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주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주(周)
서주(西周)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
춘추시대
전국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
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
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
송(宋)
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
동위(東魏)
진(陳)
북주(北周)
북제(北齊)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
후량(後梁)
십국
탕구트
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宋)
북송(北宋)
서하(西夏)
남송(南宋)
서요(西遼)
금(金)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우한정부(武漢政府)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
(滿州國)


중화민국(中華民國)
대만(臺灣)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오대(五代)
후량
(後梁)
후당
(後唐)
후진
(後晉)
후한
(後漢)
후주
(後周)





파일:후주.png
북중국의 연갈색 부분
951년~960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후한
북송
별칭
후주(後周), 곽주(郭周)
위치
중국 화북
수도
변경(汴京)
정치 체제
군주제
국성
(郭) → 시(柴)
국가원수
황제
주요 황제
태조 곽위
세종 시영
주요 재상
풍도
언어
중세 중국어
문자
한자
종족
한족
종교
대승 불교, 도교, 유교
통화
주원통보(周元通寶)
현재 국가
[[중국|

중국
display: none; display: 중국"
행정구
]]


1. 나라
1.1. 개요
1.2. 역사
1.3. 고려와의 관계
1.4. 역대 황제
2. 기타



1. 나라[편집]


파일:중국 창저우 철사자 1.jpg
허베이성 창저우 시에 남아있는 후주시기 철사자상 (沧州铁狮子). 953년에 세워졌으며,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철제 조각상으로 손꼽힌다.


1.1. 개요[편집]


오대(五代)의 마지막 왕조로 951년에 후한을 무너뜨리고 곽위(郭威)가 개봉(開封)에 세운 국가이다. 국호는 주(周)이지만 과거 무왕(武王)이 세운 주나라와 구별하기 위해 후주, 성씨를 따라 곽주(郭周), 시주(柴周)라고 부른다.

1.2. 역사[편집]


곽위는 황제가 되었지만 거병할 때 자식이 모두 살해되어서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954년에 죽을 때 처남의 아들인 시영(柴榮)을 양자로 세워 제위를 잇게 하니 이가 후주 세종(世宗, 954년 ~ 959년)이다. 세종은 북한(北漢)과 싸워 승리를 거둔 뒤(고평 전투) 내정에 충실을 기하고 군대를 정비해 천하 통일의 야심을 품고 남당(南唐)과 북한을 압박하고 요나라를 공격해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959년, 겨우 39살에 병사한 뒤 그의 어린 아들인 시종훈이 제위를 잇자, 군대가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서 장군 조광윤(趙匡胤)이 황제로 옹립되었다. 이로서 통일 왕조의 초석을 닦은 후주도 겨우 9년 만에 멸망하고, 조씨에 의한 이 개창되었다.

그러나 이 오대 최후의 왕조인 후주의 황족인 시씨는 조광윤의 쿠데타 때에 선양했기 때문에 사실상의 대귀족으로서 대우받았고, 시종훈 본인도 조광윤의 후한 대우와 보호를 받았다.[1] 그래서 남송 최후의 전투인 애산 전투에서 시씨 일족은 남송의 최후의 군대와 함께 항전하여 남송과 최후를 함께했다.[2]


1.3. 고려와의 관계[편집]


고려와도 관계가 있다. 이 나라 출신 인물인 쌍기(雙冀)는 956년, 광종 시대의 고려로 들어와 귀화하고, 한림학사와 문형에 올랐다. 그는 958년 과거 제도를 창설하고 첫 지공거가 되었다. 이 과거 제도는 세습이 아닌 실력으로 사람을 선발하는 제도로서 그동안 군림하였던 호족 세력을 누르고 광종의 왕권 강화에 일조하였다. 대표적인 중국계 한국인인 셈인데, 후손은 단절되었다.


1.4. 역대 황제[편집]


대수
묘호
시호
성명
연호
재위기간
능호
-
신조(信祖)
예화황제(睿和皇帝)
곽경(郭璟)
-
-
온릉(溫陵)
-
희조(僖祖)
명헌황제(明憲皇帝)
곽심(郭諶)
-
-
제릉(齊陵)
-
의조(義祖)
익순황제(翼順皇帝)
곽온(郭蘊)
-
-
절릉(節陵)
-
경조(慶祖)
장숙황제(章肅皇帝)
곽간(郭簡)
-
-
흠릉(欽陵)
1대
태조(太祖)
신성공숙문무효황제(聖神恭肅文武孝皇帝)
곽위(郭威)
광순(廣順) 951년 ~ 953년
현덕(顯德) 954년
951년 ~ 954년
숭릉(嵩陵)
2대
세종(世宗)
예무효문황제(睿武孝文皇帝)
시영(柴榮)
곽영(郭榮)
현덕(顯德) 954년 ~ 959년
954년 ~ 959년
경릉(慶陵)
3대
-
공황제(恭皇帝)
시종훈(柴宗訓)
곽종훈(郭宗訓)
현덕(顯德) 959년 ~ 960년
959년 ~ 960년
순릉(順陵)


2. 기타[편집]



  • 후주(後註)는 미주와 같이 책에서 편ㆍ장ㆍ절의 끝에 주석을 몰아서 넣는 것을 말한다.

  • 후주(後奏): 반주에서 독주나 독창이 끝난 뒤에 연주하는 부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0:24:08에 나무위키 후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이 부분은 조광윤 개인이 숙청과 보복의 릴레이를 끊으려고 결정을 내린 것도 크다. 실제로 그는 부하들에 대해서도 피비린내 나는 유혈 숙청을 단행하지 않고 술자리를 연 뒤 정중하게 '부탁' 하여 병권을 넘겨받는 형태로 군권을 모으는 등 최대한 온건하게 일을 처리하려고 노력했다.[2] 소설『수호전』에 나오는 소선풍 시진(柴進)도, 이런 역사적 사유 때문에 아마 후주 세종의 후예로 그려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