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세타 엔진

덤프버전 :

파일:세타엔진.png

1. 개요
2. 상세
3. 자연흡기 모델
3.1. 제원
3.2. 상세
4. 과급기(터보차저) 모델
4.1. 제원
4.2. 상세
5. 적용차종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현대자동차그룹에서 로열티를 주며 사용하던 시리우스 엔진을 대체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2004년에 처음 출시한 엔진군이다. 형식명은 G4K계.

배기량 1.8, 2.0, 2.4, 2.5L의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이며 MPI, GDi, LPi는 물론이고 과급이나 앳킨슨 사이클도 있는 등 여러모로 활용도가 높다.


2. 상세[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엔진의 비판 및 관리 등에 대한 내용은 현대 세타 엔진/여담 문서
현대 세타 엔진/여담번 문단을
현대 세타 엔진/여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블록 구조: 알루미늄 합금, 오픈 데크
  • 실린더 스페이싱 (mm): 96


  • 밸브트레인 : 체인 구동 DOHC 16밸브
  • 엔진제어시스템 : 콘티넨탈(現 비스테코) SIM2K → SIM3K

현대자동차그룹 파워트레인 개발성과를 상징하는 엔진으로, 최초의 독자개발 엔진인 알파 엔진과 함께 대한민국 자동차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벨로스터 N WTCR, i30N TCR, i20 WRC 등에 탑재되어 모터 스포츠에서 활약 중이다.

이전에도 이와 비슷하거나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는 자연흡기 엔진들은 존재했으나, 점차 강화되는 배출가스 규제에 미달하여, 대부분 고급 휘발유(하이옥탄) 사양으로 변경되는 추세였다.

타사로부터 기술이전료를 받은 현대의 유일한 엔진이다. 2003년에 현대자동차는 미쓰비시, 크라이슬러와 함께 GEMA라는 법인을 세웠고, 이 법인을 통해 크라이슬러와 미쓰비시에서 이 엔진을 기반으로 새로운 엔진을 개발하게 되는데, 그게 바로 각각 월드 엔진4B1 엔진[1]이다.

계보는 세타→세타-Ⅱ→세타-Ⅱ 개선→세타-Ⅲ로 이어진다.

이전과 달리, 세타Ⅲ는 캠 샤프트가 캠 캐리어 위로 올라가는 형태로 설계가 변경됐다.

여러모로 현대에게 큰 변화를 갖다준 엔진. 이 엔진이 탑재된 모델들의 대성공으로 현대가 세계적인 브랜드의 반열에 올라가는데 큰 도움을 줬다. 정작 결함으로 홍역을 크게 치러 평판이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같은 블록을 사용한 해외 메이커들은 별말 없는거 보면 품질과 완성도의 차이인듯.


3. 자연흡기 모델[편집]



3.1. 제원[편집]


세대
세타
세타-Ⅱ
스마트스트림(세타-Ⅲ)
형식명
G4KB
G4KA
G4KC
G4KD
G4KE
G4KJ
G4KM
G4KN
배기량(cc)
1,798
1,998
2,359
1,998
2,359
2,497
보어 × 스트로크(mm)
86 × 77.4
86 × 86
88 × 97
86 × 86
88 × 97
88.5 × 101.5
압축비
10.5:1
11.3:1
10.5:1
13:1
출력(PS/rpm)
133/6,000
144/6,000 → 151/6,000
166/5,800
165/6,200
179/6,000
201/6,300 → 190/6,000
183/6,000
198/6,100
토크(kgf·m/rpm)
17.2/4,250
19.1/4,000
23.0/4,250
20.1/4,500
23.5/4,000
25.5/4,250 → 24.6/4,000
23.7/4,000
25.3/4,000
건조중량(kg)

134
146





비고
MPi, VVT
MPi, D/CVVT, VIS
GDi, D/CVVT, VIS
MPi, D/CVVT, VIS, EGR, HLA
MPi + GDi, e-CVVT, VIS, EGR, HLA


3.2. 상세[편집]


형식명 G4K 시리즈이다. 흡배기 역전구조를 선택하여 흡배기 효율이 향상되고 엔진의 장착 위치가 낮아졌다.

이후 배기캠에도 가변 밸브 타이밍을 달고 가변흡기 기구를 장착하여 세타-Ⅱ로 거듭났으며 2.0L 사양의 최대 165PS / 6,200rpm, 20.2kgf·m / 4,600rpm의 성능을 냈는데 이는 일반 휘발유를 사용하는 양산형 자연흡기 2L 엔진으로는 높은 성능이며 가솔린 직분사를 얹었을 때는 2.4L 기준으로 일반 휘발유 기준으로도 최대 201PS / 6,300rpm, 25.5 kgf·m / 4,250rpm의 성능을 발휘한다. 토크-rpm 곡선도 자연흡기 주제에 상당히 플랫하므로 경쟁사들의 실용영역드립에도 별 피해를 입지 않는다.

2012년부터 2.0L 자연흡기 라인업은 비싼 생산 단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누우 엔진으로 대체됐고, 누우 엔진에 CVVL 혹은 직접분사를 달고 나온다. 세타 엔진은 더 이상 2L 자연흡기는 생산되지 않으며 2.0T나 2.4/2.5L GDi 같은 고급형 라인업에만 사용되고 있다. 즉, 과거 시리우스 - 베타엔진때처럼 이원화한다.

이후 2019년에 스마트스트림 G2.5 GDi도 공개됐는데 198 PS를 내며 최대 토크 25.3kgf·m를 낸다.[A] 이 엔진은 K7 프리미어에 최초로 탑재됐다.


4. 과급기(터보차저) 모델[편집]



4.1. 제원[편집]


세대
세타-Ⅱ
스마트 스트림(세타-Ⅲ)
형식명
G4KF
G4KH
G4KH
개선형(N)
G4KH 개선형
G4KL
G4KP
G4KR
L4KC
배기량(cc)
1,998
2,497
2,469
보어 × 스트로크(mm)
86 × 86
88.5 × 101.5
88 × 101.5
압축비
9.5:1
9.0:1
9.5:1
10.0:1
10.5:1

출력(PS/rpm)[B]
210/6,000
260(275)/6,000
271[2]/6,000
275/6,000
245[3]/6,000
(255)/6,200
(290[4])/5,800
(304)/5,800
138~159/3,800
토크
(kgf·m/rpm)[B][5]
30.5/2,000
36.0(38.0)/2,000
37.2/1,750
36.0/1,450
36.0/1,350
(36.0)/1,400
(43.0)/1,650
26.0~30.0/1,250
건조중량 (kg)









비고
MHI TD04-13T[6]-MPi
MHI TD04-19T[7]-MPi
MHI TD04-19T-GDi
MHI TD04-19T-GDi
MHI TD04-13T[8]-GDi
Garrett 853073-0003[9]-GDi
?-MPi + GDi, EGR
?-MPi + GDi, EGR


4.2. 상세[편집]


과급기를 장착한 라인업으로는 일단 미쓰비시 중공업의 TD04-13T 싱글스크롤 터보차저를 장착하여 최대 210PS / 6,000rpm, 30.5kgf·m / 2,000rpm의 성능을 내는 세타-Ⅱ TCI가 있으며, 여기에 가솔린 직접분사를 얹고 터보차저를 계양정밀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는 미쓰비시 TD04-19T 트윈스크롤 터보차저[10]로 바꾸어 일반 휘발유로 최대 271PS/6,000rpm, 37.2kgf·m / 1,800~4,500rpm, 시내 9.4km/L, 고속도로 14.5km/L를 뿜어내는 엔진 다운사이징 버전이 2010 뉴욕 모터쇼에서 발표됐다. 기존 TCI도 TD04-19T 트윈스크롤 터보차저와 고급 휘발유 사용시 1.3bar의 과급압을 가지는 것으로 변경되어 최대 275PS / 6,000rpm, 38kgf·m / 2,000~4,500rpm의 성능을 발휘했다. 일반휘발유를 사용하면 최대 부스트 1bar 및 최대 260PS, 36kgf·m.

LF 쏘나타가 출시되며 보다 정밀한 제어를 위해 흡기 측의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가 유압식에서 전자식으로 바뀌었으며, 실용영역 토크와 연비 및 응답성의 향상을 위해 역시 계양정밀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는 보다 작은 미쓰비시 TD04L6-13WDT 트윈 스크롤 터보차저와 조합되어 245ps/6,000rpm, 36kgf·m / 1,350~4,000rpm으로 디튠됐다.

2019년 10월 부로 스마트스트림 G2.5 T-GDi 제원도 공개됐는데, 후륜구동용을 우선 출시했다. 수랭식 인터쿨러를 사용하여 출력은 304마력, 최대 토크 43kgf·m를 낸다.[A] 이 엔진은 G80에 최초로 탑재됐으며, GV70, GV80스팅어 F/L에도 적용됐다. 전륜구동용은 2020년 11월 2일에 쏘렌토싼타페를 통해 첫 선을 보였으며, 쏘나타 N라인에도 장착됐다. 출력은 281마력(싼타페, 쏘렌토) ~ 290마력(쏘나타)이다.

2023년, 2.5 T-LPDi 사양의 L4KC가 포터Ⅱ 및 봉고Ⅲ에 탑재될 예정이며 2025년에는 세타-Ⅲ 2.5T를 기반으로 한 하이브리드 엔진이 양산되어 팰리세이드, 카니발, 텔루라이드의 풀체인지와 스타리아에 탑재될 예정이다.

5. 적용차종[편집]



5.1. 현대자동차[편집]


  • RM19 (세타-Ⅲ 베이스 2.3T)
  • i20 WRC
  • i30 N
  • 벨로스터 N
  • 아반떼 N
  • 코나 N
  • 제네시스 쿠페 2.0T
  • 쏘나타 (NF 이후, HEV, DN8 N-Line 2.5T)
  • 그랜저 (TG 이후 2.4 → 2.5, HEV)
  • 싼타페 (DM 후기형, TM 전기형 2.0 T-GDI, DM, TM 수출형 2.4 자연흡기 TM F/L[11] 2.5T)
  • 그랜드 스타렉스 LPi, 수출형
  • 투싼 IX 가솔린 X20
  • 싼타크루즈
  • 포터Ⅱ 2.5 T-LPDi


5.2. 제네시스[편집]




5.3. 기아[편집]


  • 로체 2.0 가솔린, 2.4 가솔린, 2.0 LPG
  • K5 TF 초기형 2.0 가솔린,LPG 2.0터보 JF 2.0터보 DL3 GT 2.5T[12]
  • K7 2.4 → 2.5
  • K8 2.5
  • 스포티지 R 2.0 MPI, 2.0 T-GDI
  • 쏘렌토 (XM 2.4[13], UM 2.0 T-GDI, 2.4[14], MQ4 2.5T)
  • 스팅어 2.0T → 2.5T[15]
  • 봉고Ⅲ 2.4 LPi → 2.5 T-LPDi
  • 포르테 쿱 2.0
  • 뉴카렌스 2.0 LPi 2.0 가솔린


6.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3:33:41에 나무위키 현대 세타 엔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히 미쓰비시가 이 엔진을 썼다는 것은 꽤 이슈가 됐는데, 미쓰비시가 과거 현대에게 기술을 가르쳐주는 입장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미쓰비시가 반대로 현대한테서 받은 엔진을 기반으로 사용했다는 점이 묘한 감정을 들게 한다.[A] A B 앳킨슨 사이클, 듀얼포트 분사 등이 적용됐다고 한다. 그리고 일반 시내 주행과 같은 저, 중속 영역에서는 MPI 인젝터를,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와 같은 고속 영역에서는 GDi 인젝터를 사용하며 운전 조건에 따라 최적의 연료를 분사한다.[B] A B 괄호는 RON 96 이상의 고급유 사용 시[2] SUV 장착 시는 261PS[3] SUV 장착 시는 235PS[4] SUV 장착 시는 281PS[5] 플랫토크 범위는 생략.[6] TD04L-04H*13tK3s. 싱글 스크롤, 저널 베어링 터빈[7] TD04HL4s-19tK3s. 트윈 스크롤, 저널 베어링 터빈[8] TD04L6-13WDT. 트윈 스크롤, 저널 베어링 터빈. 모비스품번 28231-2GTB1[9] 트윈 스크롤, 볼 베어링 터빈. 모비스 품번 28231-2CTA2[10] 과급압은 최대 17.4psi(1.2 bar)이다. 전자식 웨이스트게이트 액츄에이터가 장착됐고 하우징은 배기 매니폴드와 일체형이다.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터빈휠의 날개가 기존의 12개에서 11개로 줄었다.[11] 페이스리프트[12] 북미 수출형 전용.[13] 연식변경으로 단종됐지만 국내 시장에서도 출시 초기 2.4리터 가솔린 모델이 잠시 존재했었다.[14] 수출형 전용이다.[15] 페이스리프트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