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수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농작물의 피해에 대한 내용은 작물피해 문서
작물피해번 문단을
작물피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대한민국의 홍수
3. 사망자수 순 홍수 목록
4. 설화 속의 홍수
5. 대중문화 속의 홍수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원인은 대개 집중호우이며 그 외의 원인은 드물거나 어디까지나 근본 원인이 아닌 보조적 원인이다. 홍수의 종류는 이하와 같다.

  • 하천성 홍수 (Riverine floods)
  • 간만성 홍수 (Estuarine floods)
  • 해안성 홍수 (Coastal floods)
  • 재해성 홍수 (Catastrophic floods)

파괴력의 임팩트가 지진에 비해 다소 밀리는 편이지만[1] 자연재해 중에서 탑클래스에 드는 파괴력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재해 중에서는 가장 많은 사상자를 낸 재해다. 사망자 순위로만 놓고 보면 1, 2위를 1931년 장강 홍수(사망자 200~400만 추정)와 1887년의 황하 홍수(사망자 200만명)가 차지하고 있다.[2] 홍수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태풍의 경우만 봐도, 같은 태풍이라면 비를 많이 뿌리는 태풍이 훨씬 피해를 많이 낸다. 지진도 물로 휩쓸어버리는 쓰나미의 사상자가 가장 많은 편이다.

단순 범람에 의한 사상자도 적지 않지만, 홍수의 또 다른 무서움은 2차 피해.[3] 홍수가 일어나기 쉬운 지역에서는 생활을 재개할 수 있는 원천들을 바탕으로 한 수리학, 즉 물의 상태, 이동 등을 관리하는 학문이 발달하여 생존 능력이 더 높다. 이런 지역에서는 홍수를 중요시 여기기에 대체적으로 홍수신화는 이런 지역에서 생겨서 퍼져 나갔을 공산이 크다.


2. 대한민국의 홍수[편집]


파일:hongsu.png
서울의 홍수
대한민국에서는 장마철에 주로 많이 일어나며, 심하면 마을이나 도시가 침수되거나 논밭이 물에 잠겨 한 해 농사가 완전히 끝장나기도 한다. 이외에도 인명 피해, 가축 피해, 건축물 붕괴로 인한 재건축 비용 발생, 식량 부족 등의 원인으로 생긴 물가상승에 인한 (특히 가난한 사람들의) 경제적 고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 대한민국에서의 홍수는 상당한 수준으로 정비가 이루어진 큰 강보다 지역의 정비가 덜 된 하천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해안가(목포, 부산, 울산 등)에서는 만조때와 딱 맞아 떨어지면 배수가 약해져 물이 불어나는 경우가 많다. 하천과 떨어진 잘 발달된 도시(서울특별시 강남구 등)에서도 홍수가 나기도 하는데, 이는 콘크리트, 아스팔트 포장으로 인해 물이 토양에 흡수되지 못하고 지표를 흘러 저지대로 한 데 모이기 때문이다. 이 때 유일한 물길인 하수구가 막히거나 용량을 초과해 역류하는 등 배수 시설의 한계를 초과하게 되면 홍수가 일어난다. 특히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의 경우 주요 간선 하수로가 과거 하천을 복개한 곳인데, 대한민국의 어마어마한 하상계수로 인하여 여름철마다 엄청 많은 양의 하천수와 빗물이 하수도로 흘러내려와 홍수가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서울에서 홍수가 발생한 곳들은 대부분이 과거 하천이 흘렀던 곳이며, 강남역 또한 반포천이라는 하천이 흘렀던 지역이다. 특히 서울은 도시 규모에 걸맞지 않게 배수시스템도 개판이기 때문에 집중호우가 왔다 하면 홍수가 더더욱 일어나기 쉽다.

홍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복개천이나 하천의 최하류에는 폭우 시 넘쳐나는 빗물을 처리할 수 있는 빗물펌프장을 만든다. 또 복개천의 중간중간마다 유수지를 만들어서 빗물이 넘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 시설들은 평소에는 쓸 일이 거의 없는데다가 미관상 좋지 않고, 빗물과 하수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곳은 해충과 악취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님비현상의 주 대상이다. 그러나 2020년의 사례처럼 몇십년 만의 폭우가 내렸을 때는 이러한 치수시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진다.

국내에서 상당히 규모가 있던 홍수는 바로 1972년 8월에 일어난 남한강 대홍수이다. 이로 인해 남한강을 끼위 있는 마을들(단양, 충주, 여주 등)이 홍수로 인해 피해를 봤으며, 한강 중류인 서울 용산구에서도 홍수 피해를 봤을 정도이다. 이때 사상자만 500여명이 넘는다고 한다. 정부에서도 15일분의 비상식량을 공급했을 정도이다. 당시 홍수의 피해 상황을 정리해 놓은 사이트.

근간에는 큰 도시가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을 때는, 물의 도시 베네치아에서 따 지명 뒤에 '-치아'를 붙이는 게 (인터넷상에서) 유행인 듯 하다. 서울치아, 북경치아 등등.

대구광역시는 홍수 피해를 거의 입지 않는 도시로 알려져있다. 강수량 자체도 적지만 금호강과 신천의 잘 정비된 제방이 호수의 범람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도시고속도로인 신천대로도 이 제방 위에 놓여있어 침수되는 일이 적지만 지하차도는 신천의 평균 수위보다도 아래에 위치해서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맞은편의 신천동로은 제방 아래에 놓여있어서 신천의 수위가 높아지면 바로 침수되어 통행이 제한된다. 그 밖으로 어느 동네가 강의 범람으로 침수되는 일은 잘 없다.

을축년 대홍수의 사례와 같이 강의 지류가 바뀌어버린적도 있다.

사례는 집중호우 항목 참조.



3. 사망자수 순 홍수 목록[편집]



보다시피 모두 중국인데, 양쯔강과 황허강이 과거부터 얼마나 자주, 그리고 크게 범람했는지 알 수 있다. 물론 독보적인 원인은 알다시피 중국의 많은 인구 때문이다. 처음부터 최근에도 이런 게 무너지면 최대 1700만명이 사망한다고 하니 말 다했다.


4. 설화 속의 홍수[편집]




5. 대중문화 속의 홍수[편집]


  • 꿀벌의 친구
  • 날씨의 아이[4]
  • 노아(영화) - 개신교 관련 설정이라 수많은 영화가 만들어졌었으나, 무종교자들은 잘 모른다. 그나마 일반인들에게 유명한 건 2014년 작 러셀크로우가 주연인 노아(영화)이다.
  • 더 플레임 인 더 플러드 - 설정상 배경이 홍수가 난 후의 미국이다.
  • 워터월드 - 남극의 빙하가 녹아 홍수로 세계가 멸망한 포스트아포칼립스 세상이 배경이다.
  • 플러드(2007)
  • 하드레인[5]
  • 호이4네덜란드는 침수-범람선이라는 의도적으로 홍수를 일으켜 독일군을 바보로 만드는 디시전이 있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9:58:46에 나무위키 홍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도 그럴 것이 홍수는 건물이나 시설은 파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복구가 용이하다.[2] 3위는 1556년의 산시 대지진.[3] 홍수가 지나가고 나면 홍수로 인해 깨끗한 물을 구하기 어렵고, 원 주거지는 오염되었기 때문에 수인성 전염병이 퍼지며 습한 환경까지 더해지는 등의 고대 문명의 안녕에정도.[4] 전반부와 중반부는 폭우에 그쳤다.[5] 1998년 영화로 주연은 모건 프리먼과 크리스티안 슬레이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