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덤프버전 :

분류




LG CNS
파일:LG CNS 로고.svg
정식 명칭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업종명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
설립년도
1987년 1월 14일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71,
E13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
대표이사
현신균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1]
법인형태
외부감사법인
매출
4조 1,431억원 (2021) [2]
영업이익
3,286억원 (2021)
직원 수
6,175명 (2020)
링크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2.1. 2000년 이전
2.2. 2000년대
2.3. 2010년대
3. 역대 대표이사
4. 사업 분야
4.1. 공공
4.2. 금융
4.3. 데이터센터
4.4. 브랜드
5. 자회사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새만금 스마트 바이오파크’ 사업 철회
6.2. 매각 및 상장
6.3. 공채 전형 문자 해프닝
7. 여담



1. 개요[편집]



LG그룹 계열 IT서비스 업체로, 삼성 SDS, SK C&C와 더불어 시스템 통합(SI)업체 Big3로 불리며 특히 SW기업 매출 규모로 4위에 랭크되어있는 대기업이다.[3] 외국계와의 합작 기업 태생이라는 점이 특징이고, 여기에서 기인해 LG 계열사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기업 문화를 갖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CNS의 C는 Consulting, Communication, Connection, Collaboration, N은 Network, New, And, S는 Solution,System, Service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Consulting and Solutions으로 설명하고 있다.

2. 역사[편집]



2.1. 2000년 이전[편집]


1987년 럭키금성그룹과 미국 EDS[4]가 50:50 합작으로 STM[5]을 세웠다.

1989년 업계 최초로 기술연구소를 세웠다.

1992년 국내 최초로 정보기술센터를 준공했다.

1995년 LG-EDS시스템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96년 중국 베이징에 첫 해외사무소를 열었다.

1997년 인터넷 쇼핑몰 '트윈피아'를 열었다.

1999년 LG전자소프트OBU를 인수했다.


2.2. 2000년대[편집]


2000년 사내벤처 inno-I를 '넥서브'로 분사시켰다.

2001년 PDA 단말기 '모빌숍'을 출시했고 솔루션마트를 분사했다.

2001년 합작 계약이 종료된 후, 2002년 1월 현 사명인 LG CNS로 사명을 바꿨다.

2004년 자회사 V-ENS를 세웠다.

2007년 비즈테크앤엑티모와 유세스파트너스를 인수했다.


2.3. 2010년대[편집]


2010년 일본 SBI은행과 합작해 'SBI-LG시스템즈'를 세웠다.

2011년 코리아일레콤을 인수하고 이듬해 에버온을 세웠다.

2016년 원산스카이텍을 합병하고 에버온 등을 매각했다.

2018년 LG엔시스를 합병하고 세종그린파워를 인수했다.

3. 역대 대표이사[편집]


  • 김영태 (1987~1996)
  • 김범수 (1996~1999)
  • 오해진 (2000~2003)
  • 정병철 (2003~2006)
  • 신재철 (2006~2009)
  • 김대훈 (2010~2015)
  • 김영섭 (2015~2022)
  • 현신균 (2023~)


4. 사업 분야[편집]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외부 사업 규모도 굉장히 큰 편이다. 그 중에서도 공공/금융 분야 SI 사업에서 매출 및 점유율이 굉장히 높다.


4.1. 공공[편집]


시스템 통합 문서에도 설명되어있지만 SI사업은 보통 B2B 이기 때문에 LG CNS가 구현하고도 홍보가 잘 되지 않는 시스템들이 여럿 있는데 LG CNS가 수주받은 SI 사업중 가장 유명한 것은 아마 티머니 일것이다. 다만 이명박 시장이 급하게 밀어붙여 개통하느라 안정화에 실패해서 오픈 당일은 버스지하철을 무료로 타게 해주었다. 안정화가 끝난 이후 돈과 교통카드 하나만 있으면 탑승 및 환승 할 수 있는 시스템을 15년 이상 안정적으로 구축 및 운영중이며 이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콜롬비아와 말레이시아등 해외 수출에도 성공하였다.

각 버스 정류장에 탑재된 버스 도착 예정 시각 알림 시스템, 배차 간격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스마트 농장을 짓고 키운 농산물을 해외 수출하려 했으나, 농산물 가격 폭락 우려로 인한 농민들의 반발로 철회했다. 2023년 기준, 스마트 농장을 직접 구축하는 대신에 정부가 추진하는 '첨단 무인 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지능화 플랫폼 구축' 개발에 착수했다.#

  • 기타
한국철도공사 IRIS, 지방교육재정시스템 edufine, 전자여권 시스템##, 인천공항 통합정보시스템#


4.2. 금융[편집]


신한은행 차세대, 한국은행 차세대, BC카드 차세대, NH농협카드 차세대, 하나은행 차세대, 교보생명 차세대, 전북은행 시스템, 카카오뱅크 시스템 그리고 은행에서 쓰는 ATM기도 생산한 적이 있기 때문에 거기서도 간간이 이 회사 로고가 보인다.

금융 사업에서는 대한민국 금융업계 최초로 오픈소스로 카카오뱅크의 전산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현재도 카카오뱅크의 전산망은 LG CNS의 서버로 작동한다.# 카카오뱅크의 체크카드는 카카오뱅크 자체망이 아닌 KB국민카드를 통하여 운영하는데 KB국민카드의 전산 시스템도 LG CNS가 주사업자로 구축 하였다.# 이 사업 실적을 기반으로 토스뱅크 구축사업또한 LG CNS가 수주하여 개발을 진행중이다. #

카카오의 자회사인 카카오페이에 카드결제 시스템을 구현한 적이 있으나 카카오페이와는 계약이 만료되어, 2018년 12월에 서비스를 완전히 종료했다. #

SM사업에서도[6] 신한카드, KB카드, 기상청, 대법원 등 굵직한 기업 및 기관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4.3. 데이터센터[편집]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도 LG CNS에서 인프라 구축과 운영을 담당한다.[7] 금융/공공 SI, SM 사업에서 가장 큰 경쟁사인 삼성SDS가 모기업 삼성그룹 내부 사업에 집중하기로 하면서 외부 사업을 축소하고 SK C&C가 이 두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세인 틈을 타 한국 IT서비스업에서 굉장히 많은 점유율을 보유하게 되었다.

4차산업혁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AI, IoT의 인기로 관련부서 인력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있다. 앞으로 LG그룹 계열사 전체의 전산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이식할 것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4.4. 브랜드[편집]


2018년 8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고자 새로운 7대 브랜드를 론칭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 AI빅데이터 : DAP = Data Analytics & AI Platform
  • 스마트팩토리 : Factova = Factory + Value = 공장에 가치를 더하다.
  • ioT : INFioT = Infinite + ioT = 무한하게 확장 가능한 ioT 플랫폼
  • 스마트에너지 : Enerdict = Energy Predict = 에너지의 흐름을 예측하다.
  • 블록체인 : Monachain = Monalisa + block chain = 블록체인의 여왕
  • 로봇서비스 : Orott = Over the Robot Technology = 모자람 없이 온전한(OROT) 로봇 기술(Technology)
  • 스마트시티 : Cityhub = 도시의 중심에 통합 관제가 가능
  • 클라우드 : CloudXper = Cloud + expert = 클라우드 전문가처럼 통합관리해주는 플랫폼

더불어, LG CNS의 구독형 소프트웨어(SaaS) 전체를 SINGLEX로 런칭하여 사업중이다. (www.SINGLEX.com)

5. 자회사[편집]


해외 법인은 중국, 유럽,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브라질, 콜롬비아, 말레이시아에, 해외 지사는 그리스, 폴란드에 있다.
  • LG 엔시스 (전문 IT인프라솔루션 & 서비스): ATM 만드는 회사. 망 구축, 망 고도화, x86 서버, 유지보수 등등 담당하고 있다. 2012년 금융 부문은 CNS가 인수해서 2018년 1월에 완전히 흡수합병되었다.
  • MY LG ID
  • 비즈테크파트너스 -> 비즈테크아이 (중소기업 ERP 및 BI 전문컨설팅과 솔루션 개발)
  • 비즈테크파트너스 -> 비즈테크온 : BPO서비스 부분을 분사함 (Total BPO 서비스: 컨택센터, 전자거래, 전자문서, HR서비스)
  • 세종그린파워
  • 행복마루: LG CNS 사내 카페 브랜드. 시설 유지보수와 케이터링 서비스도 겸업하고 있다. 장애인 고용을 위해 설립한 자회사이다.
  • SBI-LG시스템즈 (일본 금융 IT서비스)
  • 코리아일레콤 (전장 시뮬레이션 솔루션): 2019년 이노시뮬레이션에 매각됨.
  • 에버온 (전기차 셰어링 및 관련 솔루션)
  • 원신스카이텍 (무인 헬기 Total 솔루션): 2016년 합병됨.
  • 티머니: 원래는 자회사였지만, 이후 서울시가 대거 증자하면서 2대 주주로 들어가 있다.
  • 오픈소스컨설팅
2016년 김영섭 사장 취임 후 구조조정을 진행하였고 2017년 12월에 엔시스의 ATM 사업(금융자동화사업부)을 에이텍에 매각[8] 했으며 에버온은 완전 매각 처리했다.

6.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6.1. 새만금 스마트 바이오파크’ 사업 철회[편집]


LG CNS는 전북 군산시 새만금 산업단지 안에 한국형 스마트팜 설비 및 솔루션 개발 연구개발(R&D)센터, 재배실증단지 등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스마트팜은 비료, 물, 토양 등 농업에 필요한 ‘인프라’를 원격 자동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춘 농장을 말한다. 하지만 농민들은 대기업의 진출로 인해 농산물 가격 폭락을 우려하며 반발했고 결국 사업을 철회했다.

6.2. 매각 및 상장[편집]


2019년 5월 12일, 문재인 정부 시절 공정거래위원회 김상조 위원장은 대기업 계열사 내부 거래를 매우 비판적인 관점으로 보았고 이를 뿌리 뽑겠다고 나섰다.# 해당 정책엔 오너 일가 지분이 높은 자회사를 규제하는 내용까지 담아 재벌그룹을 옥죄기 시작했다.

LG CNS는 대한민국 SW기업 매출규모 3위, 임직원수 2위의 대기업이지만, 네이버, 카카오, 삼성SDS, SKC&C, 넷마블, 엔씨소프트 등 비슷한 규모의 SW대기업들이 코스피 상장한 것과 다르게 2022년 1월 현재까지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되지 않은 기업이다. 그에 따라 오너 일가 지분이 높을 수 밖에 없는데 규제의 직격타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기업 SI 계열사들은 업무의 특성상 계열사 내부 업무 비중이 굉장히 큰 편이다. 사실 어쩔 수 없는것이 대기업 SI 계열사의 주된 존재 목적은 "그룹 내 전산화를 통한 사업 및 경영의 효율성 추구"인데 그로 인하여 업무상 그룹 내부 자료 및 사업의 방향을 알게 될 수 밖에 없다. 한국처럼 국내 산업에 전방위적으로 대기업 그룹이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전부 영위하는[9] 환경 특성상 경쟁 그룹의 SI 기업에게 수주를 주면 기밀 유출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는 그룹 전체의 영향력 및 경쟁력에도 영향을 끼친다.

2019년 5월 12일, LG가 LG CNS의 지분 일부를 매각 할지도 모른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2019년 5월 13일, LG는 지분 매각 기사에 대해 공식적으로 논의된 게 없다고 발표하였다.#

2019년 5월 13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삼성SDS 등 대기업 시스템통합(SI) 업체 50여 곳 대상으로 실태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

2019년 6월 21일 김상조 위원장은 6월 21일자로 공정위 위원장 직을 사임하고 대통령 비서실 정책실장으로 임명되었지만 후임으로 들어온 조성욱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도 동일한 정책을 유지할것으로 밝혀졌다.#

2019년 11월 7일, 맥쿼리에 지분 35%를 매각한다고 공식 발표했고, # 2020년 4월 말 매각됐다.사모펀드 문서에도 설명되어있지만 이런 사모펀드 투자자들은 기업의 지분을 인수하여 더 높은 값에 파는 것에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해당 기업의 사업적 영향력 및 가치를 키우는데 어쩌면 기업의 경영진들보다 열정적일 수 밖에 없고 그 대표적인 예로 OB맥주의 사례가 있다.#

6.3. 공채 전형 문자 해프닝[편집]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해당 문단 존치(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G CNS의 공채전형은 보통 1. 자기소개서 → 2. 인적성(SW직군은 코딩테스트로 대체하기도 함) → 3. 실무면접(팀장급) → 4. 인턴(없거나 면접과 순서가 바뀌기도 함) → 5. 최종면접(임원급) 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자소서를 제출할 때 가장 지원자가 많기 때문에 회사의 이미지 관리에 더욱 신경 쓰기 마련인데, 이를 조심스럽게 생각하지 못한 인사과 직원의 돌발행동으로 인한 해프닝이 발생하였다.

2019년 9월 17일, LG CNS는 자소서 마감을 하루 앞둔 이날 아직 자소서를 작성은 했지만 제출완료를 누르지 않은 모든 지원자들에게 확인 및 독려 문자를 보냈고 이는 통상적으로 전혀 문제 될 일이 아니었다. 다만, 문자 내용에 문제가 있었는데...

[안내] LG CNS 원서 접수는 18일(수) 18시에 마감되구요. 제출 후에도 수정 쌉가능! ㅎㅇㅌ :) 원문


대부분의 신입공채 지원자들이 20대인 점을 감안하여 인터넷 용어에 친숙할것이라고 판단, '가능'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자소서 마감을 독려하였는데 '' 이란 단어자체에는 단어 자체의 어감이 별로일지언정 욕설의 의미를 담고 있지는 않으나 단어 뜻을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 저속하고 욕설로 들릴 수도 있어 이 문자를 보내고 나서야 사태를 파악한 인사과 팀장이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여 문자 송신 3시간여가 지난 후 담당자가 지원자 분들께 친숙하게 다가가고자 썼던 표현이 오해가 있을 수 있어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며 이번 사건에 대한 사측의 공식 사과를 전달하였다.

에펨코리아, 루리웹, 디씨인사이드, 클리앙, 매일경제, 네이버뉴스 한국금융신문


6.4. 2022년 복지시스템 전산 오류 마비사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년 복지시스템 전산 오류 마비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여담[편집]


2011년부터 대기업의 공공SW사업 입찰이 제한되었지만 지금까지 대한민국 전자정부 시스템의 60퍼센트이상을 LG CNS가 구축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13:28:18에 나무위키 LG CN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LG그룹에서 매출이 3조가 넘는 기업중 유일하게 비상장이다. LG지주사가 주식의 85%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공정거래위원회의 자회사 일감 독점 규제에 놓이게 되어 사모펀드인 맥쿼리PE에 지분 35%를 매각하여 (주)LG가 지분의 50%, 맥쿼리PE가 35%를 소유하고있다. 사모펀드의 투자 특성상 향후 5년 전후로 상장할 확률이 매우 높다.[2] 2021년 현재 대한민국 SW기업 중 매출 4위이다. 1위는 삼성SDS, 2위는 네이버, 3위는 카카오[3] 출처 2021년 현재 SW개발을 주사업으로 하는 기업 중 매출 순위는 삼성SDS, 네이버, 다우데이타, LG CNS, 카카오, 넷마블, 현대오토에버, 엔씨소프트, NHN, 넥슨코리아, 네오플, 크래프톤 순서이다. 그러나 일반인들에겐 낮은 인지도를 갖고 있다. 사업이 B2B성이라 B2C인 다른 기업들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4] 2008년 휴렛팩커드에 매각되어 이듬해 'HP 엔터프라이즈 서비시스'로 변경했다가, 2017년 CSC와 함께 DXC 테크놀로지에 합병되었다. 1998~2001년까지 잉글랜드 프로축구팀 더비 카운티 스폰서도 맡았다.[5] System Technology Management의 준말이다.[6] 보통 IT서비스 업체의 매출에서 SM이 차지하는 비율은 적지 않다. 새로운 전산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SI사업의 수요도 많지만 이미 사용하고 있는 전산 시스템들도 유지보수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때 각 기업에서는 당연히도 시스템을 개발했던 해당 업체에 유지보수를 맡긴다.[7] 2021년 9월 퍼시픽써니 데이터센터가 용인시의 허가를 받고 공사에 들어갔다. 공사로 인한 피해 예상에 수지 죽전1동 주민들은 용인시에 책임을 묻고 나섰고 지방선거의 현안으로 떠올랐다.# 2022년 취임한 이상일 용인시장은 취임 직후 데이터센터 개발 사업 관련 행정감사를 지시했다.# 행정감사 결과 용인시는 공무원이 규정을 알지 못한 채 독단적으로 처리했기에 해당 공무원 신분상 조치를 인사위원회에 요구하였고# 사업자 쪽에 감사 지적 사항 개선 및 반대 민원 해소 방안을 주문해서 일단락 되었다.#[8] 매각되면서 사내 커뮤니티에 엄청난 반발이 있었는데, 대기업 계열사에서 중소기업으로 강등되기 때문이다.[9] 국책 사업 또한 삼성,SK,LG가 대부분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