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엘리온 리모키르 전투

덤프버전 : r20190312

히엘리온-리모키르 전투
시기
1177년 1월
장소
현재 터키 콘야도의 마이안데르 계곡 근처
원인
룸 술탄국의 약탈 공세에 대한 로마 제국의 방어
교전국
동로마 제국
룸 술탄국
지휘관
요한네스 콤네노스 바타체스
무명의 한 아타베그
병력
불명 [1]
약 15,000~24,000 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피해 규모 불명[2]
결과
동로마의 전략적 승리
영향
동로마 제국의 아나톨리아 내 생존권 방어



1. 개요
2. 진행
2.1. 양측 모두 어정쩡했던 전투
2.2. 룸 술탄국군의 반전, 로마인들의 추격
2.3. 투르크군을 섬멸하다
3. 여파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2.bp.blogspot.com/761px-bury1903xxxviii_jjy0501.jpg
전투 이후 3년이 경과한 1180년경의 제국 전도, 자세히 보면 미리오케팔론과 마이안데르 강이 보인다.
현재 터키의 마이안데르 강 상류, 히엘리온 요새에서 벌어진 동로마 제국룸 술탄국의 전투이다. 이곳에서 제국군은 튀르크군에게 대승을 거두었으며, 훗날 니케아 제국이 세워질 아나톨리아 서부를 방어할 수 있었다.


2. 진행[편집]



2.1. 양측 모두 어정쩡했던 전투[편집]


미리오케팔론 전투 이후 승기를 잡은 룸 술탄국이었지만, 섣부르게 움직일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 전투는 룸 술탄국-비잔틴의 경계선에서 이코니온에 치우쳐져있던 룸 술탄국 영토에서 일어났기에 제국이 큰 영토를 잃은 것도 아니었고, 이미 제국은 미리오케팔론 전투 패배 이후 약속했던 수블라이온, 도릴라에온 두 요새의 철거를 거부하는 등, 힘을 되찾고 있는 중이었다.
제국이 더 세력을 되찾기 전에 룸 술탄국의 술탄 클르츠 아르슬란 2세는 자신의 승리에 쐐기를 박아넣어야 했다. 미리오케팔론 전투 이후 4개월 정도 경과한 1177년 1월, 클르츠 아르슬란은 요새 철거를 거부하고 평화조약을 무효화한 제국에 대한 응징 차원에서 병사를 일으켰다. 니케타스 코니아테스가 2만 4천이 넘는다고 기술한 투르크멘 군대는 라오디케이아를 출발하여 마이안데르 강변의 도시들을 약탈하기 시작했다.



2.2. 룸 술탄국군의 반전, 로마인들의 추격[편집]


프리기아 동부에서 시작된 투르크멘 군대의 약탈은 트랄레스, 안티오키아[3] 등을 유린하고 에페소스 인근까지 육박했다. 1177년 초에 벌어진 이 공격은 이들이 에게 해에 도착해 비잔틴 군대의 노, 바닷물, 백사장의 모래를 승리의 상징적 의미로 가지고 갈때까지 계속되었다. 투르크멘들이 아타베그 칭호로 부른 이 부대의 지휘관은 이만하면 되었다고 생각했는지 왔던 길을 따라 룸 술탄국의 영내로 돌아가는 여정을 시작했다. 이들은 거의 한달 만에 마이안데르 강 주위의 동로마 촌락 대부분을 약탈했을 정도로 빠르게 움직였지만, 돌아가는 도중에는 약탈품을 챙겨가느라 속도가 느려져있는 상태였다.
한편 마누엘 1세는 자신의 조카인 요한네스 콤네노스 바타체스에게 병력을 내어주며 적을 요격할 것을 명령했다. 양익의 부관으로는 콘스탄티노스 두카스와 아르메니아계 장군인 미하일 아스피테스가 출진했으며, 이들은 콘스탄티노플에서 출발해, 적을 요격할만큼의 병력과 군량을 아나톨리아의 제국 권역에서 모으며 남하하고 있었다.

적이 마이안데르 강을 끼고 복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안 바타체스 장군은 적의 도하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정찰병들을 보냈다. 마침 안티오키아 근교의 히엘리온 요새 주변에는 옛날 다리가 놓여있는 상태였고 [4] 로마군은 이곳에 매복해 투르코만들을 격파하기로 마음먹는다. 바타체스는 병력을 둘로 나누어 강의 양편에 숨겨놓고는 투르크군을 기다렸다.


2.3. 투르크군을 섬멸하다[편집]


제국군의 예상대로 룸 술탄국의 군대는 히엘리온의 다리를 건너 이코니온으로 향했다. 병력들이 길게 늘어서 강을 반쯤 건넜을 무렵, 로마인들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강둑 양편에서 기어나온 동로마군의 궁수들은 화살비를 쏟아부었고, 도하 중에 기습당한 룸 술탄국의 병사들은 패퇴하기 시작했다.
아타베그는 반격을 시도했다. 바타체스의 군대가 양 편에서 돌격해오자, 그는 자신의 중장기병들을 집결시켜 한 측면을 돌파한 후 병력을 탈출시키는 작전을 구사했다. 그러나 아타베그의 투르크군은 매복을 베어넘기며 상류로 올라왔음에도 탈출할 만한 도하로를 구할 수 없었다. 동로마군이 천천히 따라오는 가운데, 아타베그는 어쩔 수 없이 제일 유속이 느린 강가로 뛰어가 말을 타고 강을 건넜고, 그렇게 속도가 느려진 사이, 로마인 궁수들은 더 손쉽게 적을 섬멸할 수 있었다. 아타베그를 비롯한 소수만이 강 좌안으로 탈출할 수 있었지만, 그들을 기다리는 것은 강 반대편에 매복해있던 제국군 보병대였다.
코니아테스에 따르면 제국 소속의 알란인 하나가 강을 헤엄쳐 건너느라 기진맥진해 있던 아타베그의 목을 쳤다고 한다. 룸 술탄국의 병력은 장군의 전사를 보고 패주했으며, 겨우 수천명만이 이코니온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제국군의 피해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확실한 것은 포위당한 룸 술탄국의 전사들이 맹렬히 반격했다는 것이었다. 그 혼란 속에서 미하일 아스피테스 장군의 말이 부상을 당해 장군을 낙마시켰고, 하필이면 마이안데르 강에 빠져버린 그는 갑옷의 무게 때문에 익사하고 말았다.


3. 여파[편집]


미리오케팔론 전투 이후 생긴 국제적 망신속에서, 그나마 제국은 설욕전을 성공했다. 이후 1179년까지 이어진 상호간의 공방전에서도 제국은 승기를 잡았고, 룸 술탄국은 더 이상 대공세를 펼칠 수 없었다. 훗날 알렉시오스 2세안드로니코스 2세 시절의 혼란기에 이 지역 인근의 소조폴리스와 코르테이움이 함략되는 피해가 생기기는 했지만, 제국은 이후 150여년간 아나톨리아 서부를 지켜낼 수 있었다.
[1] 확실한 점은 투르크군보다는 소규모였다는 것이다.[2] 니케타스 코니아테스는 수천명만이 살아서 도망쳤다고 기술했다.[3] 안티오키아 공국의 그 안티오크가 아닌 소아시아의 도시이다.[4] 혹은 단지 강폭이 좁은 도하지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도 해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