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유격전

덤프버전 :

MiG-21이 저공에서 매복하다가 F-4 팬텀을 격추하는 것을 DCS로 보여주는 영상[1]

1. 개요
2. 상세
3. 한계



1. 개요[편집]


조선인민군 공군이 사용하는 용어이자 그들의 전술교리다.


2. 상세[편집]


저공비행으로 레이더를 피해 접근해서 적기 밑에서 급상승해 적기에게 급습을 가하고 다시 급강하하여 반격을 피하는 방식이다. 표적 획득 직전까지 저공 비행을 지속해야 하며, 이는 항공유격전을 수행하는 요격기 스스로의 탐지성능도 제한하므로 지상관제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공군 창설시부터 이러한 경향이 강했던 소련 공군의 영향을 받은 북한, 베트남 공군이 주로 사용했다.

F-4의 레이더는 지평선 아래로만 내려가도 지상 반사파 때문에 추적이 불가능했고, 미군의 미사일 수준도 형편없었던데다 F-4B, C, D, J형은 기관포도 없었기에 저런 일이 가능했었다. 실제로 베트남전사에 북베트남의 미그기들이 비슷한 전술을 사용했다는 서술이 자주 언급된다.


3. 한계[편집]


해당 전술의 한계를 유머적으로 다룬 망선생의 동영상[2]

다만, 2010년대에 미군이나 대한민국 공군을 상대로 이런 짓을 벌였다가는 그저 불쏘시개가 될 뿐이다. 특히, 베트남 전쟁의 교훈 덕분에 레이더의 Look-down 성능이 향상되었고, 조기경보기까지 등장하며 이런 전술이 통할 가능성이 점점 0%로 수렴중이다. 고성능 이동식 레이더와 대공 미사일들을 잔뜩 갖춘 러시아 방공망도 아니고, 낙후된 설비의 북한 항공군이 개전 초기에 순항 미사일에 쓸려나가고 나면 비좁아 터진 한반도 전장에서는 제대로 된 요격루트를 찾는 것도 버거워진다. 지상관제 없는 항공유격전은 눈 감고 더듬어 가며 싸우는 것이나 마찬가지. 애프터버너 켜고 뼈빠지게 올라가야 할 요격기용 항공유가 충분한지조차 의심스러운 것이 북한군의 현실이라, 항공유격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오히려 조선인민군 입장에서는, 항공유격전보다는 대량의 탄도 미사일 투사로 비행장을 무력화한 뒤 띄울 수 있는 전투기를 모조리 띄워 한 번에 최대의 타격을 입히려 드는 쪽이 훨씬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북한이 전투기를 모조리 띄울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그 탄도 미사일들도 제대로 목표 지점에 명중하거나 명중하기 전에 요격당하지 않을지도 의문이다.

파생 전략으로 무전파-초음속 비행이라는 전술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7:28:40에 나무위키 항공유격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7분 4초부터[2] 저공침투비행을 시도할 때마다 국군 장비는 단 한 대도 파괴하지 못할 뿐더러 수두룩하게 발사관에서 쏟아져나온 MANPADS자주대공포의 대공사격에 하나같이 갈려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