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한글

유니코드
U+D6C4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ㅎ+ㅜ
두벌식QWERTY
gn
국제음성기호
ɸʷu
현행 로마자 표기
hu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hu
세벌식 최종–QWERTY
mb

1.2. 학습 만화 시리즈 제목
4. 일본 문자
6. 인명
6.1. 강철의 연금술사의 등장인물
6.2. 나루토의 등장인물
6.4. 윤민수의 아들 윤후
6.5. 일본의 리듬게이머
7. 화장품 브랜드 이름
8. 관직 이름
11. 일본의 전통 식재료
12. 노래


1. Who[편집]


영어의 관계대명사. 닥터 후 등 영어를 한글로 음차할 경우 '후'라는 명칭으로 널리 쓰인다. 자세한 내용은 Who 별도 문서 참고.


1.1. 영국록밴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더 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학습 만화 시리즈 제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who?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편집]


'뒤 후'라는 음독의 한자. 앞은 전()으로 한자어로 쓰이듯이 뒤는 '후'라는 한자어로 치환하여 쓰기도 한다.

3. 한국의 성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후(성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일본 문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몽골록밴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The HU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인명[편집]



6.1. 강철의 연금술사의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후(강철의 연금술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나루토의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야마나카 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3. 마법기사 레이어스의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호우오우지 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4. 윤민수의 아들 윤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빠! 어디가?/출연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빠! 어디가? 시즌2/출연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5. 일본의 리듬게이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화장품 브랜드 이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The history of 后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관직 이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후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편집]


제왕배필을 뜻하는 단어. 황제국에서는 황후, 왕국에서는 왕후가 된다.

10. 중국요괴[편집]


파일:후.jpg



잘 알려진 후라는 명칭은 줄임말로, 정식명칭은 조천후(朝天吼) 또는 망천후(望天吼)이다.
본래 중국의 여러 고서에서는 북방에 사는, 단순히 개와 비슷한 짐승으로 묘사될 뿐이었으나, 이후 명나라, 청나라 시대때에 여러 해석이 더해지며 비로소 형체를 갖춘 요괴가 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후는 본래 용왕의 아들로, 항상 망을 보는 습성이 있었으며, 후가 용을 밟고서 하늘을 향해 포효하는 모습의 석상이 조각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하늘의 뜻을 받들고 지상의 민심을 하늘에 전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후는 이후 이 용왕의 아들이라는 전설이 용생구자 전설과 합쳐지면서, 용생구자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명나라때 쓰여진 《언폭여담》에 따르면, 동해에 사는 후는 마치 토끼처럼 생겼는데, 귀는 한자 남짓한 길이라고 한다.
그러나 후가 눈 오줌에 닿으면 살이 썩어 문드러지며, 호랑이나 사자도 이를 두려워한다고 한다.

《술이기》에 따르면 동해에 후라는 짐승이 있는데,
그 크기는 크지 않지만, 하늘을 날수 있고, 입에서는 불을 내뿜으며, 매우 용맹하고 용보다도 더욱 강해서, 용과 싸워서 용을 이기고 그 뇌를 먹는다고 전해진다.

설화에 따르면, 강희제 25년(1686년)에 후가 목격되었는데, 세마리의 교룡과 두마리의 이 후와 싸우고 있었다고 한다.
교룡 두마리와 용 한마리를 죽이고서 힘을 다한 후가 죽어 떨어졌는데, 사람들이 가까이 가서 보니, 죽은 후는 길이가 1~2장(약 3~6m) 정도 되었고, 마치 비늘이 덮힌 말과 닮았으며, 후가 죽은 뒤에 온몸이 불꽃에 휩싸였다고 한다.

그러나 원매가 저술한 《속자불어》에서, 후는 용왕의 아들이 아니라, 강시가 진화한 무서운 요괴로 묘사된다.
강시가 진화하여 하늘을 나는 비강(飛僵)이 되고, 그 비강이 진화하여 한발을 일으키는 강시가 되며, 여기서 더욱 기를 흡수하면 최종적으로 후라는 존재로 변화하는데, 생김새는 사자나 개, 말 또는 소와 유사하고 입에서 불을 내뿜는다.

후는 가뭄을 일으키거나 사람을 잡아먹는 등의 악행을 저지르는데다, 그 힘이 용과 맞먹을 정도라 후가 태어나면 신선들이나 부처가 후를 제어하고 길들여서 타고 다닌다고 한다.

《속자불어》에 기록된 이야기에서, 한 사내가 강시에게 쫓기다가, 강시가 흐르는 물을 못 건너는 것을 알고 흐르는 물 건너편으로 강시에게서 도망쳤다.
그러자 흐르는 물을 건널 수 없어 분노한 강시는 방방 날뛰다가 어떤 짐승으로 변신해서 하늘로 날아갔다고 한다.

대표적인 후로는 관세음보살이 타고다니는 금모후가 있는데, 이 금모후가 바로 서유기에서 주자국을 어지럽힌 요괴 세태세이며, 봉신연의에서는 절교의 선인 금광선의 본래 모습이라고 전해진다.

《속수영정현지》에는 동치 2년(1863년)에 읍남에 기이한 짐승이 나타났는데, 크기는 소처럼 크고 꼬리는 둥근 부채와 겉으며, 입은 넓어서 화분처럼 곧고 몸에는 붉은 털이 있었고, 길이는 수척에 달렸으며, 사람을 해치는 악한 짐승으로 여겨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짐승 또한 후와 동일한 존재로 여겨지곤 한다.

11. 일본의 전통 식재료[편집]


파일:Japanese HU.jpg

후(麩)는 식물성 단백질 식재료로서 밀의 글루텐으로 만든다. 저칼로리 고단백 식재료이기 때문에 정진요리에 고기 대신 단백질을 섭취하기 위해 쓰인다.

기원은 중국의 미엔진으로 북송(960-1127) 문헌에 언급되며 마찬가지로 글루텐 성분으로 만든다. "후"로서 일본 문헌에 언급되는 것은 1352년 무로마치 대가 처음이다. 현재 일본에는 야키후, 나마후, 테마리후, 아게후 등이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제조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도 후의 모양과 이름이 다양하기 때문에 자잘하게는 100종류 가량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짧은 이름에 흔한 발음이므로 일본어 검색 이외에는 검색이 쉽지 않다.링크 1링크 2 일본어로 후(麩)와 두부(豆腐)는 겹치는 발음이 있지만 한자나 재료는 완전히 다르다. 사진의 후는 가마보코와도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재료인 글루텐이 겹칠 뿐 이 둘도 완전히 다르다.

12. 노래[편집]




[각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4:20:40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