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 100/역대 탈락 문제

덤프버전 : r20180326

분류

#redirect 틀:1대 100

1. 설명
2. 한 문제 대거 탈락 문제(70명 이상)
2.1. 1위 - 260회 전반전 3단계(87명,정답률: 약 12.1%)
2.2. 2위 - 11회 4회전 2단계(80명,정답률: 약 12%)
2.3. 3위 - 248회 후반전 3단계(79명,정답률: 약 15.9%)
2.4. 4위 - 414회 후반전 4단계(77명,정답률: 약 12.9%)
2.5. 5위 - 55회 후반전 1단계(76명,정답률: 24%)
2.6. 공동 6위(73명)
2.6.1. 8회 2회전 2단계(정답률: 약 17%)
2.6.2. 403회 후반전 3단계(정답률: 약 23.1%)
2.7. 8위 - 44회 후반전 3단계(71명,정답률: 약 26.8%)
2.8. 9위 - 389회 3단계(70명,정답률: 약 24.7%)[1]
2.9. 60~69명 탈락 사례
3. 역대 1단계 대거 탈락 문제
3.1. 1위 - 55회 후반전(76명)
3.2. 2위 - 17회 3회전(68명)
3.4. 4위 - 21회 전반전(60명)
3.5. 5위 - 5회 3회전(58명)
4. 역대 100인 최저 정답률 문제(5% 이하)
4.1. 1위 - 10회 2회전 3단계(정답률: 약 1.85%)
4.2. 2위 - 435회 전반전 6단계(정답률: 약 3.45%)
4.3. 3위 - 139회 후반전 6단계(정답률: 약 3.84%)
4.4. 4위 - 511회 후반전 8단계(정답률: 약 4.16%)
4.5. 공동 5위(정답률: 약 4.34%)
4.5.2. 468회 후반전 7단계
4.6. 6위 - 218회 전반전 6단계(정답률: 약 4.54%)
4.7. 7위 - 385회 후반전 5단계(정답률: 약 4.87%)
4.8. 공동 8위(정답률: 5%)
4.8.1. 79회 전반전 6단계
4.8.2. 177회 후반전 6단계
5. 전원 탈락 문제(10명 이상)
5.1. 1위 - 237회 후반전 6단계(19명)
5.2. 2위 - 114회 전반전 7단계(18명)
5.3. 공동 3위(14명)
5.3.1. 441회 후반전 7단계
5.3.2. 509회 전반전 8단계
5.4. 공동 4위(13명)
5.4.1. 85회 전반전 7단계
5.4.2. 322회 전반전 7단계
5.5. 6위 - 71회 전반전 6단계(12명)
5.6. 7위 - 244회 후반전 7단계(11명)
5.7. 공동 8위(10명)
5.7.1. 83회 후반전 6단계
5.7.2. 136회 전반전 7단계
5.7.3. 140회 전반전 7단계
5.7.4. 448회 8단계[2]



1. 설명[편집]


  • 1대 100에서 생존자들이 많이 떨어진 문제를 정리한 문서로 한 문제에서 60명 이상이 떨어진 문제는 33문제며 방송 횟수를 고려했을 때 나올 확률은 약 3%, 즉 100번 대결 가운데서 2~3번 가량 나온다는 이야기다.

||<tablebordercolor=#8258FA>연습 문제(188회 후반전 7단계) - 다음 중 띄어쓰기가 올바른 것은? ||

||<tablebordercolor=#57a081> 1 || 동 녘과 해질 녘 ||

|| 2 || 동 녘과 해질녘 ||

||<rowbgcolor=#90E4FF> 3 || 동녘과 해 질 녘 ||

||<tablebordercolor=#552582>방향을 나타내는 접미사 <녘>은 붙여 쓰며, 시간이나 때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녘>은 띄어서 씀. ||



2. 한 문제 대거 탈락 문제(70명 이상)[편집]



2.1. 1위 - 260회 전반전 3단계(87명,정답률: 약 12.1%)[편집]


||<tablebordercolor=#8258FA>경기도는 올 하반기부터 도내 일부 일반음식점을 대상으로 ( ) 보급 사업을 시범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것인데, 이것은?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밥 반 공기 ||

|| 2 || 반찬 반 접시 ||

|| 3 || 국 반 사발 ||

||<tablebordercolor=#552582>경기도는 일반 공기밥보다 45g 감량된 160g 용량의 반 공기를 제작, 보급할 예정이며, 우수실천업소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원할 계획이다. ||

--
  • 2007년 이탈리아판 87명 대거 탈락 상황이 재현된 사례이자 현재까지 우리나라판 대거 탈락 최고 기록으로 1인 도전자 양요섭은 2인의 답을 사용해서 통과했으며(87*5=435만원), 이 문제에서 99명 중 12명만 생존했다.(2인의 답은 1,3번이었으며 방송 당시 2번이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많았다.)
  • 그 뒤 4,5단계에서 각각 2명이 떨어진 후 1인 도전자는 6단계까지 생존했으며 다음 문제에서 한민관을 포함한 최후의 4인 가운데서 2인의 답 도우미에게 472만원이 돌아갔다.
  • 이 문제는 300회 특집 사전문제 2번째 문제로 재출제되었으며(안녕하세요 팀 이영자는 2번 선택) 1인 도전자 양요섭은 472회 전반전에서 1인으로 재출연해 5단계까지 생존했다.(적립금: 121만원, 9단계에서 남은 100인 전멸)
  • 참고로 이탈리아판에서는 87명이 남았을 때 1인이 마틴 루터 킹과 관련된 4단계 문제에서 20만 유로의 주인이 되었다.(2016년 기준으로 약 2억 5000만원, 100인의 결과를 미리 공개)관련 영상
--
LV.+TC
1100000
2100113
399874354382
412214452100
510220472
684472
743☆☆☆



2.2. 2위 - 11회 4회전 2단계(80명,정답률: 약 12%) [편집]


||<tablebordercolor=#8258FA>만화영화 <톰과 제리>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방송될 때 제목은? ||

||<tablebordercolor=#57a081> 1 || 생쥐와 고양이 ||

||<rowbgcolor=#90E4FF> 2 || 깐돌이와 야옹이 ||

|| 3 || 미련한 고양이와 꾀돌이 쥐 ||

||<tablebordercolor=#552582>1970년대 TBC에서 처음 방송된 <톰과 제리>의 제목은 '깐돌이와 야옹이' ||

--
  • 260회 전반전까지 대거 탈락 1위 기록을 세운 문제로 1인 도전자는 우승자의 답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승자는 3번을 추천함) 91명 중 80명과 같이 떨어지는 바람에 적립금은 9만원 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나마 이 상금도 남은 생존자들이 나눠 가지는 형식이었던 때라 남은 100인 생존자가 나눠 가진 상금이 고작 8,180원 밖에 되지 않는 안습한 기록을 세웠다.
  • 다른 케이스로 168회에서 1인이 3단계에서 광탈하면서 이 대결과 같은 적립금이 쌓인 대결은 남은 생존자가 약 80명이라 가차없이 통편집되었고 그 분량은 7단계까지 생존한 예심 고득점자 1인으로 대체되었다.(100인으로는 5단계까지 생존)
  • 참고로 이 회차 대결들은 난도가 높았는데 1회전에서는 단 3문제를 푼 뒤 100인 생존자가 단 9명이었고(여기서 1인은 1,2단계에서 각각 100인의 답과 2인의 답을 사용했다), 그 뒤 6단계에서 100인 5명과 1인 중 559만원을 받는 우승자가 나왔다. 아울러 2,3회전 3단계에서는 41,45명의 탈락자가 나왔고 2회전에서는 1인이 3단계에서 광탈할 정도였다.


2.3. 3위 - 248회 후반전 3단계(79명,정답률: 약 15.9%)[편집]


파일:attachment/Masacre_en_Corea.jpg

||<tablebordercolor=#8258FA>입체파인 선구자 파블로 피카소가 민간인 학살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고발한 작품이다. 같은 배경을 가진 것은? ||

||<rowbgcolor=#90E4FF><tablebordercolor=#57a081> 1 ||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

|| 2 ||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 ||

|| 3 || 뮤지컬 <미스 사이공> ||

||<tablebordercolor=#552582>파블로 피카소의 <한국에서의 학살>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을 담고 있는 그의 대표적인 반전 작품이다. ||

--
  • 역대 5번째 최저 적립금(16만원) 최후의 1인이 나온 문제로 2인의 답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1인이 94명 중 79명과 같이 떨어진 문제다.(나머지 2인의 답은 2번) 참고로 이 그림은 피카소 작품 중에선 널리 알려졌으나 저단계+피카소가 서양 화가라고 편견을 가지고 문제를 풀면 상당히 어려운 문제나 다름없었다.
  • 그 후 4,5단계에서 3,2명이 떨어진 후 6단계 생존자 10명 가운데서 상금을 가져가는 주인공이 나왔다.
  • 만약 현재 상금 형태였으면 겨우 11만원(1X1+2X5), 335회 전반전 최후의 1인 상금과 동률이 된다. 참고로 이 분량은 원래 통편집 예정이었지만 2명의 반대자 때문에......


2.4. 4위 - 414회 후반전 4단계(77명,정답률: 약 12.9%)[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사자성어>의 <사>와 다른 한자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사고무친 ||

|| 2 || 사면초가 ||

||<rowbgcolor=#90E4FF> 3 || 사각지대 ||

||<tablebordercolor=#552582><사자성어>와 <사고무친>, <사면초가>는 넉 사(四)를, <사각지대>는 죽을 사(死)를 쓴다. ||

--
  • 3단계에서 1인 도전자가 10만원만 적립한 다음 나온 문제로 87명 중 10명만 생존해서 조우종 아나운서가 당황하면서 고의 탈락이 아니냐는 이야기를 할 정도였다. 아마 대부분의 참가자는 사각형과 혼동해서 사각지대를 四로 알아서 1번을 고른 사람이 많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다음 문제에서 최후의 3인이 결정된 다음 우승자 없이 대결 마무리.
  • 중간에 2단계를 푼 다음 1인과 인터뷰를 할 때 남은 사람 87명, 적립금 10만원 전광판을 비추는 스포일러가 있었으며 1인이 떨어진 후의 문제 중에서 100인이 대거 탈락한 문제다.


2.5. 5위 - 55회 후반전 1단계(76명,정답률: 24%)[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속담 <불 없는 화로, ( ) 없는 사위>에서 ( )은? ||

||<tablebordercolor=#57a081> 1 || 눈치 ||

|| 2 || 싸가지 ||

||<rowbgcolor=#90E4FF> 3 || ||

||<tablebordercolor=#552582> 불 없는 화로, 딸 없는 사위 - 직접적인 인연이나 관계가 끊어져 쓸데없거나 긴요하지 않게 된 것을 비유 ||

--
  • 1대 100이 방송된 이래 첫문제에서 대거 탈락한 문제로 24명만 생존하는 바람에(2인 팀은 2인의 답 찬스로 통과 - 다른 2인의 답은 3번, 여기서 홍서범과 조갑경이 2인의 답 주인공으로 뽑혔다.) 2인 팀이 6단계까지 가고도 적립금은 236만원 밖에 되지 않았으며, 다음 문제에서 최후의 2인(부부)이 떨어지면서 우승 상금은 안드로메다로......
  • 참고로 이 문제는 시청자가 출제한 문제다. 만약 다수의 답을 썼다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6. 공동 6위(73명)[편집]



2.6.1. 8회 2회전 2단계(정답률: 약 17%)[편집]


||<tablebordercolor=#8258FA>크루아상은 무엇을 본 따 만든 인가? ||

||<tablebordercolor=#57a081> 1 || 소라 ||

||<rowbgcolor=#90E4FF> 2 || 초승달 ||

|| 3 || 나뭇잎 ||

||<tablebordercolor=#552582>프랑스어로 초승달을 뜻함 ||

--
  • 이 문제에서 88명 중 정답자가 15명 밖에 없었으며(1인 정답으로 365만원 적립) 다음 문제에서 1인이 떨어진 뒤 생존자 6명이 377만원을 628,330원 씩 나눠 가졌다.


2.6.2. 403회 후반전 3단계(정답률: 약 23.1%)[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생텍쥐페리의 소설 <어린 왕자>에서 어린 왕자는 여러 별을 여행하다가 마지막으로 ( )인 지구를 방문하는데, 이것은?> ||

||<tablebordercolor=#57a081> 1 || 세번째 별 ||

|| 2 || 다섯번째 별 ||

||<rowbgcolor=#90E4FF> 3 || 일곱번째 별 ||

||<tablebordercolor=#552582>어린 왕자는 지구에 대해 111명의 왕과 7000명의 지리학자, 90만 명의 장사꾼, 750만 명의 술꾼, 3억 1100만명의 허영쟁이 등 약 20억 명 정도의 어른이 살았다고 묘사했다. ||

--
  • 이 문제에서 95명 중 22명만 생존했으며(1인 정답으로 219만원 적립) 1인 도전자는 100인의 답과 2인의 답을 사용해 통과했는데 가장 많이 고른 2번은 아예 2인의 답에서 걸러졌고 운 좋게도 2인의 답 중 정답자가 불어불문과였다는 점.(보기 분포수 - 29:44:22)
  • 1인은 다음 문제에서 2인의 답 도우미였던 도전자와 같이 떨어졌으며(22명 중 4명 탈락) 이후 5,6단계에서 각각 8,7명이 떨어진 후 7단계에서 남은 100인이 전멸하면서 적립금 229만원은 안드로메다로......(이 때 적립금 방식으로 따지면 역대 4단계 생존자 중에서는 1위다.)


2.7. 8위 - 44회 후반전 3단계(71명,정답률: 약 26.8%)[편집]


||<tablebordercolor=#8258FA>동요 <나비야>에서 나오지 않는 나비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흰나비 ||

||<rowbgcolor=#90E4FF> 2 || 호랑나비 ||

|| 3 || 노랑나비 ||

||<tablebordercolor=#552582>노랑나비 흰나비 춤을 추며 오너라 ||

--
  • 이 문제에서 97명 중 71명이나 떨어졌으며 대다수가 노랑나비를 고른 낚시 문제의 대표적인 사례. 그 뒤 1인은 7단계까지 생존했으며 다음 문제에서 우승자가 탄생되었다.(710만원 적립, 적립 상금: 1115만원)


2.8. 9위 - 389회 3단계(70명,정답률: 약 24.7%)[3][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우종이는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 청주 IC로 향했다'에서 <IC>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요금소 ||

|| 2 || 분기점 ||

||<rowbgcolor=#90E4FF> 3 || 나들목 ||

||<tablebordercolor=#552582><IC>, 즉 <인터체인지>는 고속도로 등에서 교차 지점에 입체적으로 만들어서 신호 없이 다니도록 한 시설인 <나들목>을 가리키는 말이다.
<분기점>은 길 따위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기 시작하는 곳, <요금소>는 고속도로나 유료 도로에서 통행료를 받는 곳을 말한다.[4]

||

--
  • 2인 팀인 김소현,손준호는 100인의 답과 1인의 답(2번)을 연속으로 사용해서 통과했으며, 93명 중 23명이 생존했다.(30*7=210만원, 이 때 탈락자 중 7분의 1이 2번 선택)
  • 마침 1인의 답으로 뽑힌 사람이 2번을 골랐는데 본인 생각이 잘못되었다고 말한 다음 2인 도전팀이 생각한 3번으로 고르라고 한 말이 신의 한수가 되었다.
  • 그 뒤 결과는 이 곳 참고.


2.9. 60~69명 탈락 사례[편집]


  • 여기서 적립금이 써 있지 않은 문제는 1인도 같이 떨어진 문제다.

탈락 인원생존 인원EP.LV.적립금(만원)정답률비고
6987250-BLV.5약 20.6%
86280-ALV.469*7=483약 20.9%
6810017-CLV.132%
89304-ALV.4약 23.5%
97501LV.368*3=204약 26.8%[5]
6715-CLV.267*5=335약 30.9%[6]
6610078-BLV.166*1=6634%
115-BLV.266*3=198
85183-BLV.366*5=330약 22.3%
81293-ALV.4약 18.1%
65342-BLV.5약 19.7%
88310-ALV.4약 26.1%
8981-BLV.365*5=325약 26.9%
77426-BLV.4약 15.5%[7]
6476288-ALV.564*10=640약 15.7%
82301-ALV.4약 21.9%
6399432-ALV.363*3=189약 32.3%
628982-ALV.262*3=186약 30.3%
618753-BLV.3약 29.8%
74109-ALV.561*10=610약 17.5%
94127-BLV.461*7=427약 35.1%[8]
6010021-ALV.160*1=6040%
85302-BLV.560*7=420약 23.5%[9]
87351-BLV.460*5=300약 31%


3. 역대 1단계 대거 탈락 문제[편집]



3.1. 1위 - 55회 후반전(76명)[편집]


  • 역대 대거 탈락 5위 문제 참조.


3.2. 2위 - 17회 3회전(68명)[편집]


||<tablebordercolor=#8258FA>뜨는 원리가 다른 하나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배 ||

|| 2 || 풍선 ||

||<rowbgcolor=#90E4FF> 3 || 비행기 ||

||<tablebordercolor=#552582>비행기가 뜨는 원리는 양력
배, 풍선이 뜨는 원리는 부력 ||

--
  • 이 문제는 1인이 2인의 답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방송에서 최초이자 유일하게 1단계 광탈로 무일푼이라서 연습 문제를 푼 거와 다름없는 승부가 되었다. 또한 68명이나 떨어졌던 터라 100인의 답을 썼어도 떨어질 확률이 높았을 것이다.(1번 선택)
  • 그래서 그런지 적립금이 지나치게 적으면 통편집하고 예비 1인 도전자의 방영분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있다.


3.3. 3위 - 78회 후반전(66명)[편집]




3.4. 4위 - 21회 전반전(60명)[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아들 자(子)가 아닌 것은?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읽고 쓰는 <글'자'> ||

|| 2 || 사진을 끼우는 <액'자'> ||

|| 3 || 차로 마시는 <오미'자'> ||

||<tablebordercolor=#552582>읽고 쓰는 글자(글字), 액자(額子), 오미자(五味子) ||

--
  • 이 대결에서는 1명만 떨어진 2단계를 제외하고 문제 난도가 높았는데, 첫문제부터 60명이나 떨어졌으며 3,4단계에서 15,17명이 떨어진 후 5단계에서 7명 중 최후의 1인이 결정되는 바람에 적립금이 590만원이었으며 마지막 문제에서의 결과는 이 곳 참고.(4단계에서 2인 팀은 2인의 답 사용)


3.5. 5위 - 5회 3회전(58명)[편집]


||<tablebordercolor=#8258FA>나는 알프스 산맥을 넘지 않았다. 나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한니발 ||

||<rowbgcolor=#90E4FF> 2 || 칭키즈칸 ||

|| 3 || 나폴레옹 ||

--
  • 그 뒤 3단계에서 103만원을 남은 17명이 나눠가졌다.(1인 도전자는 2인의 답 사용)


4. 역대 100인 최저 정답률 문제(5% 이하)[편집]



4.1. 1위 - 10회 2회전 3단계(정답률: 약 1.85%)[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스파게티 까르보나라를 먹었다. 까르보나라의 어원은?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

|| 2 || 크림 ||

|| 3 || 댤걀 노른자 ||

||<tablebordercolor=#552582>이탈리아어 '카르보네(숯, Carbone)'에서 유래, 이탈리아에서 숯을 굽던 사람들이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고 함.[10]

||

--
  • 이탈리아판 1대 100 4단계에서 최후의 1인이 탄생한 사례가 우리나라판에서도 비슷하게 발생했는데, 이번 대결은 이전 두 문제에서 22,24명이 떨어질 정도로 난도가 높았고 급기야 여기서 1인과 남은 54명 중 142만원을 가져가는 우승자가 결정됐다.(1인은 2번 선택)
  • 최후의 1인은 이탈리아어를 전공해서 맞혔다고 하며, 54명 중에서 최후의 1인이 탄생될 확률은 8.36441891X10-7%이다.
    (54*(((2/3)^53)*(1/3))*100)[11]


4.2. 2위 - 435회 전반전 6단계(정답률: 약 3.45%)[편집]


||<tablebordercolor=#8258FA>19세기 중반 주세페 도나티에 의해 발명된 관악기 <오카리나>는 이탈리아어로 <작은 (이 새)>를 뜻한다. 이 새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펠리컨 ||

|| 2 || 종달새 ||

||<rowbgcolor=#90E4FF> 3 || 거위 ||

||<tablebordercolor=#552582><오카리나>는 이탈리아 볼로나 지역 방언으로 <작은 거위>를 뜻한다. ||

--
  • 이 문제가 나오기 전 뜬금없이 '남은 생존자는 29명, 과연 최후의 1인은?'이라는 자막이 떴다. 이 의미는 여기서 남은 생존자들이 전멸하거나 이 중에서 최후의 1인이 결정된다는 것으로 마지막 문제임을 암시했으며 155만원을 가져가는 우승자가 나왔다. 아마 이 때 대부분 사람들은 "작은" 새에 걸려들어 종달새로 찍은 것으로 보인다.
  • 여담으로 이세영이 마지막으로 풀었던 문제도 악기와 관련되었으며 피아노의 원래 이름을 묻는 문제였다.(2인의 답은 1,2번으로 갈렸으며 정답은 2번 피아노포르테, 나머지 보기는 피아노피아노와 피아노안단테.)
--
LV.+TC
1100666
29481622
386113355
47520100155100
555261552
62928☆☆☆


4.3. 3위 - 139회 후반전 6단계(정답률: 약 3.84%)[편집]




4.4. 4위 - 511회 후반전 8단계(정답률: 약 4.16%)[편집]


||<tablebordercolor=#8258FA><고고학>을 한자로 썼을 때, 쓰이지 않는 <고>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이번 모의고사는 언어영역이 어려웠다. ||

|| 2 || 몽고는 유라시아 대륙에 있는 나라다. ||

||<rowbgcolor=#90E4FF> 3 || 설 명절에 형이 사는 고향에 갈 예정이다. ||

||<tablebordercolor=#552582><고고학>은 생각할 고(考)와 옛 고(古)가 합쳐진 단어다.
3번:연고 고(故), 1번:생각할 고(考), 2번:옛 고(古) ||

--
1인 도전자 김영희가 떨어진 후 나온 문제로 24명 중 294만원을 받아가는 우승자가 결정되었다.

4.5. 공동 5위(정답률: 약 4.34%)[편집]



4.5.1. 41회 전반전 7단계[편집]



4.5.2. 468회 후반전 7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고려가요 <사모곡>은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의 사랑보다 더 크고 지극함을 칭송하는 작품이다.
특히 어버이의 사랑을 농기구에 비유하여 노래한 것이 특징인데, 어머니에 비유한 농기구는?(보기는 그림으로 제시)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

|| 2 || 호미 ||

|| 3 || 맷돌 ||

||<tablebordercolor=#552582>어머니를 <낫>, 아버지를 <호미>에 비유했다. ||

--
  • 1인 도전자 김창렬은 245회 전반전에 출연해서 7단계까지 생존했다.(적립금: 499만원 - 참고로 그 당시에도 1:23이었으며 9단계에서 남은 100인 전멸)
  • 468회 후반전에서 1인으로 재출연한 그는 천하무적 야구단[12] 팀원과 함께 출연했으며 6단계까지 찬스 없이 무난하게 통과했다.
  • 특히 6단계 표준화석 시대(삼엽충, 매머드, 암모나이트)를 맞히는 문제에선 김창렬이 1인 출연에 대비해 퀴즈 어플을 활용할 때 예전에 못 맞힌 문제가 그대로 나와서 도움이 됐다.
  • 마지막 문제에서 그는 2,3번 중에서 고민하다가 여기서 2인의 답을 사용했으며 1인이 떨어진 뒤 23명 중 2인의 답 도우미가 450만원의 주인이 되었다.(다른 2인의 답 도우미의 답은 2번)
  • 참고로 2인의 답 도우미 모두 찍었다고 이야기했으며 다른 2인의 답 도우미는 323회 전반전 우승자다(우승 상금은 144만원).
  • 여기서 김창렬은 이 문제에서 찬스를 하나 더 사용하지 않은 걸 후회했는데 어차피 다른 찬스를 썼어도 의미는 없었지만 잘만 했다면 1:1 대결도 가능할 수 있었다. 안타깝게도 비유 대상을 반대로 생각하는 바람에...[13] 특히 1인이 2인의 답을 실패한 뒤 곧바로 우승자가 결정된 케이스는 6회 후반전 이후 10년만이며 이 방영분을 포함해서 단 2번 밖에 없다.
  • 이 편에서 우승한 최후의 1인은 다른 녹화분인 정애리, 변정수 편에서는 6단계까지 생존했다.
--
LV.+TC
110000
2100132626
387123662
4751575137
56019133270
64118180450
72322☆☆☆2


4.6. 6위 - 218회 전반전 6단계(정답률: 약 4.54%)[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올해 8월 미국 <포브스> 온라인은 <세계 10대 혐오음식>을 선정했다. 해당하지 않는 음식은? ||

||<tablebordercolor=#57a081> 1 || 고양이 배설물에서 채취한 사향커피 ||

||<rowbgcolor=#90E4FF> 2 || 살아 있는 상태에서 튀긴 전갈튀김 ||

|| 3 || 말젖을 원료로 만든 마유주 ||

||<tablebordercolor=#552582><세계 10대 혐오음식> 1위로 마유주가 선정됐다. 그 외 상어고기를 발효시켜 만든 요리, 양머리 훈제 요리 등이 포함됐다. ||

--
  • 이 대결의 문제 난이도는 26,12,10,22명이 떨어질 정도로 어려웠으며 5단계를 제외한(8명) 모든 문제에서 탈락자가 10명을 넘었다.
  • 그 뒤 마지막 문제에서 1인이 답을 선택한 뒤 100인 결과를 미리 공개했더니 남은 22명 중 346만원을 받는 우승자가 결정되었다.(1인은 3번 선택) 이 문제에서 남은 1개의 찬스(1인의 답/2인의 답)를 사용하지 않은 것이 결정적인 에러였고 결과만 보면 찬스를 사용하더라도 통과하지 못할 확률이 매우 높았다쳐도 이 문제에서는 충분히 찬스를 쓸 만한 문제였다. 참고로 우승자도 2,3번 중에서 찍어서 맞혔다고 이야기했다.
  • 4년 후 여기서 우승한 최후의 1인은 410회 전반전에서 1인의 답 도우미로 지정되었으며 오답을 선택한 걸 1인이 따라가는 바람에......
  • 이후 1인은 363회 전반전에서 재출연해서 역시 같은 단계(1:9)까지 생존했는데 이날 난이도는 더욱 올라갔다. 각각 동요 문제, 빈칸 문제, 동화 문제, IT 문제에서 탈락자가 순서대로 19,27,29,13명이라 4단계 끝나고 단 12명만 남을 정도였다. 1인은 4단계에서만 100인의 답과 2인의 답을 모두 사용했으며 이마저도 분포도는 11:12:2였다. 특히 1단계 동요문제[14]와 3단계 동화 문제(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초반 문제가 의심이 갈 정도로 상당히 까다로웠으며 5단계는 12명 중 2인의 답 도우미를 포함하여 3명만 떨어졌고 바로 다음 문제에서 1인이 100인 5명과 같이 떨어진 뒤 마지막 문제에서 최후의 4인 중 246만원을 가져가는 우승자가 결정되었다.
--
LV.+TC
1100262626
274123662
3621050112
45222154266100
530880346
62221☆☆☆


4.7. 7위 - 385회 후반전 5단계(정답률: 약 4.87%)[편집]


  • 광희가 4단계에서 떨어진 뒤 나온 문제며 여기서 41명 중 최후의 2인이 결정된 뒤 69만원을 가져가는 우승자는 없었다.(시간 관계상 문제는 편집)


4.8. 공동 8위(정답률: 5%)[편집]


  • 두 문제 모두 1:20 상황에서 최후의 1인이 결정된 문제.


4.8.1. 79회 전반전 6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평안도의 어복쟁반은 기름진 이 고기와 메밀국수, 녹두부침, 버섯, 각종 채소를 넣고 끓인 요리다. 이 고기는?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쇠고기 ||

|| 2 || 꿩고기 ||

|| 3 || 토끼고기 ||

--
  • 남은 20명 중 898만원을 받아가는 우승자가 결정되었다.
  • 이후 1인 이봉원은 2013년에 재도전해 7단계까지 생존했으며 이때는 1:29까지 갔을 정도로 이전 출연에 비해 난이도가 낮아졌다.(적립금: 382만원, 9단계에서 남은 100인 전멸)
  • 그 뒤 2016년 3번째 도전 때는 5단계까지 생존했다.(적립금: 102만원, 10단계에서 우승자 결정)


4.8.2. 177회 후반전 6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몸 색깔을 바꾸는 동물이 아닌 것은?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불가사리 ||

|| 2 || 문어 ||

|| 3 || 개구리 ||

||<tablebordercolor=#552582>불가사리는 생태학적으로는 천적이 없어서, 생물학적으로는 색깔을 바꿀 수 없는 색소포가 없기 때문에 몸 색깔을 바꾸지 않는다. ||

--
  • 1인 정용화 편의 문제로 5단계 2인의 답 도우미에게 상금 538만원이 돌아갔다.(1인은 3번 선택, 100인의 결과를 미리 공개)
  • 참고로 우승자는 전반전에선 6단계까지 생존했다.(이 문제 역시 100인의 결과를 먼저 공개했으며 1인 통과)


5. 전원 탈락 문제(10명 이상)[편집]



5.1. 1위 - 237회 후반전 6단계(19명) [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청소년보호법에서는 청소년을 만 19세 미만으로 규정한다. 그렇다면, 소년법에서 소년은? ||

||<tablebordercolor=#57a081> 1 || 13세 미만 ||

|| 2 || 15세 미만 ||

||<rowbgcolor=#90E4FF> 3 || 19세 미만 ||

||<tablebordercolor=#552582>소년법 제1장 제2조 中 <이 법에서 "소년"이란 19세 미만인 자를 말하며, "보호자"란 법률상 감호교육을 할 의무가 있는 자 또는 현재 감호하는 자를 말한다> ||

--
  • 1인이 떨어진 후 출제된 문제로 역대 전원 탈락 중에서 최다의 사례, 남은 19명이 전멸하면서 적립금 368만원이 안드로메다로......
  • 참고로 19명이 모두 전멸할 확률은 약 0.0451%며 이 때 도전자들 모두가 청소년보호법이 19세 미만이라고 한 것 때문에 그 답을 배제했던 게 원인이었다.((2/3)^19)



5.2. 2위 - 114회 전반전 7단계(18명)[편집]


||<tablebordercolor=#8258FA> '( ), 겨우 요만큼?'에서 ( )의 바른 표기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에게 ||

|| 2 || 에걔 ||

||<rowbgcolor=#90E4FF> 3 || 에계 ||

||<tablebordercolor=#552582><에계> 혹은 <애걔>가 바른 표기 ||

--
  • 1인 도전자인 인순이와 남은 18명이 전멸하면서 적립금 484만원과 5000만원 모두 안드로메다로......(1인은 1번 선택)


5.3. 공동 3위(14명)[편집]



5.3.1. 441회 후반전 7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작품 속에 등장하는 동물이 다른 하나는?(그림을 보여주었으며 일부분을 가려 놓았다.) ||

||<tablebordercolor=#57a081> 1 || 얀 바이에크 <아르폴리니의 결혼> ||

|| 2 || 오귀스트 르누아르 <보트 파티에서의 오찬> ||

||<rowbgcolor=#90E4FF> 3 || 에두아르 마네 <올랭피아> ||

||<tablebordercolor=#552582>올랭피아에 등장하는 동물은 <고양이>며, <아르놀피니의 결혼>과 <보트 파티에서의 오찬>에는 <강아지>가 등장한다. ||

--
  • 1인 도전자 문희경이 떨어진 뒤 나온 문제로 남은 14명이 전멸하면서 적립금 339만원은 안드로메다로......


5.3.2. 509회 전반전 8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고용노동부는 각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15년 이상 종사하고 최고 수준의 숙련 기술을 보유한 이를 <대한민국 명장>으로 선정하고 있다. 다음 중 산업구조 변화에 맞춰 폐지된 직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tablebordercolor=#57a081> 1 || 물류관리 ||

|| 2 || 피아노 조율 ||

||<rowbgcolor=#90E4FF> 3 || 화약류 제조 ||

||<tablebordercolor=#552582>산업 기술의 변화에 맞춰 산업 수유가 적은 물류관리, 피아노 조율, 광산보안, 시추, 포장 직종 등 5개 직종이 <대한민국 명장>에서 폐지되었다. ||



5.4. 공동 4위(13명)[편집]



5.4.1. 85회 전반전 7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갈피를 잡을 수 없도록 마구 지껄이는 모양을 가리키는 말이 아닌 것은?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콩켸팥켸 ||

|| 2 || 콩팔칠팔 ||

|| 3 || 콩칠팔칠 ||

--
  • 1인 도전자 이소연과 남은 13명이 전멸하면서 5,000만원과 762만원이 안드로메다로......(100인의 결과를 먼저 공개)


5.4.2. 322회 전반전 7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대한결핵협회는 올해 창립 60주년을 맞아 그동안 국민들에게 사랑받았던 크리스마스실 10가지를 선정하여 재발행했다.
보기 중 우리나라에서 발행한 최초의 크리스마스 실은?(그림 문제)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남대문이 그려져 있는 실 ||

|| 2 || 한복을 입은 소녀가 그려져 있는 실 ||

|| 3 || 초기 태극기 도안이 그려져 있는 실 ||

||<tablebordercolor=#552582>우리나라에서는 1932년 12월 캐나다의 의료 선교사인 셔우드 홀이 처음으로 크리스마스 실 운동을 시작했으며, 최초의 도안은 서울의 상징물인 남대문이었다.
(2번 그림: 1953년 발행, 3번 그림: 1957년 발행) ||

--
  • 1인 도전자 가수 김범수가 떨어진 이후의 다음 문제는 크리스마스 특집에 출제될 만한 전형적인 문제였는데 남은 13명이 전멸하면서 251만원은 안드로메다로......


5.5. 6위 - 71회 전반전 6단계(12명)[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안도현의 시 <가을 바람> 中 <가을 햇볕 한마당 고추 말리는 마을 지나가면 가슴이 뛴다. 아가야 저렇듯 ( ) 살아야 한다> 에서 ( )은?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맵게 ||

|| 2 || 눈물나게 ||

|| 3 || 어울렁더울렁 ||

--
  • 1인 도전자 한성주는 1인의 답 도우미인 이수나의 답인 2번을 따라가면서 적립금 782만원과 5000만원 모두 안드로메다로......
  • 그 뒤 75회 전반전에서 1인의 답 도우미였던 이수나가 1인으로 도전했을 때 한성주와 비슷하게 7단계에서 1인과 8명이 전멸했다.(남은 100인의 결과를 미리 공개함)
  • 참고로 이 회차의 난도는 높았는데, 후반전에서는 1,2단계에서 각각 50,21명이 떨어지는 극악의 난도로 인해 1인이 5단계까지 생존한 후 최후의 4인이 결정되었다.(그 뒤 3문제를 푼 후 385만원을 받아가는 우승자 결정)


5.6. 7위 - 244회 후반전 7단계(11명)[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시인 크리스토프 쿠프너가 베토벤에게 <본인의 곡 중 가장 좋아하는 곡은 무엇입니까?>라고 묻자 베토벤은 (이 곡)이라고 답했다고 한다. 이 곡은? ||

||<tablebordercolor=#57a081> 1 || 운명교향곡 ||

||<rowbgcolor=#90E4FF> 2 || 영웅교향곡 ||

|| 3 || 전원교향곡 ||

--
  • 1인 도전자 안선영이 6단계까지 생존한 뒤 나온 문제며 참고로 전반전에서는 7단계에서 12명 중 580만원을 가져가는 우승자가 결정됐다.(적립금 615만원)
  • 그 뒤 안선영은 472회 후반전에서 1인으로 재도전해 8단계 1:5까지 갔다.(적립금 484만원, 두 문제를 푼 뒤 우승자 결정)


5.7. 공동 8위(10명)[편집]



5.7.1. 83회 후반전 6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보건복지가족부에서 발표한 2009년 3인 가구 최저 생계비는? ||

||<tablebordercolor=#57a081><rowbgcolor=#90E4FF> 1 || 108만 1186원 ||

|| 2 || 119만 5398원 ||

|| 3 || 132만 6609원 ||

--
  • 1인 도전자가 5단계까지 생존한 뒤 다음 문제에서 적립금 369만원은 안드로메다로......(정답 확인 전에 사회자가 일부 100인의 답을 물어봤다.)


5.7.2. 136회 전반전 7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1887년 미국에서 채소에 세금을 물리는 관세법이 통과되자, 토마토가 과일이나 채소냐 하는 논쟁이 벌어졌다. 미국대연방법원은 토마토가 채소라는 판결을 내렸는데, 그 근거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뜨거운 불에 익혀 먹을 수 있어서 ||

|| 2 || 가지목 가지과의 식물이라서 ||

||<rowbgcolor=#90E4FF> 3 || 식사에 나오지만 후식으로 나오지 않아서 ||

||<tablebordercolor=#552582>미국연방대법원의 판결에 의하면, 당시 채소와 과일의 구분을 식사 때 요리로 사용하느냐, 후식으로 사용하느냐로 나누었고 토마토는 요리로 사용되기 때문에 채소라는 판결을 내렸다. ||

--
  • 이 대결 문제 난이도는 어렵지는 않았지만 2,4단계의 영향으로(각각 탈락자는 26,44명) 적립금이 818만원이었으며 이 문제에서 황현희연예인 1인 최초로 5000만원을 가져가는 주인공이 되었다. 왜 최초냐면 100회 특집 때 7대 우승자인 박지선더블 찬스 실패 크리로 1인 우승 상금 반액만 가져갔기 때문. 참고로 10명 가운데서는 개그맨 양상국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후반전에서는 3단계에서 광탈했다. 아울러 후반전 8단계에서 우승한 도전자도 있었다.(후반전 4단계에서 2인의 답 도우미로 선정)
  • 참고로 후반전에서는 1인 우승자가 나와서 그런지 난도가 급격하게 올라가 2,3단계에서만 78명(46+32)이 떨어진 것을 포함해 단 4문제만에 생존자가 9명으로 줄어들 정도로 매우 어려웠으며 1인이 7단계에서 최후의 4인과 접전을 펼쳤음에도 적립금은 665만원이었다.
  • 그 후 그는 개그 콘서트 특집에서 100인으로 참여했으며(60번 자리), 우승한 이후 특집 때마다 우승자의 답(이때 명칭은 남보원의 답, 5,000만원의 답)으로 1인 도전자들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큰 도움을 주었다.
  • 이 문제는 300회 특집 사전 문제 3번째 문제로 재출제되었으며 도전자인 컬투도 정답을 맞혔다.


5.7.3. 140회 전반전 7단계[편집]


||<tablebordercolor=#8258FA>로마시대에는 이 동물의 젖으로 만든 크림이 고급화장품이었다고 한다.
네로 황제의 아내 포파이아 사비나는 목욕을 위해 이 동물을 500마리나 길렀다고 하는데, 이 동물은? ||

||<tablebordercolor=#57a081> 1 || 낙타 ||

|| 2 || 염소 ||

||<rowbgcolor=#90E4FF> 3 || 당나귀 ||

||<tablebordercolor=#552582>포파이아 사비나는 피부를 위해 아침과 저녁 당나귀의 젖으로 목욕했다.
이를 위해 500명의 노예와 500마리의 당나귀를 두었으며 여행을 떠날 때도 데리고 다녔다고 한다. ||

--
  • 1인 브라이언이 2인의 답 실패로 5단계에서 떨어진 후 남은 생존자 20명이 다음 두 문제에서 10명씩 떨어지면서 적립금 573만원은 안드로메다로......


5.7.4. 448회 8단계[15][편집]


||<tablebordercolor=#8258FA>최근 담뱃갑 경고 그림의 위치를 정하는 과정에서 ( ) 다이어그램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한다. ( ) 다이어그램은 균등하게 분할된 정보를 보게 될 때, <왼쪽 위→오른쪽 위→왼쪽 아래→오른쪽 아래> 순으로 시선이 움직이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인데, ( )는? ||

||<tablebordercolor=#57a081> 1 || 다빈치 ||

|| 2 || 갈릴레이 ||

||<rowbgcolor=#90E4FF> 3 || 구텐베르크 ||

--

[1] 같이 찍은 다른 녹화분은 388회에 방송되었다.[2] 신현준과 같이 녹화한 다른 1인 방송(변진섭)은 450회 전반전에 방영되었다.[3] 같이 찍은 다른 녹화분은 388회에 방송되었다.[4] 추가로 분기점은 JCT(Junction), 요금소는 TG(Toll gate)라고 한다.[5] 그 바람에 바로 패자부활전이 열렸지만 75명 중 단 3명만 부활해서 사실상 하나마나가 되었다.[6] 참고로 난도가 높아서 4단계에서 1인이 상금 693만원을 가져갔을 때 최후의 4인이 결정되었다.[7] 참고로 여기서 2000년 6월 도전 골든벨 동요 '봄이 왔어요' 문제에서의 대참사(?)가 약 16년 만에 재현되었다.(84명 중 21명 생존) 그 뒤 1인은 8단계에서 최후의 2인과 대결을 펼쳤으며 여기서 496만원을 받은 우승자가 결정되었다.[8] 원래는 123회 후반전이었는데 1인인 타블로가 10단계에서 최후의 3인과 접전을 펼친 덕분에 122회 후반전은 123회 후반전으로 밀렸고 한동안 연기되다가 127회 전반전 방영분과 같이 방영됐다.[9] 289~469회 방식에서 두번째로 단일 문제에서 쌓인 최고 적립 상금이다.(1위는 461회 후반전 - 45*10=450만원)[10] 이탈리아 통일 전 활동하던 비밀 혁명 조직 '카르보나리'도 같은 어원으로 단원들이 숯장이로 위장한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비슷한 사례로 우리나라에서도 천주교도들이 옹기장이로 위장한 사례가 있음.[11] 이는 약 1,195,540:1이며, 로또 2등 당첨 확률과 맞먹는다.[12] 한민관,마리오,이경필,곽동직,조규상,박동수,김경대[13] 사모곡고등학교 국어시간에 높은 확률로 배우는 작품이고(7차교육과정 국어(하) 4단원 심화학습에 등장했다.) 2015년 EBS 교재에 등장한 적도 있으나 이를 제대로 기억하는 사람은 별로 없었을 것이다.[14] 이 문제는 3년 후 도전 골든벨 창원 기계공고 편 1번 문제에서 재출제되었는데 여기서 53명이나 떨어졌다. 특히 3가지를 모두 적어야 하는 주관식 문제라 난이도가 더욱 올라갔으며 심지어 아예 적지 못한 학생들도 많았다.[15] 신현준과 같이 녹화한 다른 1인 방송(변진섭)은 450회 전반전에 방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