩어진 만큼 객가어도 다양하게 갈라진다. 방언 안에서 또 방언이 갈리는 셈. 중국 대륙에서는 메이셴 방언이, 대만에서는 쓰셴 방언이 대표적이며 가장 많이 쓰인다. 객가어 하위 방언 중 어떤 것들은 상호 소통이 잘 안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싱닝에서 쓰는 객가어는 어말자음에 [m]과 [p]가 나타나지 않는 대신 각각 [n]과 [t]로 대체된다. 또 홍콩 객가어는 음절 가운데에 [w]가 올 수 없는데, 메이셴 객가어에서 光이 [kwɔŋ]으로 발음하는 반면 홍콩 객가어에서는 [kɔŋ]이라 발음한다. 성조의 경우도 하위 방언마다 조금씩 다른데 일반적으로 6개 성조이나 어떤 것은 입성이 소실되어 원래 입성으로 발음했던 문자들이 입성이 아닌 성조들로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다. 옛 객가어의 성조 체계를 보존하고 있는 경우는 성조가 7개가 되기도 한다.

관화보다 성조가 많고(관화는 4개, 객가어는 6개) 규칙이 복잡하다[4]. 사용 인구는 3000만~3500만여 명 정도. 한자 외에 로마자로 표기하기도 한다. 영상 참고. 위키백과에서도 민남어와 객가어로 작성된 문서는 로마자로 쓰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로마자 표기도 좀 다양해서 중국의 객가어는 Lau Chun-fat(劉鎮發)이라는 한 중국인이 한어병음을 참고해서 만든 객가병음(Hagfa Pinyim) 및 광동성 교육부에서 만든 '객가어병음방안'[5]을 사용(광동성 한정)하고 대만의 경우 장로교 선교사가 만든 백화자(Phak-fa-sṳ·PFS)[6]나 대만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대만어언음표방안'[7]을 사용한다. 다만 대만 교육부는 현재 관화한어병음을 객가어에 맞게 자체적으로 수정해서 만든 객가어병음방안(구칭 대만객가어병음방안)을 표준으로 채택해 객가어 교과서 등에서 쓴다. 하지만 객가어병음방안은 백화자 등 다른 객가어 로마자 표기법과 차이가 커서 괴리가 크다. 대만객가어병음방안 이전엔 객어통용병음대만 교육부 표준 객가어 로마자 표기법이었지만 지금은 표준에서 밀려났다.

어휘는 중고한어 시절 흔적이 남아 단음절 어휘가 많이 남아 있다. 이 단음절 어휘들은 관화보다 많은 성조와 어말자음으로 구분이 쉬워 의사소통에 혼란이 오지는 않는다. 따라서 2음절 이상으로 단어를 조성할 필요가 줄어든다. 그러나 2음절 이상 되는 어휘도 많이 있다.

2000년에는 어린왕자가 객가어로 번역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가장 방대한 객가어 출판물은 현대 대만 객가어로 쓰인 성경이다. 대만 객가어를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로마자와 한자[8]의 2개 문자체계로 적혀 있다.

현재는 중국이나 대만 모두 관화가 공용어로 쓰이다 보니 주로 객가인들이 서로 얘기할 때만 쓰이는 수준이다. 다만 대만에서는 객가어를 장려하고 있는데, 타이베이가오슝첩운 및 타이완 모든 기차 내 안내 방송은 관화-영어-대만어-객가어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타이베이의 일부 시내버스에서도 이같은 순서로 안내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객가어와 문화의 보존을 위해서 2001년 6월 14일 대만 행정원에서 행정원객가위원회를 설립하였으며, 2003년 7월 1일에는 객가위원회의 주도 아래 객가어 방송국인 객가 텔레비전(客家電視)이 개국하였다. 2018년에는 객가기본법(客家基本法)이 통과되어 객가인들이 많은 지자체에서 공문서를 중국어와 함께 객가어로도 제공하고 객가어 교육을 증진하도록 하고 있다.기사 중국 본토에서도 객가인들이 많이 사는 지역에서 객가어로 교통 안내방송을 내보내고있기도 한다.

허우샤오셴이 객가 출신이기 때문에 초기작에서 자주 들을 수 있다.


3. 둘러보기[편집]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관련 문서


[ 정치 · 군사 ]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국민대회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돤치루이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왕징웨이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여우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라이칭더 · 천젠런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역사 ]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공자 · 쿵더청)
사서
흠정24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반장전쟁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사회 · 경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문화 ]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四靈 · 오룡#다섯 마리의 용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중국어 교과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기타 ]


<^|1><height=32><bgcolor=#ffffff,#e00025>
[ 펼치기 · 접기 ]

}}}


[1] 객가어로 Hàg gá fa 정도로 발음된다.[2] 납 묵 비 기, 타이 가 응인 큥 하 피 육 게 디 슷 게 수[3]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오히려 이 표기가 유일한 표준이고 '객가어'나 '학가어' 등은 비표준이다. 위키백과에서도 '하카어'를 표제어로 삼는다.[4] 다만 입성인 5성, 6성을 3성, 4성에 포함시키면 크게 4가지이다.[5] 객가어 말고도 광동어, 조주어, 해남어 등 총 4개 방언을 병음으로 표기하려고 만들었다.[6] 객가어 위키백과#에서는 로마자로 적은 문서와 한자로 적은 문서를 함께 만드는데, 전자가 사용하는 표기법이 이 백화자이다.[7] 객가어 말고도 민남어, 대만 원주민 언어 등의 방언을 병음으로 표기하려고 만들었다.[8] 객가어에서 사용하는 한자들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