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급 분류 기호

덤프버전 :

1. 개요
2. 미국의 함급 분류 역사
3. 현재의 함급 분류 기호 체계
3.1. 미국 해군
3.2. 미국 해안경비대
3.3. 연방해양대기청
4. 미국 해군 함급 분류 기호
4.1. 전투함
4.1.1. 항공모함형
4.1.2. 수상전투함형
4.1.3. 잠수함형
4.1.4. 초계전투함형
4.1.5. 상륙함형
4.1.6. 원정지원함형(Expeditionary Support)
4.1.7. 보급지원함형(Combat Logistics)
4.1.8. 기뢰전함형
4.1.9. 연안방어함형
4.1.10. 물류보급함형
4.2. 보조함
4.2.1. 보조함형
4.3. 지원함
4.3.1. 지원함형
4.3.2. 임무지원형
5. 미국 해안경비대 함급 분류 기호
6. 미국 연방해양대기청 함급 분류 기호
7. 대한민국 해군의 이용 사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함급 분류 기호(Hull Classification Symbol)은 미국 해군, 미국 해안경비대, 미국 연방해양대기청에서 사용하는 함급 분류 방식이다. 간단히 함선 코드(Hull Codes)함번(Hull Numbers)로 불리기도 한다. 영국 해군영연방 국가 해군을 포함하여 유럽권에서 널리 사용되는 페넌트 넘버와 함께 함선 및 함급 식별 방법의 양대 산맥 중 하나이다.


2. 미국의 함급 분류 역사[편집]



2.1. 미국 해군[편집]


미국 해군은 1890년대부터 해군 등록식별번호(Naval Registry Identification Number)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체계는 모든 해군 함정에 번호를 순차적으로 부여하고, 이를 함명 뒤에 기재하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어 전함 USS 인디애나(Indiana)는 USS Indiana(Battleship No.1)으로 기재되고, 순양함 USS 올림피아(Olympia)는 USS Olympia(Cruiser No.6)로 기재되었다. 함급이 다르다고 같은 번호가 부여되는 체계가 아니었다는 소리다. 이 체계가 1907년부터 간략화 되어 함급은 1글자 혹은 3글자로 축약되기 시작했다. USS Indiana(B-1) 같은 형식으로 말이다. 3글자는 장갑순양함(Armored Cruiser)의 약자인 ACR등이 있었다. 이 체계는 1920년 7월 17일 현재의 체계가 시행되기 전까지 1907년 전후의 방식들이 계속 혼용되며 사용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동안 미 해군은 수많은 민간선 및 상선을 징발하여 초계함, 기뢰부설함 등 보조함정으로 운용하였고, 당연히 이 수많은 배들 중에는 같은 이름을 가진 선박도 있었다. 그래서 이들을 분류하기 위해서 역시 위 방식을 사용하여 징발된 선박들을 식별하였다. 초계 임무를 맡게 된 선박에는 SP(Section Patrol)이란 식별기호와 번호를 부여했으며 이외 임무를 맡은 선박에는 ID(Identification) 식별기호와 번호를 부여했다. 식별기호는 달랐으나 부여되는 번호는 통합하여 순차적으로 부여되었다. 이때까지는 함선 코드라던가 함번이라고 불리진 않았다.


2.2. 미국 해안경비대[편집]


현재 미국 해안경비대의 모체인 미국 인명구조서비스(United States Lifesaviong Service)와 미국 영리쇄빙서비스(United States Revenue Cutter Service)는 1890년대부터 해군을 따라 해군 등록식별번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역시 현재의 함급 분류 체계가 생기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2.3. 연방해양대기청[편집]


현 연방해양대기청의 모체인 미국 연안 측지 조사단(United States Coast and Geodetic Survey)는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함선을 분류했다. 조사선의 크기의 따라 대양조사선(OSS, Ocean Survey Ship), 중형조사선(MSS, Medium Survey Ship), 연안조사선(CSS, Coastal Survey Ship), 보조조사정(ASV, Auxiliary Survey Vessel) 등의 식별기호를 만들어서 사용했다. 이는 조사단이 연방해양대기청으로 변경된 1970년 이후에도 어느 정도 사용되었으나 현재의 체계로 변경되었다.


3. 현재의 함급 분류 기호 체계[편집]



3.1. 미국 해군[편집]


미국 해군은 1920년 7월 17일, 이전의 해군 등록식별번호를 폐기하고 현재의 함급 분류 기호 체계를 확립했다. 이 새로운 체계에서 모든 함급 분류 기호는 최소한 2글자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이전의 해군 등록식별번호와 달리 함번은 함급마다 따로 부여되었다. 즉 미국 최초의 항공모함인 랭글리는 CV-1 USS 랭글리로 분류되고, 위의 전함 인디애나는 BB-1 USS 인디애나로 분류되었다.

함급을 분류하는 기호들은 시대에 따라 새로 생겨나고 사라지는 것들도 많다. 가령 전함이 사라진 현대 해군에서 전함(BB) 기호는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1975년 순양함 격차 논쟁으로 인해 시행된 미 해군의 함급 재분류 이후로 선도구축함(DL) 및 호위구축함(DE)도 사용되지 않는다.[1]

가끔보면 미국 해군 함선 중 함급 분류 기호가 T-로 시작하는 함선들이 있다. 이들은 군사해상수송사령부(Military Sealift Command) 소속의 함선들로, 미취역 함선들의 운용평가때 붙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군인보다 주로 민간인 승조원의 비율이 높고 선박 접두어도 취역한 함정의 USS가 아닌 USNS(United States Naval Ship)이 붙는다.


3.2. 미국 해안경비대[편집]


미국 해안경비대는 함급 분류 기호가 W로 시작한다. 1965년 전에는 군함 분류 기호 앞에 W를 붙여 사용했는데, 적용이 너무 어려웠는지 독자적인 분류 기호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강도쇄빙선(WHEC, High Endurance Cutter)라던지.


3.3. 연방해양대기청[편집]


연방해양대기청은 보유 선박을 크게 연구선, 조사선 두 분류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연구선은 R 기호를 부여받고 조사선은 S 기호를 부여받는다. 해군처럼 두글자로 늘리지는 않고 한글자만 쓰며, 함번은 꼭 세자리를 쓴다. 특이한 점은 퇴역하는 배의 기호와 함번을 그 후계함이 그대로 잇는 경우도 많다.

4. 미국 해군 함급 분류 기호[편집]



4.1. 전투함[편집]



4.1.1. 항공모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AV
수상기 모함
퇴역
AVG
호위항공모함
1941년~1942년 사용
AVD
수상기 운용 구축함
퇴역
AVP
소형 수상기 모함
퇴역
AVT
항공기 수송함
퇴역
항공훈련보조모함
퇴역
ACV
호위항공모함
1942년 사용
CV
함대항공모함
1921년~1975년 사용
다목적 항공모함
1975년~현용
CVA
공격항공모함
1975년까지 사용
CV(N)
야간작전 항공모함[2]
1944년 사용
CVAN
공격원자력항공모함
1975년까지 사용
CVB
대형항공모함
1952년까지 사용
CVE
호위항공모함
1943년부터 사용. 퇴역.
CVHA
헬기강습항공모함
강습상륙함 등장으로 퇴역
CVHE
헬기호위항공모함
퇴역
CVL
경항공모함
퇴역
CVN
원자력 항공모함
현용
CVS
대잠항공모함
퇴역
CVT
훈련항공모함
AVT로 변경
CVU
기능항공모함
퇴역
CVG
유도탄 항공모함
퇴역
CVV
다목적 중형 항공모함
미사용


4.1.2. 수상전투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ACR
장갑순양함
1920년 전까지 사용
AFSB
부유형 전진기지
ESB[3]로 변경
B
전함
1920년 전까지 사용, BB로 변경
BB
전함
퇴역
BBG
유도탄 전함
미사용[4]
BM
모니터함
1920년부터 사용, 퇴역
C
순양함
1920년 이전까지 사용
CA
장갑순양함
1920년 이전까지 사용
중순양함
퇴역
CAG
유도탄 중순양함
퇴역
CB
대형순양함
퇴역
CBC
대형지휘순양함
퇴역, 미사용
CC
순양전함
퇴역, 미사용[5]
지휘함
퇴역
CLC
지휘순양함

CG
유도탄순양함

CGN
원자력추진 유도탄순양함

CL
경순양함
퇴역
CLAA
방공경순양함
퇴역
CLG
유도탄 경순양함
퇴역
CLGN
원자력추진 유도탄 경순양함
퇴역
CLK
대잠순양함
폐기
CM
기뢰부설순양함
퇴역
CS
정찰순양함
퇴역
CSGN
원자력추진 유도탄 타격순양함
미사용
D
구축함
1920년 이전까지 사용
DD
구축함

DDC
초계함
1950년대 중반 잠시 사용
DDE
대잠구축함[6]
1962년 호위구축함과의 혼동 방지를 위해 폐기
DDG
유도탄 구축함

DDK
대잠구축함
1950년 3월 4일 DDE로 통합
DDR
전방감시 구축함
퇴역
DE
호위구축함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사용, 대양호위함으로 변경
호위구축함(Ocean Escort)
1975년까지 사용, FF로 전환
DEG
유도탄 호위구축함
1975년까지 사용, FFG로 전환
DER
전방감시 호위구축함
1975년까지 사용
DL
선도구축함
1975년까지 사용
DLG
유도탄 선도구축함
1975년까지 사용
DLGN
원자력 추진 유도탄 선도구축함
1975년까지 사용
DM
기뢰부설 구축함
퇴역
DMS
소해구축함
퇴역
FF
호위함

PF
호위초계함
퇴역
FFG
유도탄 호위함

FFH
헬기 운용 호위함

FFL
경호위함
?
FFR
전방감시 호위함
퇴역
FFT
훈련 호위함
퇴역
PG
초계정
퇴역
PCH
수중익 초계정
퇴역
PHM
수중익 유도탄 초계정
퇴역
K
초계함
퇴역
LCS
연안전투함[7]
현용
M
모니터함
1880년대~1920년까지 사용


4.1.3. 잠수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SC
잠수순양함
퇴역
SF
함대잠수함
퇴역
SM
기뢰부설 잠수함
퇴역
SS
잠수함

SSA
보조/수송잠수함

SSAN
원자력 추진 보조/수송잠수함

SSB
탄도미사일 잠수함

SSBN
원자력 추진 탄도미사일 잠수함

SSC
연안잠수함
150톤 이상
SSG
유도탄 잠수함

SSGN
원자력 추진 유도탄 잠수함

SSI
AIP 디젤 잠수함

SSK
대잠 잠수함
퇴역
SSM
잠수정
150톤 미만
SSN
원자력 추진 잠수함

SSNR
원자력 추진 특수잠수함
[8]
SSO
급유 잠수함
퇴역
SSP
AIP 디젤 잠수함
기존에 수송잠수함으로 사용되었음
SSQ
통신보조잠수함
퇴역
SSQN
원자력 추진 통신보조잠수함
퇴역
SSR
전방감시 잠수함
퇴역
SSRN
원자력 추진 전방감시 잠수함
퇴역
SST
훈련잠수함

AGSS
보조잠수함

AOSS
급유보조잠수함
퇴역
ASSP
수송보조잠수함
퇴역
APSS
수송보조잠수함
퇴역
LPSS
상륙수송잠수함
퇴역
SSLP
수송잠수함
퇴역
IXSS
미분류 다양형 잠수함

MTS
훈련잠수함
해군 원자력 학교 실습함


4.1.4. 초계전투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PBR
강변초계정
베트남 전쟁
PC
구잠함

PCF
고속초계정

PE
이글급 초계정
제1차 세계대전
PF
호위초계함

PFG
유도탄 호위초계함
[9]
PG
초계정

PGH
수중익 초계정

PHM
유도탄 수중익 초계정

PR
강변 초계정

PT
어뢰정
제2차 세계대전
PTF
고속어뢰정

PTG
어뢰포정

ASPB
강습지원초계정
베트남 전쟁
PACV
공기부양초계정
베트남 전쟁
SP
각종 지원함들
해군 등록식별번호 기준, 1920년 폐지


4.1.5. 상륙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AKA
상륙수송함
1969년 LKA로 재분류
APA
상륙병력수송함
1969년 LPA로 재분류
APD
고속수송함
1969년 LPR로 재분류
AGC
상륙지휘함
1969년 LCC로 재분류
LCC
상륙통제정

LHA
강습헬기상륙함
일반 목적의 강습상륙함
LHD
도크형 헬기상륙함
다목적 상륙함
LKA
상륙수송함

LPA
상륙병력수송함

LPH
헬기상륙함

LPR
고속수송함

LSD
도크형 상륙함

LSH
중상륙함

LSIL
보병상륙함

LSL
물류상륙함

LSM
중형상륙함

LSM(R)
로켓 중형상륙함

LSSL
대형상륙지원함

LST
전차상륙함

LSV
차량상륙함

LCA
강습상륙정

LCAC
공기부양정

LCFF
상륙전대 기함상륙정

LCH
중형상륙정

LCI
보병상륙정

LCM
기계화상륙정

LCP
병력상륙정

LCP(L)
대형병력상륙정

LCP(R)
램프병력상륙정

LCPA
공기부양병력상륙정

LCS(L)
대형상륙지원정
1949년 LSSL로 재분류
LCT
전차상륙정
제2차 세계대전
LCU
다용도상륙정

LCVP
차량보병상륙정

LSH
중형상륙함



4.1.6. 원정지원함형(Expeditionary Support)[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ESD
원정상륙플랫폼

ESB
원정상륙전진기지

EPF
원정고속수송함

MLP
이동식상륙플랫폼
ESD로 재분류
JHSV
합동고속수송함
EPF로 재분류


4.1.7. 보급지원함형(Combat Logistics)[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AC
석탄보급함
퇴역
AE
탄약보급함

AF
물류저장보급함
퇴역
AFS
전투물류저장보급함

AKE
발전형 건조물류수송함

AKS
일반 물류저장보급함

AO
함대유류보급함

AOE
고속군수지원함

AOR
유류보급함

AW
증류선
퇴역


4.1.8. 기뢰전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AM
소해함

AMb
항구소해함

AMc
연안소해함

AMCU
수중 기뢰수색함

MSO
대양소해함

MSC
연안소해함

MCM
기뢰소해함

MCS
기뢰소해지원함

MH
기뢰파괴함

CM
기뢰부설순양함

CMc
연안기뢰부설함

MLC
연안기뢰부설함

DM
고속기뢰부설함

DMS
고속소해함


4.1.9. 연안방어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FS
초계함

PB
초계정

PBR
강변 초계정

PC
연안초계정

PCE
호위초계함

PCF
고속초계함

PF
호위초계함

PG
초계포정

PGM
중형 초계포정

PR
강변 초계정

SP
각종 지원함들
해군 등록식별번호 기준, 1920년 폐지


4.1.10. 물류보급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AD
구축함모함

AGP
초계정모함

AR
수리함

AS
잠수함모함

AV
수상기 모함



4.2. 보조함[편집]



4.2.1. 보조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AN
그물부설함

ARL
경형 수리보조함

ATF
대양예인선

AGHS
초계전투지원함


4.2.2. 비행선[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ZMC
특수접합 비행선

ZNN-G
G급 소형비행선

ZNN-J
J급 소형비행선

ZNN-L
L급 소형비행선

ZNP-K
K급 소형비행선

ZNP-M
M급 소형비행선

ZNP-N
N급 소형비행선

ZPG-3W
소형 정찰초계비행선

ZR
비행선

ZRS
정찰비행선



4.3. 지원함[편집]



4.3.1. 지원함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ACS
기중기 지원함

AG
다목적 지원함

AGDE
실험호위구축함

AGDS
심해잠수지원함

AGER
환경연구함

AGF
다목적 지휘함

AGFF
실험호위함

AGM
유도탄 사거리 측정함

AGOR
해저지형 연구함

AGOS
해양정찰함

AGS
조사함

AGSE
잠수함전 및 특수전 지원함

AGSS
연구용 잠수함

AGTR
기술연구함

AH
병원선

AK
화물선

AKR
차량수송함

AKS
물류저장함

AOG
가솔린 수송함

AOT
유류보급수송함

AP
수송함

ARC
해저케이블 수리함

APL
병영정

ARL
수리정

ARS
구난함

AS
잠수함모함

ASR
잠수함구난함

AT
대양예인선

ATA
대양예인보조선

ATF
함대 대양예인선

ATLS
무인기 발진함

ATS
구조구난함

AVB
항공물류지원함

AVS
항공물류저장함

AVT
착함훈련보조함

SBX
해상기반 X밴드 레이다



4.3.2. 임무지원형[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AB
기중기선

AFDB
대형 부유식 건선거

AFDL
소형 부유식 건선거

AFDM
중형 부유식 건선거

APB
자력추진 병영선

APL
병영정

ARD
수리보조건선거

ARDM
중형 수리보조건선거

ATA
대양예인보조선

DSRV
심해구난잠수정

DSV
심해잠수정

JUB/JB
예인바지선

NR
잠수연구정

YC
개방형 바지선

YCF
열차수송바지선

YCV
항공기수송 바지선

YD
부유식 크레인

YDT
잠수모함

YF
폐쇄식 바지선

YFB
연락정

YFD
부유식 건선거

YFN
비추진 폐쇄식 바지선

YFND
비추진 건선거 동행정

YFNX
비추진 특수바지선

YFP
부유식 전력바지선

YFR
폐쇄식 냉동창고바지선

YFRN
비추진 폐쇄식 냉동창고바지선

YFRT
탐색모함

YFU
입출항 지원정

YG
쓰레기 바지선

YGN
비추진 쓰레기 바지선

YH
응급정/소형 의료지원정

YLC
구조인양정

YM
인양선

YMN
비추진 인양선

YNG
입출항 검문정

YNT
대잠그물망 관리모함

YO
연료바지선

YOG
가솔린 바지선

YOGN
비추진 가솔린 바지선

YON
비추진 연료바지선

YOS
연료저장 바지선

YP
훈련초계정

YPD
부유 쓰레기 예인정

YR
부유식 작업선

YRB
수리정박선

YRBM
수리정박청소선

YRDH
부유식 건선거 선체작업선

YRDM
부유식 건선거 기계작업선

YRR
전파수리바지선

YRST
구난함모함

YSD
수상기 파괴 기중기

YSR
쓰레기 처리 바지선

YT
항내 예인정

YTB
대형 항내 예인정

YTL
소형 항내 예인정

YTM
중형 항내 예인정

YTT
어뢰훈련정

YW
수조 바지선

YWN
비추진 수조 바지선

IX
미분류 개체

X
가잠함

없음
USS 컨스티튜션



5. 미국 해안경비대 함급 분류 기호[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CG
해안경비함
1920년대 모든 해안경비함
WAGB
해안경비대 폴라급 쇄빙선

WAVP
해안경비대 대양 수상기 모함
퇴역
WDE
해안경비대 호위구축함
퇴역
WHEC
해안경비대 고강도쇄빙선

WIX
해안경비대 범선 이글호

WLB
해안경비대 부표모함

WLBB
해안경비대 부표모함/쇄빙선

WLM
해안경비대 연안부표모함

WLI
해안경비대 내륙부표모함

WLIC
해안경비대 내륙건축모함

WLR
해안경비대 강변 부표모함

WMEC
해안경비대 중강도쇄빙선

WMSL
해안경비대 대형 해양경비선

WPC
해안경비대 초계함

WPB
해안경비대 초계정

WPG
해안경비대 대양포정

WTGB
해안경비대 예인선

WYTL
해안경비대 소형예인선



6. 미국 연방해양대기청 함급 분류 기호[편집]


분류 기호
함급
비고
R
연구선

S
조사선

톤수당 함번 기준
5,501t~9,000t
함번 1xx대

3,501t~5,500t
함번 2xx대

2,001t~3,500t
함번 3xx대

1,001t~2,000t
함번 4xx대

501t~1,000t
함번 5xx대

500t 이하
함번 6xx대



7. 대한민국 해군의 이용 사례[편집]


대한민국 해군 역시 미국 해군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아 창군된 군으로 함급 분류를 기본적으로 미 해군의 함급 분류 기호에 따라 시행하고 있다. 개중에선 자체적인 분류 기호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함급 분류 기호/대한민국 해군 참조.


8.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5:08:31에 나무위키 함급 분류 기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본 해상자위대아부쿠마급이 영문 식별기호로 DE를 사용하고 있긴 하다.[2] 갑판에 조명을 설치하고 야간전 훈련을 받은 파일럿들을 운용한 항공모함.[3] Expeditionary Mobile Dock[4] 아이오와급 전함 켄터키호에 붙을 예정이었으나 건조 중단[5] 렉싱턴급 순양전함에 붙을 예정이었으나 건조 취소[6] 호위구축함과는 다른 함급이다.[7] 현재 LCS의 화력 증강 개량 이후 해당 개량을 받은 함들은 FF로 재분류 될 예정이다.[8] 미 해군 함적에서 사용되는 분류기호는 아니고 Common Warfighting Symbology 라는 문서에서 확인되는 기호. 특수전용 잠수함 분류기호로 판단된다.[9]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의 기존 분류기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