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83

덤프버전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 펼치기 · 접기 ]
육군
항공대

단좌 전투기
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87, ◈Ki-88, ◈Ki-94, ◈Ki-98, Ki-100, †ⓩKi-162, ◈ⓩKi-200 슈스이, ◈ⓩKi-201 카류, †ⓩKu-4
복좌 전투기
Ki-45 토류, ◈Ki-83, Ki-102, ◈Ki-93
폭격기
습격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Ki-91
자살 공격기
Ki-115 츠루기
훈련기
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정찰기
Ki-16, Ki-36, Ki-46
해군
항공대

함재기
A 함상
전투기

A5M, A6M 제로센, A7M 렛푸, †A8M 리쿠후, †N1K3-A 시덴 카이 二
B 함상
공격기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C 정찰기
C3N, C5M, C6N 사이운,▼D4Y1-C
D 함상
폭격기

D1A, D3A, †D3Y 묘조, D4Y 스이세이
E 수상정찰기
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F 수상관측기
F1M, F1A
G 육상공격기
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G10N 후가쿠
H 비행정
H6K, H8K, H11K 소우쿠
J 국지전투기
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J4M 센덴, ◈J5N 텐라이, ◈J6K 진푸, ◈J7W 신덴, †ⓩJ7W2/J7W3 신덴 카이, ◈ⓩJ8M 슈스이, ◈ⓩJ9Y 킷카, ▼N1K-J 시덴, ▼N1K2-J 시덴 카이, ▼N1K3-J 시덴 카이 一, ▼N1K4-J 시덴 카이 三, ▼†A7M3-J 렛푸 카이
K 훈련기
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A6M2-K, ▼M6A1-K 난잔
L 수송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DC-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L2D, L3Y, L4M, ▼H6K-L, ▼H8K-L 세이쿠, ▼H11K-L 소우쿠, ▼G5N2-L 신잔 카이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N 수상전투기
N1K 쿄후, ▼A6M2-N
P 폭격기
P1Y 긴가
Q 초계기
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R 육상정찰기
R2Y(세이운, 케이운), ◈ⓩR2Y2 케이운 카이, ▼J1N1-R
S 야간전투기
◈S1A 덴코, ▼J1N-S 겟코, ▼P1Y1-S 바야코, ▼P1Y2-S 쿗쿄, ▼D4Y2-S 스이세이
노획 항공기
파일:소련 국기.svg LaGG-3-8, I-16, 투폴레프 S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F2A 버팔로, P-40, B-17, P-51 머스탱,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파일:영국 국기.svg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
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메서슈미트 Me163, †ⓩ메서슈미트 Me 262, †포케불프 Ta152, †융커스 Ju 390, †V2 미사일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
Ki-147, †Ki-148, †MXY8 아키구사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1. 개요
2. 상세
2.1. 파생형
2.2. 제원
3. 미디어에서의 등장
4. 모형화
5. 둘러보기


파일:mitsubishi-ki-83-flight.jpg
三菱 キ- 83[1]

1. 개요[편집]


Ki-83은 일본 제국 육군의 쌍발 복좌 장거리 중전투기이다. 미쓰비시에서 제작하였으며 종전으로 실전 배치되지 못했다. 전쟁 후반 기체라 연합국 코드명은 없다.

2. 상세[편집]


Ki-83은 1943년 육군항공대에서 요구한 장거리 중전투기에 대한 사양에 맞춰 설계되었다. 설계는 (장거리 고속 정찰기로서) 이전의 성공작이었던 Ki-46(100식 사령부정찰기)를 설계한 쿠보 토미오 기사가 이끄는 팀이 맡았다. 설계자의 풍부한 경험 덕분인지 개발은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시제기는 총 4기가 제작되었으며 그 중 첫 번째 기체는 1944년 11월 18일에 비행했다. 시험 비행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시제기는 644 km/h의 속도로 31초 만에 루프를 해냈으며 루프의 직경은 671 m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중전투기의 속도와 기동성으로서는 상당히 고무적인 결과였다.

무장은 Ho-155 30 mm 기관포 2문과 Ho-5 20 mm 기관포 2문으로 미군의 중폭격기도 충분히 상대할 수 있을 정도였으며, 쌍발기인 만큼 모두 기수에 탑재되어 있어 화력 집중에도 용이했다. 문제는 당시 미군의 공습으로 일본의 산업 역량이 초토화되었으며 그 와중에도 신무기 개발 계획은 중구난방으로 진행되어 그렇지 않아도 부족한 공업 능력을 낭비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결국 Ki-83의 개발은 종전으로 중단되었다. 종전 시점에서 4기의 시제기가 모두 완성되어 있었으며 양산 계획이 진행되고 있었다. Ki-83은 연합국 코드명은 없지만 미 육군항공대가 입수한 후 도색을 새로 하고 시험 비행을 거쳤다. 고옥탄 연료[2]를 사용하고 7,000 m의 고도에서 762 km/h의 최고속도를 기록했다.

일본의 육군 항공대는 Ki-83을 꽤나 신뢰했던 것으로 보이고 실제로 미 육군 항공대도 Ki-84 하야테와 함께 괜찮은 평가를 내렸으나 현재 실제 기체는 1대도 남지 않았고 활약상이나 유명한 일화라고 할 만한 것도 전혀 없기에 Ki-83은 전후 수십 년간 잊혀져 있었지만 인터넷에 대전 후반기 추축국 무기들의 사진이 돌아다니기 시작하고 Ki-83이 게임 등의 매체에 등장하자 특유의 얄쌍하게 쭉 빠진 동체 디자인 덕분인지 나름의 인지도를 얻는 중이다. 존재감이 전무한 다른 도면이나 시제기로 끝난 기체들보다는 상황이 양호한 편이다.

2.1. 파생형[편집]


Ki-83의 파생형은 2종이 있으며 모두 실제 제작되지는 못했다.

  • Ki-95
Ki-46과 유사한 장거리 고속 정찰기형이다.
  • Ki-103
Ki-83의 개량형으로 자세한 사항은 불명이다.

2.2. 제원[편집]


Ki-83
승무원
2명
전장
12.5 m
전폭
15.5 m
전고
4.6 m
익면적
33.5 m2
공허중량
5,980 kg
만재중량
8,795 kg
최대이륙중량
9,430 kg
익면하중
263 kg/m2
엔진
미쓰비시 Ha-43Ru(Ha-211)[3] 18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최대출력
상승 2,200hp (1,600 kW)
1,000 m에서 2,070hp (1,544 kW)
6,400 m에서 1,930hp (1,439 kW)
9,500 m에서 1,720hp (1,283 kW)
프로펠러
4엽 정속 프로펠러
최고속도
5,000 m에서 655 km/h
7,000 m에서 762 km/h[4]
9,000 m에서 704.5 km/h
순항속도
4,000 m에서 450 km/h
항속거리
1,953 km
편도순항거리
3,500 km
순항속도
4,000 m에서 450 km/h
상승한도
12,660 m
상승력
10,000 m까지 10분
추중비
0.35 kW/kg
무장
30 mm Ho-155 기관포 2문
20 mm Ho-5 기관포 2문

3. 미디어에서의 등장[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ki-83.png
Ki-83
  • 워 썬더에서 일본 중전투기 트리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4랭크에 BR은 6.0이다. 전 단계의 J5N1과 유사한 무장 구성에 고출력 엔진을 탑재해 뛰어난 가속력과 상승력을 자랑하고 에너지 보존률과 한계속이 뛰어나 일부 단발 전투기들과의 기동전에서도 우위를 점할 정도로 기동성이 뛰어나다. 엔진 발열이 심하고 수리비가 비싸며 트리의 마지막 기체라 뒤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 흠이다.
  • KARDS일본 전투기로 등장한다.
파일:NEO_KI83.png

4. 모형화[편집]


실전 배치되지 못한 대전 후반기 기체들이 대부분 그렇듯이 인지도는 매우 낮지만 Ki-83의 경우 얇고 쭉 뻗은 동체 덕분인지 모형이 좀 출시된 편이다. 당연하지만 대부분 개라지 킷이며 원하는 스케일을 고르는 사치를 부릴 만한 수준은 아니다. 해외에는 스크래치 빌드로 1/48 스케일 Ki-83 모형을 만들어 낸 사람도 있다.#

  • 1/72
    • KPL Models
1970년대 제품이다.
  • Vac Wings
1994년 제품이다.
  • Mechadoll
1990년대 제품이다.
  • MPM Production
2000년 출시된 제품으로, 이 제품의 재포장판인 스페셜하비 제품과 함께 1/72 스케일에서는 유일한 인젝션 킷이다.
  • 스페셜하비
2007년 MPM Productions 제품을 재포장 발매했다.
  • LF Models
2000년대 제품이다.
  • Eagles Talon
  • Wings Models, Inc.

  • 1/144
    • A&W
2013년 발매된 제품이다.

5.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2:36:38에 나무위키 Ki-8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종전 후 미군의 시험 비행 중 찍은 사진이라 미 육군 항공대의 도장이 칠해져 있다.[2] 정확한 옥탄가와 매니폴드압은 불명이다. 미군에 의해 테스트된 다른 일본군 기체들의 사례를 보면 연합군 기체들 수준의 고옥탄가 연료는 아닐 것으로 추정된다.[3] 14기통인 킨세이를 바탕으로 18기통으로 확장한 엔진이다.[4] 전후 미 육군항공대의 실측 결과로, 일본 육군항공대가 상정한 Ki-83의 운용 조건과 다를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