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덤프버전 :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선거
다음선거
대통령 선거
19대
2017년 5월 9일
20대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대 · 2대 · 3대 · 3.15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국회의원 선거
21대
2020년 4월 15일
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제헌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 22대

전국동시지방선거
7회
2018년 6월 13일
8회
2022년 6월 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재보궐선거
2021년
2021년 4월 7일
2022년 1분기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2대 부선*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국민투표**
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능***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제2대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병행하지 않고 이시영 부통령의 사임에 의해 별도로 시행한 보궐선거이므로 편의상 보궐선거로 분류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국회에서 추가적인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함.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2016년 재보궐선거
}}}}}} ||
선거 결과
정당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1석
7석
7석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0석
2석
0석

[[무소속|
무소속
]]

0석
0석
7석

1. 개요
2. 선거지역
3. 선거결과
3.1. 투표
3.2. 개표
3.2.2. 광역의원
3.2.3. 기초의원
4. 선거 이후
4.1. 새누리당
4.2. 새정치민주연합
4.3. 야권신당 추진세력
5. 관련문서



1. 개요[편집]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는 2015년 10월 28일에 치른 재보궐선거이다.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는 국회의원선거가 치러지지 않는데, 잔여임기가 1년 미만이기 때문이다. 정확히 말해, 바로 6개월 후인 2016년 4월 13일제20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다.

당초 미니 지방선거 격의 대규모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재선거가 있을 것으로 보였다. 대표적인 자치단체장으로는 대전시장, 서울교육감, 야권신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주도권을 다툴 호남지역의 기초자치단체장들 등으로, 이들이 최종적으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을 경우 매우 판이 커질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7월 말, 국회에서 선거에 너무 많은 행정력과 정치력이 소모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재보궐선거는 연 1회로 한정하는 법안[1]을 통과시킴으로써, 법 발효 이전에 당선무효형이 난 지역만 치르는 매우 소규모의 선거가 되었다. 법 발효 이후 당선무효형이 선고된 당선자의 지역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과 함께 재보궐선거를 치렀다.

투표율이 20%에 그쳤고, 선거운동도 보이지 않은 지역구가 많았다. 여야 모두 이번 재보선을 등한시했다는 의미다.


2. 선거지역[편집]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선거구
기초단체장
경상남도
고성군
새누리당 하학열 당선무효
광역의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제3 선거구
새누리당 도문열 당선무효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제1 선거구
새누리당 박석동 당선무효
기장군 제1 선거구
새누리당 박인대 당선무효
인천광역시
부평구 제5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장현근 당선무효
서구 제2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구재용 당선무효
경기도
의정부시 제2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조남혁 사망(2015.06)
의정부시 제3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민 당선무효
광명시 제1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이준희 당선무효
전라남도
함평군 제2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노종석 피선거권 상실
기초의원
서울특별시
양천구 가 선거구
새누리당 박태문 당선무효
부산광역시
서구 다 선거구
무소속 엄주정 당선무효
해운대구 다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박욱영 피선거권 상실
사상구 다 선거구
새누리당 김정언 당선무효
인천광역시
남구 다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김종환 당선무효
부평구 나 선거구
새누리당 이도재 당선무효
울산광역시
중구 나 선거구
새누리당 김선수 당선무효
경기도
김포시 나 선거구
새누리당 권오준 당선무효
강원도
홍천군 다 선거구
새누리당 백금산 당선무효
충청북도
증평군 가 선거구
새누리당 지영섭 당선무효
전라남도
목포시 라 선거구
무소속 김영수 사망(2015.04.07)
신안군 나 선거구
무소속 조영훈 당선무효
경상북도
울진군 다 선거구
무소속 이세진 사직
경상남도
사천시 라 선거구
새정치민주연합 조익래 당선무효

3. 선거결과[편집]



3.1. 투표[편집]


전국 종합 시간대별 투표현황[2]
총 유권자수 : 1,067,487명
시간
투표수[3]
투표율
7시

0.6%
9시

2.7%
11시

5.9%
12시

7.2%
13시[4]

12.6%
14시

13.7%
15시

14.9%
16시

15.9%
17시

17.0%
18시

18.1%
19시

19.1%
20시

20.1%


3.2. 개표[편집]



3.2.1. 기초자치단체[편집]


경남 고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평호
9,783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94%
당선
2
백두현
4,759
3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9.91%
낙선
4
김인태
363
6위

[[공화당(2014년)|
파일:공화당(2014년) 흰색 로고타입.svg
]]

1.51%
낙선
5
이상근
7,036
2위

[[무소속|
무소속
]]

29.45%
낙선
6
이재희
585
5위

[[무소속|
무소속
]]

2.44%
낙선
7
김홍식
사퇴

[[무소속|
무소속
]]

8
정호용
1,365
4위

[[무소속|
무소속
]]

5.71%
낙선

선거인 수
47,504
투표율
50.73%
투표 수
24,101
무효표 수
210

3.2.2. 광역의원[편집]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제3선거구
신길제1동, 신길제4동, 신길제5동, 신길제7동, 여의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김춘수
새누리당
5,952
54.99%
1
당선
2
조유진
새정치민주연합
4,083
37.72%
2
4
전재범
무소속
788
7.28%
3
선거인 수
81,807
투표수
10,874
무효표 수
51
투표율
13.29%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제1선거구
부전제1동, 범전동, 연지동, 초읍동, 양정제1동, 양정제2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김수용
새누리당
8,037
60.19%
1
당선
2
이상호
새정치민주연합
5,314
39.80%
2
선거인 수
86,045
투표수
13,428
무효표 수
77
투표율
15.61%

부산광역시 기장군 제1선거구
기장읍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정동만
새누리당
4,683
45.96%
1
당선
2
정영주
새정치민주연합
1,613
15.83%
3
4
김유환
무소속
3,893
38.20%
2
선거인 수
44,720
투표수
10,232
무효표 수
43
투표율
22.88%

인천광역시 부평구 제5선거구
청천1동, 산곡1동, 산곡2동, 산곡4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최만용
새누리당
4,769
40.52%
1
당선
2
노태손
새정치민주연합
3,057
25.97%
3
3
김상용
정의당
3,297
28.01%
2
4
최종귀
한나라당
646
5.48%
4
선거인 수
71,870
투표수
11,848
무효표 수
79
투표율
16.49%

인천광역시 서구 제2선거구
검암경서동, 청라1동, 청라2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문현주
새누리당
4,421
42.06%
2

2
김종인
새정치민주연합
6,090
57.93%
1
당선
선거인 수
92,036
투표수
10,570
무효표 수
59
투표율
11.48%

경기도 의정부시 제2선거구
의정부2동, 호원1동, 호원2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정진선
새누리당
4,990
51.23%
1
당선
2
강은희
새정치민주연합
4,749
48.76%
2
선거인 수
83,771
투표수
9,797
무효표 수
58
투표율
11.69%

경기도 의정부시 제3선거구
장암동, 신곡1동, 신곡2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국은주
새누리당
6,788
56.42%
1
당선
2
박돈영
새정치민주연합
5,242
43.57%
2
선거인 수
91,109
투표수
12,095
무효표 수
65
투표율
13.28%

경기도 광명시 제1선거구
광명1동, 광명2동, 광명3동, 철산1동, 철산2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권태진
새누리당
5,577
58.09%
1
당선
2
이병인
새정치민주연합
4,023
41.90%
2
선거인 수
57,145
투표수
9,650
무효표 수
50
투표율
16.89%

전라남도 함평군 제2선거구
학교면, 대동면, 나산면, 해보면, 월야면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2
정정희
새정치민주연합
3,369
47.25%
1
당선
4
설명수
무소속
1,227
17.21%
3
5
이재인
무소속
2,533
35.53%
2
선거인 수
15,702
투표수
7,196
무효표 수
67
투표율
45.83%[5]


3.2.3. 기초의원[편집]


서울특별시 양천구 가선거구
목2동, 목3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이성국
새누리당
3,925
51.48%
1
당선
2
김수정
새정치민주연합
3,698
48.51%
2
선거인 수
45,161
투표수
7,651
무효표 수
28
투표율
16.94%

부산광역시 서구 다선거구
아미동, 초장동, 충무동, 남부민제1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김두세
새누리당
2,213
38.70%
2

2
오해진
새정치민주연합
516
9.02%
3
4
허승만
무소속
2,988
52.26%
1
당선
선거인 수
32,691
투표수
5,755
무효표 수
38
투표율
17.60%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다선거구
좌제1동, 좌제3동, 좌제4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서창우
새누리당
-
-
1
무투표 당선

부산광역시 사상구 다선거구
괘법동, 감전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윤태한
새누리당
3,327
61.05%
1
당선
2
김덕영
새정치민주연합
2,122
38.94%
2
선거인 수
32,691
투표수
5,474
무효표 수
25
투표율
16.74%

인천광역시 남구 다선거구
주안3동, 주안7동, 주안8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배세식
새누리당
3,494
57.13%
1
당선
2
이병학
새정치민주연합
2,621
42.86%
2
선거인 수
42,286
투표수
6,148
무효표 수
33
투표율
14.54%

인천광역시 부평구 나선거구
부평2동, 부평6동, 일신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이익성
새누리당
3,872
59.15%
1
당선
2
이종빈
새정치민주연합
2,673
40.84%
2
선거인 수
43,057
투표수
6,584
무효표 수
39
투표율
15.29%

울산광역시 중구 나선거구
병영1동, 병영2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이재철
새누리당
4,300
43.23%
2

4
천병태
무소속
5,645
56.76%
1
당선
선거인 수
38,328
투표수
9,993
무효표 수
48
투표율
26.07%

경기도 김포시 나선거구
김포본동, 장기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김종혁
새누리당
5,091
52.62%
1
당선
2
채신덕
새정치민주연합
4,360
45.06%
2
4
김인수
무소속
223
2.30%
3
선거인 수
67,614
투표수
9,711
무효표 수
37
투표율
14.36%

강원도 홍천군 다선거구
두촌면, 내촌면, 서석면, 내면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엄광남
새누리당
1,914
39.13%
1
당선
2
원재민
새정치민주연합
1,364
27.88%
3
4
심형기
무소속
1,613
32.97%
2
낙선
선거인 수
11,052
투표수
4,914
무효표 수
23
투표율
44.46%

충청북도 증평군 가선거구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이규정
새누리당
867
21.58%
3

2
이창규
새정치민주연합
1,170
29.13%
2
4
윤해명
무소속
1,979
49.27%
1
당선
선거인 수
12,059
투표수
4,041
무효표 수
25
투표율
33.51%

전라남도 목포시 라선거구
목원동, 유달동, 동명동, 만호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4
이재용
무소속
2,771
38.33%
1
당선
5
서조원
무소속
1,491
20.62%
3
6
천정우
무소속
1,349
18.66%
4
7
송지원
무소속
1,617
22.37%
2
선거인 수
23,721
투표수
7,295
무효표 수
67
투표율
30.75%

전라남도 신안군 나선거구
자은면, 암태면, 압해읍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2
김동근
새정치민주연합
1,421
21.77%
3
4
전남주
무소속
1,262
19.33%
4
5
박인석
무소속
1,817
27.84%
2
6
최승환
무소속
2,026
31.04%
1
당선
선거인 수
10,231
투표수
6,596
무효표 수
70
투표율
64.47%[6]

경상북도 울진군 다선거구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평해읍, 후포면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4
김정희
무소속
2,912
28.61%
2
5
황윤석
무소속
897
8.81%
5
6
황유성
무소속
2,955
29.03%
1
당선
7
도한민
무소속
1,971
19.36%
3
8
신상규
무소속
1,442
14.16%
4
선거인 수
18,778
투표수
10,259
무효표 수
82
투표율
54.63%

경상남도 사천시 라선거구
동서금동, 벌용동, 향촌동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이삼수
새누리당
4,926
46.81%
2

4
박종권
무소속
5,597
53.18%
1
당선
선거인 수
24,538
투표수
10,600
무효표 수
77
투표율
43.20%


4. 선거 이후[편집]



4.1. 새누리당[편집]


기초단체장 1석 중 1석(100%), 광역의원 9석 중 7석(78%), 기초의원 14석 중 6석(43%)을 획득하며 압승을 기록했다. 다만, 워낙 국민들의 관심도가 낮은 지역의원 선거의 비중이 높았던데다가 텃밭인 울산에서 구 통진당 출신 무소속 후보에게 패배한 점이 옥의 티였다.

이 선거 승리로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재보궐선거 연승 기록을 이어갔다. 김무성 대표 체제는 이 승리로 2016년 총선 직전까지 견고한 안정세를 이어갔고, 김무성 대표 역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누르고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1위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나갔다.

4.2. 새정치민주연합[편집]


유일한 기초단체장 선거인 고성군수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에게도 밀린 단 19.91%[7][8]에 그쳤고, 광역의원 당선자는 2명에 그쳤다. 기초의원 당선자는 아예 없다. 인천 부평 시의원 선거에서는 정의당에 밀려 3위로 낙선했다. 특히 야권신당 바람이 불고있는 호남에서 썩 성과가 좋지 않았다. 함평 도의원 선거에서 정정희 후보가 당선되기는 했지만 득표율은 50%에 못미쳤고, 전남 신안군 기초의원 선거에서는 아예 무소속 후보 2명에 밀려 3위로 낙선했다. 그야말로 참패.

애초에 광역의원/기초의원 선거의 경우 호남(3곳)을 제외하면 18대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가 승리했던 선거구는 4곳[9]밖에 없었던 만큼 대체적으로 여권 우세 지역이 많긴 했지만, 막상 이들 4개 선거구 중에서도 3곳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다만 기초의원 선거의 특성상 당색이 약하게 작용한다는 점, 그리고 투표율이 형편없이 낮았다는 점은 고려해봐야한다.

이 패배로 문재인 대표 체제가 본격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했으며 호남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문재인 대표에 대한 사퇴 압력이 강해졌다. 하지만 문재인 대표가 사퇴를 거부하면서 2015년 말 연속 탈당 사태로 시작된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사태의 시발점이 된다.

4.3. 야권신당 추진세력[편집]


일단 야권신당 측에서 추천한 무소속 설명수, 이재인 후보와 새정치연합의 공천을 받은 정정희 후보가 맞붙은 함평 도의원 선거에서 야권신당세력 후보 득표의 총합이 52.74%로 새정치연합의 47.25% 보다 앞섰다. 근데 당선에는 실패했기에 뭐라 말하기가 참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호남계 야권 신당 추진 세력의 추천을 받은 2명이 각각 출마해 표가 갈린것이 한 몫 했다.

자세히 들어가면 천정배 의원 측과 박준영 전 전남지사 측이 각각 후보를 냈는데, 천정배 의원 측 이재인 후보는 35.5%를 득표했고, 박준영 전 지사 측 설명수 후보는 17.2%를 득표했다. 이 당시 야권 재편 과정 중 얼마나 민주당계 세력이 표류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는 승부였다.

5. 관련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10:35:18에 나무위키 2015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러나 연 1회로의 법령 개정 후 오거돈 성추행 사건박원순 자살 사건의 여파로 부산시장직이 정확히 1년, 서울시장직이 7개월이나 공석이 되는 혼란이 발생하여 지자체의 행정 공백을 막고자 2020년부터 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감에 한해서 재보궐선거를 연 2회 실시하는 것으로 환원했다.[2] 부재자투표는 13시결과부터 일괄합산[3] 부재자 포함[4] 부재자 투표 합산 시작[5] 광역의원 선거구 중 최고 투표율을 기록했다.[6] 이번 보궐선거 선거구 중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7] 그런데 민주당계 정당이 고성군에서 20% 가까이의 득표율을 얻은 건 선전한 편이라고 한다. (당시 고성군에서의 민주당계 정당의 평균득표율은 10% 초중반 정도였다)[8] 참고로 이후 이때 낙선한 고성군수 후보 백두현은 다음 지방선거에서 당선된다.[9] 인천 서구2, 경기 광명1, 서울 양천가, 인천 부평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