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니문푸어

덤프버전 :

분류

파일:PD수첩 허니문푸어1.jpg
파일:PD수첩 허니문푸어2.jpg
※ 2012년 1월 17일 MBC에서 방송된 PD수첩에서 소개된 신조어이다.

1. 개요
2. 주된 문제
2.1. 집값 문제
2.2. 양육비 문제
3. 사례
3.1. 국내
3.2. 해외
4.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IMF 외환위기 이후 가중되는 신자유주의체제 하에서 치솟는 집값, 비정규직 증가와 저임금, 학자금 대출의 부담 등의 외부적 요인 등으로 인해 결혼생활의 시작부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결혼적령기 젊은 부부들을 가리킨다.

같은 경제적 문제를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허니문 푸어는 일단 결혼을 한 사람들 중에서 일어나는 문제이므로, 경제적 문제 등으로 결혼을 하지 못하거나 결혼 후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가리키는 결혼대란과는 지칭하는 부분이 조금 다르다.


2. 주된 문제 [편집]


허니문푸어 가정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주거 문제이다. 대한민국의 주요 경제적 인력이 수도권와 동남권에 모여사는 현실에서 수도권의 억단위 집값은 젊은 부부에게 상당한 부담이 된다. 남성이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까지 하는 건 일반적으로 빠르면 20대 중후반, 평균적으로 30세 정도가 되어야 하며, 늦게는 35세까지 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중견기업 이하에 속하는 90% 정도는 물가상승분을 따라가지 못하는 임금 수준이 겹치면서 40대 초반까지 버틸 생각 아니면 집에서 출퇴근하지 않는 이상 결국 부모에게 손을 벌리게 된다.

게다가 현대에는 여성들도 결혼을 늦게 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유는 두 가지인데, 우선 자기 생활을 최대한 누려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점이 가장 크지만, 집 사올 만한 재력을 가진 남자들이 대부분 30대 중반 이상인데 본인들이 거기에 맞추려고 버티다 보니 결혼이 늦어버리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한국의 허니문푸어는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부동산 문제+열악한 임금 수준 등이 결합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1. 집값 문제[편집]


서울 소재 아파트는 기본적으로 강남 같은 특이한 곳을 제외하더라도 평당 2,000~3,000만원으로 시작하며, 비싼 곳은 5,000만원 가까이 된다. 보통 신혼부부가 들어가는 아파트는 85형. 즉 26평이므로 5~8억 원 정도 되는 셈이다. 경기도권으로 넘어가도 평당 1,000만원으로 3억 가까이 되고, 신축 아파트는 서울 외곽 아파트와 거의 같다. 이 상황에서 보통 중소기업이나 공무원으로 시작하는 사람이 설사 중견직이라 해도 받는 봉급. 그리고 대개 이 나이대 사람들이 자취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몇십년을 모아야 할지는 짐작이 갈 것이다. 1억 5천에 살고, 대출금을 끼고 간다 쳐도 4~5년 이상을 버텨야 한다.[1]

다만 이걸 집값과 국가 탓만 하기 어려운 게, 국가 차원에서 임대아파트 등의 정책을 추진해도 스스로 거부하는 일이 많기[2] 때문이다. 그리고 부모 세대의 경우에도 수도권에 집을 바로 마련할 정도였던 사람은 거의 없었다는[3] 점도 이들을 온정적으로 보기만은 힘들게 하는 부분이다.

2.2. 양육비 문제[편집]


그래도 국가 차원에서 육아휴직 등을 강제하는 등의 노력 덕택에 최근에는 1년의 육아휴직기간은 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기업에 따라 2~3년까지 보장하기도 한다. 사실 일을 아예 안하고 시집을 가는 여성들도 많기 때문에 육아휴직 문제는 기본적으로 절반 가량의 고용된 여성을 기준으로 하는 게 맞다. 문제는 그 절반에게는 이것이 확실히 문제라는 것이다.

일단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것 자체는 요즘은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있지만 대신 이 기간 급여는 통상 월급의 40%만 지급되므로 맞벌이 가정에 있어서는 무시못할 소득 저하가 발생한다. 물론 둘째 아이부터는 어느 정도 여유가 생기지만 이 과정에서 첫아이가 희생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일하는 여성들로서는 아무리 육아휴직이 점점 보장이 되는 추세라지만 경력이 끊기고, 더군다나 일의 진행이 끊길 것을 우려한 상사가 육아휴직 사용이 예상되는 여성을 주요 업무에서 배제하게 되므로 커리어에 크나큰 차질이 생기는 것이 현실. 게다가 육아휴직 이후 기간이 또다시 확실히 문제다.

우선 보육원/유치원이 끝나는 시간 맞춰서 아이를 데리러 가고 보육원/유치원에서 아이가 다치거나 하면 데리러 가는 등의 돌봄노동이 남아 있다. 이 부분을 여자가 보통 맡게 되는데 그러다 보니 야근을 하기가 어려워지고, 저출산 때문에 비상이 걸린 국가가 빡세게 단속한다고 쳐도 결국 눈치보는 건 어쩔 수 없다. 게다가 일부 이익을 엄청나게 내면서도 사원을 쥐어짜기만 하는 인간들을 제외한 나머지 고용주 입장에서도 할 말이 있는데 결국 기업은 효율성 위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아예 결혼을 포기하거나, 혹은 결혼을 하더라도 육아를 포기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육아를 포기하는 사람이 많아진다는 것은 노후에 노인을 부양하고 돌봐줄 사람이 없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결코 쉽게 선택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정말 심각한 장애가 있거나 해서 결혼을 못 하고 자식도 못 낳는다면 어쩔 수 없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국가와 사회는 그 사람을 개인의 선택에 따른 책임으로 간주하여 냉정하게 외면한다. 사실 차우셰스쿠의 인구 정책처럼 국가가 과도한 요구를 한 것도 아니라 책임질 수가 없어 구제해 줄 방법도 없다.

그리고 양육비와 관련해서 상당한 오해를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기본적인 양육비는 그렇게 많이 들지 않는다. 옆동네 대륙처럼 품질 관리가 아예 안된다면 할 말이 있겠지만 한국과 같은 선진국은 그 정도 수준은 아니다. 그리고 장난감도 미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굳이 비싼걸 사주지 않아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아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장난감보다는 가족들의 사랑. 그리고 부모의 사고방식이기 때문이다.

물론 육아 과정에서 국가와 사회의 배려가 전반적으로 심각하게 부족한 것은 분명 문제지만 이 역시 위에서 언급했듯 꾸준히 개선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교육비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국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최소한 중학교까지는 무조건 강제. 고등학교도 본인과 가족이 원하기만 하면 국가가 장학금을 줘서라도 졸업을 시킨다.

문제는 탈냉전 이후의 아웃소싱. 특히 외환위기로 인한 정규직 과소, 비정규직 과다 현상과 비정규직에 대한 지나친 천대[4]에 따른 스펙 경쟁 과정에서 들어가는 돈[5]과 한국 사회 특유의 타인에 대한 지나친 의식이다. 물론 한국이 경쟁을 포기하고 산다고 굶어죽는 곳은 아니고 저소득층을 위한 복지제도도 어느 정도 되어 있는 만큼 이를 감수한다면 상관 없겠지만 그렇게 되려면 적어도 한세대는 걸릴 것이다.


3. 사례[편집]



3.1. 국내[편집]


사례를 통하여 차근차근 생각해보자. 이 사례는 2017년 물가 수준을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직장인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계층 및 학력의 소유자가 기준이다.

  • K씨(35)는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성인 남자이다. 모 중소 기업에 입사했으며, 연봉은 2,500만원 정도이다. 저축금은 있긴하지만 200만원 안팎으로 의미가 없는 수준이다.

  • 연 2500만원 중 교통비+통신비+적금+상해보험을 월 60만원(연 720만원)으로 잡자. 절약하는 남자로 놀러다니거나 술을 먹는 일이 별로 없는 사람이고 차도 없다면, 의류비+경조사비+유흥비로 월 40만원(연 480만원)을 쓴다고 하자. 이 계산대로라면 아끼고 아껴서 겨우 연 1,100만원(혼자 월세 사는 남자는 월세까지 더해서 500만원)을 저축할 수 있다. 이것도 무리수가 좀 있다 싶지만 그래도 집에서 출퇴근하는 남자도 많으니까 일단 무시한다고 치자.

  • 이제 불쌍한 K씨는 10년 후 결혼할 수는 있지만 이미 45살이며 33세에 직장에 들어왔더라도 43살이다. 작은 집이라도 수도권의 가장 싼 곳이 1억 5,000만원 정도니까 10년 뒤에 결혼을 하더라도 빚이 5,000만원(1억원) 생긴다. 여기에 생활비까지 합치면 대출금은 더 늘어난다. 물론 냉정하게 생각해서 여자도 나이는 많지만 직장인으로 구하고, 아이는 나중에 입양으로 가는 등 좀 더 유연하게 판단할 수 있으면 그 이상의 추가지출은 없고 오히려 빚을 빨리 갚을 수 있겠지만 한국의 혈통주의 때문에[6] 20대를 찾다가 10세 이상 나는 나이 차에 대한 대가로 엄청난 결혼비용까지 떠안게 되고 여자의 스펙은 기대할 필요조차 없다. 그리고 이렇게 결혼한 여자가 아이를 낳으면 그 경제적 부담도 남자가 져야 하는데 이게 빚을 다 갚고 난 40대 중반 이후라면 모르지만, 현실은 40대 초반이라는 데 문제가 있다. 지나치게 아버지의 나이가 많으면 자식에게 경제적으로는 도움을 줄 수 있어도 그 외의 부분에서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3.2. 해외[편집]


해외의 사례를 보면, 일본의 경우에는 이런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일단, 한국처럼 '집을 소유한 상태'에서 결혼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희박해서 그런 점이 크며, 신혼부부는 두 사람이 살만한 임대아파트[7]나 임대맨션[8] 등을 빌려 생활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웬만한 상류층이거나 집값 싸고 땅 넓은 시골이 아닌 이상 20대 후반~30대 중반의 초혼부부가 집을 '소유'하고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일은 거의 없는 편. 전세가 존재하지 않는 일본의 주택특성상 임대는 월세로 가게 되는데 한국보다 보증금이 저렴하다[9] 는 것도 한국보다 신혼부부의 주택사정을 수월하게 한다. 즉 한국과 달리 일본에서는 보증금 200여 만원. 레이킨 100만원. 그리고 1년치 가량의 월세만 있으면 바로 결혼생활을 시작할 수 있는 것. 물론 이후 계속 벌어서 언젠가는 당연히 내집으로 가야겠지만 시작부터 내집을 꺼내진 않는다.

미국의 경우에도 허니문푸어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인데, 이 경우에도 신혼부부가 식을 올리기 전에 미리 집을 구입해서 결혼해야 한다는 관념이 희박하기 때문이다. 미국 대도시의 신혼부부들은 두 사람이 살만한 아파트[10]를 구해서 월세를 내면서 사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11] 미국에서 월세의 보증금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일본과 비슷하다.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는 하객 50인 이내의 스몰웨딩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한국의 혼수와 같은 전통도 없기 때문에 따로 들어가는 돈이 적다. 경우에 따라서는 신혼부부 둘이 증인이 되어줄 친구 몇명과 같이 시청에 가서 서류내고 후다닥 결혼식을 해치우는 경우도 다반사이다. 집을 구입하는 것은 결혼식 이후 수년 후에나 이루어지는데, 부부가 같이 일정량의 돈을 모은 뒤에 부족한 돈은 은행에서 모기지 론을 빌려서 해결하고, 이후 수십년에 걸쳐 천천히 모기지 론을 갚아나간다. 하지만 미국의 신혼부부들도 돈에 쪼들려 사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사회초년생의 연봉이 한국 못지 않게 박하고, 뉴욕이나 샌프란시스코와 같은 대도시의 월세가 매우 비싸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18년 현재 실리콘밸리 지역에서 방 2개짜리 아파트의 월세는 낡아빠진 집이라도 월 300만원 정도가 기본이다. 물론 아무리 미국이라도 부모가 갑부인 금수저라면, 이러한 과정은 모두 생략하고 바로 집사고 보석, 명품 등의 선물을 교환하면서 결혼식을 올리지만, 이 경우는 당연히 허니문푸어에 해당되지 않는다.


4. 관련 항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5:31:40에 나무위키 허니문푸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행복신혼주택이나 월세로 버티자 생각하기 쉬운데, 1990년대나 2000년대 얘기다. 여자들 눈높이가 너무 높아지고 출발시점이 늦으면 올라가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 되면서 좀 싼데로 가도 좋으니까 무조건 내집을 추구하는 것이 지금의 트렌드다.[2] 고약한 차별의식 때문에 그렇기도 하고.[3] 보통 2030세대가 착각하기 쉬운데, 성장률이 높던 시절에도 내집마련에는 10년 이상 걸렸다. 지금보다 좀 쉬웠다는 것까지야 부정할 수 없지만 출발 시점이 힘든 건 부모세대도 마찬가지다. 즉 호황기에는 누구나 집을 쉽게 살 수 있었다는 식의 서술은 분명한 오류다. 물론 중산층 기준으로 지금보다는 "비교적" 좀 더 수월했을 수는 있으나 그렇게 큰 차이는 아니다.[4] 처우 문제는 그나마 국가 차원에서 개선하려는 노력이라도 하지만 사회적 대우는 답이 없다.[5] 대학 등록금만 들면 그나마 다행이고 보통 별 것을 스펙 명목으로 투자한다. 물론 기업들은 대부분이 취직과 상관없다고 말하지만 대학 평점이고 영어 능력이고 죄다 갖춘 사람 뿐인 세상에서 정규직으로 뽑을 사람은 극히 한정적이니 편하게 스펙을 기준으로 삼는다.[6] 생각보다 심각한게 본인이 입양으로 가려고 해도 부모가 그냥 놔두지 않는다.[7] 일본의 아파트는 한국의 빌라쯤에 해당함[8] 일본의 맨션은 한국의 일반적인 아파트에 해당함[9] 보증금에 해당하는 '敷金(시키킨)'은 대체로 월세 2~3개월분이며 일종의 수수료에 해당하는 '礼金(레이킨)' 도 월세 1개월분이다. 그리고 레이킨도 고령화로 인해 새로 들어오는 세입자들이 적어지면서 점점 사라져가는 추세이다.[10] 미국에서 아파트는 한국의 임대아파트 형태 등의 임대주택을 의미한다[11] 당연한 말이지만, 전세는 없다. 그런 제도가 존재하는 건 전세계에 한국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