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재보궐선거

덤프버전 :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선거
다음선거
대통령 선거
19대
2017년 5월 9일
20대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대 · 2대 · 3대 · 3.15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국회의원 선거
21대
2020년 4월 15일
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제헌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 22대

전국동시지방선거
7회
2018년 6월 13일
8회
2022년 6월 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재보궐선거
2021년
2021년 4월 7일
2022년 1분기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2대 부선*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국민투표**
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능***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제2대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병행하지 않고 이시영 부통령의 사임에 의해 별도로 시행한 보궐선거이므로 편의상 보궐선거로 분류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국회에서 추가적인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함.




}}}}}} ||
개표 막바지 당선인 영상


선거 결과
정당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석
6석
15석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3석
10석
17석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0석
-
1석

[[무소속|
무소속
]]

0석
1석
0석

1. 개요
2. 주요 선거 일정
4. 여론조사
4.1. 기초단체장
4.2. 광역의원
5. 후보
5.1. 기초단체장
5.2. 광역의원
5.3. 기초의원
7. 총평
8. 여담



1. 개요[편집]


2020년 4월 15일에 치른 재보궐선거이다.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교육감 등의 선출직 공직 가운데 궐위된 곳에 한해 시행된다. 본 선거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같은 날에 치르는 선거로, 큰 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작은 선거에서는 한 정당으로 쭉 투표하는 '줄투표'가 자주 나오기 때문에 선거 결과는 해당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 결과와 비슷하게 나올 가능성이 높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와 같이 실시하는 선거이므로 국회의원 재보선은 없다. 2020년 3월 16일까지 사유가 확정된 지역에 대해 선거를 실시한다. 가장 큰 단위의 선거가 기초단체장급으로, 큰 존재감 없이 총선에 묻어가는 재보궐선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2. 주요 선거 일정[편집]




3. 선거 확정 지역[편집]


2020년 재보궐선거/선거 확정지역 문서 참조
  • 행정구역코드 순서대로 기재 바랍니다.
  • 당선무효와 피선거권 상실을 정확히 구분해 주십시오.
2020년 재보궐선거 지역구
기초단체장
부산
중구청장
더불어민주당 윤종서 당선무효
경기
안성시
더불어민주당 우석제 당선무효
강원
고성군
더불어민주당 이경일 당선무효
강원
횡성군
무소속 한규호 피선거권 상실
충남
천안시장
더불어민주당 구본영 당선무효
전북
진안군
더불어민주당 이항로 당선무효
전남
함평군
민주평화당 이윤행 당선무효
경북
상주시
자유한국당 황천모 당선무효
광역의원
부산
남구 제2선거구
자유한국당 오은택 사직
대구
동구 제3선거구
자유한국당 김병태 피선거권 상실
동구 제4선거구
자유한국당 서호영 피선거권 상실
대전
서구 제6선거구
바른미래당 김소연 사직
세종
제9선거구
더불어민주당 윤형권 사직
경기
성남시 제7선거구
더불어민주당 이나영 사직
충북
청주시 제10선거구
무소속[A] 임기중 피선거권 상실
보은군 선거구
더불어민주당 하유정 당선무효
영동군 제1선거구
자유한국당 박병진 피선거권 상실
충남
천안시 제5선거구
더불어민주당 한옥동 사망(2020.03.13)
경북
포항시 제6선거구
자유한국당 김종영 당선무효
안동시 제2선거구
자유한국당 김명호 사직
구미시 제6선거구
자유한국당 김봉교 사직
경남
진주시 제3선거구
자유한국당 강민국 사직
제주
서귀포시 동홍동 선거구
더불어민주당 윤춘광 사망(2019.07.13)
서귀포시 대천동·중문동·예래동 선거구
더불어민주당 임상필 당선무효
서귀포시 대정읍 선거구
무소속 허창옥 사망(2019.05.23)
기초의원
서울
동대문구 아선거구
자유한국당 권재혁 당선무효
강북구 나선거구
무소속[A] 최재성 사직
도봉구 라선거구
더불어민주당 이성희 사망(2019.03.08)
서대문구 마선거구
정의당 임한솔 사직
부산
사하구 가선거구
자유한국당 김소정 사직
대구
동구 라선거구
자유한국당 김태겸 피선거권 상실
동구 마선거구
자유한국당 이주용 사직
동구 바선거구
자유한국당 황종옥 피선거권 상실
북구 바선거구
자유한국당 신경희 피선거권 상실
북구 아선거구
더불어민주당 김용덕 당선무효
대전
서구 나선거구
자유한국당 조성호 사직
서구 바선거구
더불어민주당 방차석 당선무효
유성구 다선거구
자유한국당 윤광준 사망(2019.11.26)
울산
남구 바선거구
자유한국당 박부경 당선무효
북구 가선거구
자유한국당 박상복 사직
경기
성남시 라선거구
더불어민주당 신한호 사직
평택시 나선거구
더불어민주당 김승남 당선무효
강원
춘천시 사선거구
더불어민주당 이혜영 당선무효
홍천군 가선거구
자유한국당 허남진 피선거권 상실
충남
아산시 가선거구
자유한국당 장기승 당선무효
금산군 나선거구
자유한국당 전연석 당선무효
전북
전주시 마선거구
더불어민주당 고미희 피선거권 상실
군산시 바선거구
무소속[A] 김종숙 사직
무소속 유선우 당선무효
전남
여수시 나선거구
더불어민주당 김승호 당선무효
순천시 사선거구
더불어민주당 박용운 당선무효
함평군 가선거구
무소속 정철희 사직
경북
포항시 마선거구
자유한국당 이영옥 당선무효
안동시 바선거구
미래통합당 권광택 사직
구미시 바선거구
자유한국당 권기만 사직
울진군 다선거구
무소속 황유성 피선거권 상실
경남
고성군 다선거구
자유한국당 최상림 당선무효
의령군 나선거구
자유한국당 김철호 피선거권 상실


4. 여론조사[편집]



4.1. 기초단체장[편집]


아이소프트뱅크 조사[1], 2020년 3월 29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김보라
이영찬
이기영
35.1%
44.0%
6.2%
12.4%

알앤써치 조사[2], 2020년 4월 5~6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김보라
이영찬
이기영
38.6%
40.8%
9.4%
11.2%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3], 2020년 4월 4~6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함명준
윤승근
조의교
김규식
39.1%
38.0%
4.7%
2.6%
15.6%

유앤미리서치 조사[4], 2019년 12월 21일
민주
한국
무당층
장신상
이관형
박명서
박두희
함종국
이병한
김명기
진기엽
한창수
14.6%
12.5%
22.6%
10.4%
10.0%
7.1%
6.3%
5.5%
3.1%
6.8%

이너텍시스템즈 조사[5], 2020년 2월 3~4,7일
민주
한국
무당층
장신상
이관형
박명서
함종국
이병한
김명기
진기엽
28.7%
9.4%
16.2%
10.6%
6.7%
10.9%
10.0%
6.6%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6], 2020년 4월 4~6일
민주
통합
무당층
장신상
박명서
48.0%
40.0%
11.9%

세종리서치 조사[7], 2020년 2월 16~17일
민주
한국
무당층
한태선
장기수
박상돈
도병수
16.3%
16.2%
23.4%
11.5%
26.4%

세종리서치 조사[8], 2020년 3월 21~22일
민주
통합
무당층
한태선
박상돈
47.3%
34.1%
14.1%

리얼미터 조사[9], 2020년 3월 29~30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한태선
박상돈
전옥균
44.0%
36.4%
4.2%
15.4%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10], 2020년 3월 29~30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한태선
박상돈
전옥균
44.0%
31.9%
3.0%
21.0%

세종리서치 조사[11], 2020년 3월 31~4월 1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한태선
박상돈
전옥균
39.3%
41.0%
1.9%
17.9%

세종리서치 조사[12], 2020년 4월 7~8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한태선
박상돈
전옥균
48.9%
39.2%
2.5%
9.4%

디오피니언 조사[13], 2020년 4월 7~8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한태선
박상돈
전옥균
42.0%
40.4%
3.6%
14.0%

데일리리서치 조사[14], 2020년 2월 8~9일
민주
무소속
무당층
전춘성
한수용
허석준
고준식
정태검
이우규
정종옥
김현철
이충국
송상모
36.7%
-
-
-
-
-
-
10.0%
7.7%
5.0%
16.2%
-
9.1%
-
-
-
-
-
11.3%
9.7%
6.5%
25.8%
-
-
9.4%
-
-
-
-
11.5%
10.8%
6.0%
22.3%
-
-
-
25.2%
-
-
-
11.0%
9.5%
5.9%
20.3%
-
-
-
-
7.4%
-
-
13.4%
9.8%
6.3%
25.7%
-
-
-
-
-
10.5%
-
12.3%
11.6%
5.9%
24.4%
-
-
-
-
-
-
29.1%
10.4%
8.9%
5.9%
19.9%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15], 2020년 3월 14~15일
민주
무소속
무당층
전춘성
김현철
이충국
송상모
53.2%
8.7%
15.0%
6.8%
13.0%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16], 2020년 4월 6~7일
민주
무소속
무당층
전춘성
이충국
51.3%
43.6%
5.1%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17], 2020년 4월 4~5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조원희
강영석
한백수
18.6%
59.7%
3.6%
18.1%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4.2. 광역의원[편집]


베스트사이트 조사[18], 2020년 4월 5일
민주
통합
무소속
무당층
황경선
박재완
박경숙
27.2%
33.2%
26.5%
13.1%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5. 후보[편집]


공천 확정만 표기.


5.1. 기초단체장[편집]




5.2. 광역의원[편집]


  • 부산 남구 2선거구: (민주당) 반선호 (통합당) 김광명
  • 대구 동구 3선거구: (민주당) 권오준 (통합당) 윤기배
  • 대구 동구 4선거구: (민주당) 최완식 (통합당) 안경은
  • 대전 서구 6선거구: (민주당) 박수빈 (통합당) 박종화
  • 세종 9선거구: (민주당) 이순열 (통합당) 김영래
  • 경기 성남 7선거구: (민주당) 장정현 (통합당) 이제영 (정의당) 예윤해
  • 충북 청주 10선거구: (민주당) 임동현 (통합당) 이유자 (정의당) 이인선
  • 충북 보은 선거구: (민주당) 황경선 (통합당) 박재완
  • 충북 영동 1선거구: (민주당) 여철구 (통합당) 김국기 (정의당) 박보휘
  • 충남 천안 5선거구: (민주당) 윤철상 (통합당) 윤종일
  • 경북 포항 6선거구: (민주당) 최광열 (통합당) 이동업
  • 경북 안동 2선거구: (민주당) 김창구 (통합당) 권광택
  • 경북 구미 6선거구: (민주당) 오경숙 (통합당) 정근수
  • 경남 진주 3선거구: (민주당) 신서경 (통합당) 유계현 (민중당) 하정우
  • 제주 서귀포 동흥동 선거구: (민주당) 김대진 (통합당) 오현승
  • 제주 서귀포 대천,중문,예래동 선거구: (민주당) 임정은
  • 제주 서귀포 대정읍 선거구: (민주당) 박정규


5.3. 기초의원[편집]


  • 서울 동대문구 아 (민주당) 이재식 (통합당) 김길수
  • 서울 강북구 나 (민주당) 이상수 (통합당) 김의경
  • 서울 도봉구 라 (민주당) 이성민 (통합당) 신창용
  • 서울 서대문구 마 (민주당) 김양희 (통합당) 박상홍 (민중당) 김연희
  • 부산 사하구 가 (민주당) 김형기 (통합당) 윤보수
  • 대구 동구 라 (민주당) 공윤엽 (통합당) 김상호
  • 대구 동구 마 (민주당) 김호회 (통합당) 류재발
  • 대구 동구 바 (민주당) 안평훈 (통합당) 정인숙
  • 대구 북구 바 (민주당) 김종길 (통합당) 김세복
  • 대구 북구 아 (민주당) 김칠상 (통합당) 이동욱
  • 대전 서구 나 (민주당) 김동성 (통합당) 최병순
  • 대전 서구 바 (민주당) 신혜영 (통합당) 고현석
  • 대전 유성구 다 (민주당) 송재만 (통합당) 조은호
  • 울산 남구 바 (민주당) 박영수 (통합당) 손세익
  • 울산 북구 가 (민주당) 박재완 (통합당) 정치락 (민중당) 안승찬
  • 경기 성남 라 (민주당) 강현숙 (통합당) 박용승 (민중당) 유정민
  • 경기 평택 나 (민주당) 권현미 (통합당) 최두성 (민중당) 김성기
  • 강원 춘천 사 (민주당) 이교선 (통합당) 경승현
  • 강원 홍천 가 (민주당) 이광재 (통합당) 방정기
  • 충남 아산 가 (민주당) 명노봉 (통합당) 윤원준
  • 충남 금산 나 (민주당) 정옥균 (통합당) 최명수
  • 전북 전주 마 (민생당) 채영병
  • 전북 군산 바[19] (민주당) 최창호,나종대
  • 전남 여수 나 (민주당) 권석환 (민생당) 최창남
  • 전남 순천 사 (민주당) 오행숙
  • 전남 함평 가 (민주당) 최종준
  • 경북 포항 마 (민주당) 전주형 (통합당) 안병국
  • 경북 안동 바 (민주당) 이경섭 (통합당) 윤종찬
  • 경북 구미 바 (민주당) 조남훈[20] (통합당) 김영길
  • 경북 울진 다 (통합당) 신상규
  • 경남 고성 다 (민주당) 김진열 (통합당) 우정욱 (민중당) 이태영
  • 경남 의령 나 (통합당) 주민돈


6. 개표 결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0년 재보궐선거/개표 결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총평[편집]


전반적으로 총선 결과에 묻혀간다는 인식이 큰 재보궐선거이지만, 의외의 결과들도 몇 가지 나왔다.

안성시장 선거에서는 여론조사에서 밀리던 민주당 김보라 후보가 무소속 이기영 후보에게 표 잠식을 당하고도 신승을 거두었으며, 고성군수와 횡성군수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패했음에도 군수 선거는 승리하였다. 이는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의 후광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민주당이 국회의원 3석을 쓸어담은 천안시장 선거에서는 통합당이 신승했는데, 민주당 충남도당이 자기 당 당헌 96조 2항을 어긴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공천을 강행한 것에 대한 비판론도 있었고,[21] # 민주당이 지방의원들의 사퇴를 금지하면서 음주운전 3회 경력의 한태선이 출마하게 된 반면, 통합당에서는 충청남도지사까지 출마했던 전직 재선 국회의원 박상돈이 나오며 인물론이 승패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주시의회 마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된 민생당채영병 후보는 소속당이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 후보자가 낙선하며 당이 존립 자체가 위태로운 수준의 궤멸 상태에 빠졌음에도 홀로 당선되어, 이번 재보궐선거의 숨은 승자가 되었다.[22]

또한 더불어민주당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깔아놓은 조직력이 탄탄하다는 것이 부산, 울산, 경남에서 증명이 되었는데, 광역단체장 관련 온갖 악재에도 민주당 후보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의 민주당 후보 득표율과 비등비등한 득표율을 받았기 때문이다.[23]

단, 울산 북구 마선거구인 경우는 민중당 후보가 7회 지선 출마했던 민중당 후보보다 4% 정도 더 받았고, 결국 이게 독이 되었는지 민주당 후보가 6표 차로 낙선하였다.


8. 여담[편집]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불로·봉무동, 도평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거주 주민들은 지역구 시·구의원이 모두 의원직이 상실되어 총선 당일 4표[24]를 행사하게 된다.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거주 주민들도 기초단체장과 지역구 도의원이 각각 피선거권을 상실하거나 사망하여 총선 당일 4표[25]를 행사하게 된다.
  • 강원도 춘천시 소양동, 근화동, 신사우동(춘천시의회 사선거구) 거주 주민들은 선거구 개편으로 시의원은 같이 뽑지만 국회의원은 각기 다른 사람을 뽑게 되었다.[26]
  • 대전광역시 중구 나선거구의 박찬근 구의원이 동료의원 성추행 혐의로 제명되어 보궐선거 사유가 발생하였으나 하지 않기로 하였다. # 또한 전라남도 목포시 가선거구의 김훈 시의원도 동료의원 성희롱 혐의로 인해 제명되었지만, 이 지역 역시 하지 않기로 하였다. #
  • 전라남도 함평군의회 의원(가 선거구) 보궐선거는 더불어민주당 최종준 후보 이외에 다른 후보가 등록하지 않아, 무투표 당선되었다. 이로써 함평군의회는 군의원 모두가 더불어민주당 소속이 되었다. 군수, 도의원, 국회의원도 모두 민주당 소속인 건 덤. 또한 전체 2명이 출마한 전라남도 순천시의회 의원(사 선거구)과 경상북도 구미시의회 의원(바 선거구)도 각각 1명의 후보가 사퇴함으로써 무투표 당선되었다.
  • 안성시장 선거에 출마한 민주당 김보라 후보는 투표율이 60%를 넘기면 안성천에 입수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는데 당선 이후 실제로 그 공약을 수행했다. #


8.1. 그 많던 범보수는 다 누굴 찍었을까?[편집]


성남시의회 라선거구
태평4동, 산성동, 양지동, 복정동, 위례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현숙(姜賢淑)
31,283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2.11%
당선
2
박용승(朴用承)
사퇴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7
유정민(兪廷旼)
12,094
2위

[[민중당(2017년)|
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27.88%
낙선

선거인 수
80,291
투표율
65.2%
투표 수
52,336
무효표 수
8,959

성남시의회 라선거구 보궐선거에 미래통합당은 원래 박용승 후보를 공천했으나, 후보 등록이 끝난 후에야 그가 피선거권이 없는 전과자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반강제로 자진사퇴하게 된다. 그 결과 이 선거구는 호남권에서나 볼 법한[27], 보수 후보가 아예 없는 민주당 vs 민중당 양자대결이 되었고, 이 때문에 무효표가 많긴 했지만 큰 이변 없이 민주당 강현숙 후보가 70% 넘는 득표율로 당선됐다.

그렇다면 박용승 후보가 완주했다면 그를 찍었을, 갈 곳이 없는 이 지역의 보수 야권 지지자들이 누구에 투표했을지 궁금증을 가질 수 있는데, 이 지역의 총선 비례대표 투표 결과와 비교해보면 이 지역구의 보수야권 지지자들이 어느 후보를 찍었을지 추론해볼 수 있다. 편의상 1% 이상 득표한 정당만 추려보자. (관외사전투표가 포함되지 않은 건 유의해야 한다.)
정당
득표 (득표율)
민생당
1,153 (2.46%)
미래한국당
13,436 (28.60%)
더불어시민당
15,760 (33.60%)
정의당
4,141 (8.80%)
국민의당
3,736 (7.97%)
민중당
997 (2.13%)
열린민주당
2,605 (5.55%)
기독자유통일당
1,011 (2.16%)
편의상 군소 정당은 제하고 위 정당들만 계산한다 했을 때, 이들의 득표 합이 약 92.3%이므로 100%로 환산하면 범민주 표[28]가 49.9%, 범보수 표[29]가 38.1%, 진보 표[30]가 11.0%라는 결론이 나온다. 이를 바탕으로 두 선거 결과를 대조해 대략적으로 추론해보면 아래와 같다.


총선 비례대표
(관외사전 제외)[31]
시의원 보궐선거
(무효표 포함 득표율)
범민주 표
49.9%
59.8%
(+9.9%P)
민주 강현숙
범보수 표
38.1%
-

진보 표
11.0%
23.1%
(+12.1%P)
민중 유정민

-
17.1%[32]
무효표

따라서 큰 차이는 아니지만, (박용승을 찍어 무효표를 만든 사람)>(절대 민주당만큼은 찍을 수 없어 차라리 민중당을 찍은 사람)>(둘 중에는 그나마 보수적인 민주당을 찍은 사람) 순으로 많았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19년 재보궐선거 문서의 r12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2019년 재보궐선거 문서의 r12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2:27:33에 나무위키 2020년 재보궐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더불어민주당 소속[1] 중부일보 의뢰[2] 경인일보 의뢰[3] 춘천MBC, 춘천KBS, 강원일보, G1강원민방, 강원도민일보 의뢰[4] 횡성신문 의뢰[5] 횡성희망신문 의뢰[6] 춘천MBC, 춘천KBS, 강원일보, G1강원민방, 강원도민일보 의뢰[7] 천안신문 의뢰[8] 금강일보사 의뢰[9] 대전인터넷신문기자협회, 금강일보 의뢰[10] 대전MBC 의뢰[11] 아시아뉴스통신 의뢰[12] 천안신문 의뢰[13] 아시아뉴스통신 의뢰[14] 전주일보 의뢰[15] 전주MBC, JTV 전주방송, 전북도민일보, 전라일보 의뢰[16] 전주MBC, JTV 전주방송, 전북도민일보, 전라일보 의뢰[17] 안동MBC 의뢰[18] 보은신문사 의뢰[19] 두명을 선출한다[20] 후보자 자격 박탈[21] 민주당 당헌 96조 2항은 '당 소속 선출직 공직자가 부정부패 사건 등 중대한 잘못으로 그 직위를 상실하여 재·보궐선거를 실시하게 된 경우 해당 선거구에 후보자를 추천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민주당 충남도당은 구본영 전 시장의 정치자금법 위반은 중대한 잘못이 아니라면서 공천을 강행했다.[22] 다만 해당 지역구에 민주당 소속 후보자가 출마하지 않았다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23] 단 부산 중구청장 선거는 제외한다.[24] 지역구 국회의원(동구 을), 비례대표 국회의원, 지역구 시의원, 지역구 구의원[25] 지역구 국회의원(천안시 을), 비례대표 국회의원, 기초단체장, 지역구 도의원[26] 소양동, 근화동은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 신사우동은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27] 사실 놀라운 일도 아닌 것이, 현재도 호남 지역은 보수정당 후보의 출마는 커녕, 보수정당 지지 자체를 거부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라 국회의원은 커녕 기초의원 후보조차 못 내고 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8회 지선 때는 적극적인 서진 정책으로 호남에서도 후보자를 여럿 공천했고, 비록 소수지만 지방의회에서 당선자를 내긴 했다.[28] 민생당+더시민+열린민주당+국민의당 절반 (총선 출구조사에서 지역구 민주당 투표자 5.3%, 지역구 통합당 투표자 7.6%가 국민의당을 찍었다고 나왔는데, 양당의 지역구 득표율 차이를 감안하면 거의 반반이다.)[29] 한국당+기독자유당+국민의당 절반[30] 정의당+민중당. 사표론이 나올 수 없는 상황이니 정의당 지지자들도 전부 유정민 후보를 찍었다고 가정한다.[31] 대부분 지역에서 관외사전투표가 민주당에 매우 우세하게 나왔음을 감안하면 실제 이 지역의 범민주 비례 표는 49.9%보다 높게 잡는 것이 합리적이고, 따라서 범보수 중 민중당을 찍은 비율은 이 표에 나타난 것 보다 더 높다고 봐야 한다.[32] 단순 실수 등으로 나온 무효표도 1~2% 정도 있음은 감안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