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Like! 러브 라이브!/평가

덤프버전 :

파일:링라럽 로고 가로 투명.png>
Link! Like! 러브 라이브!]]| {{{#!wiki style="margin: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주요 기능
스쿨 아이돌 커넥트(목록) · 활동기록
스쿨 아이돌 스테이지
스테이지 · 수록곡 · 모집
등장인물 · 카드
카호 · 사야카 · 코즈에 · 츠즈리 · 루리노 · 메구미
기타
평가 · 이벤트
관련 문서
하나 둘에 하스노소라! · 4컷 만화



1. 개요
2. 얼리액세스 당시
3. 긍정적 평가
3.1. 철저한 설정과 압도적인 몰입감
4. 부정적 평가
4.1. 멀티태스킹 불가
4.2. 서양권 팬덤의 시차 문제


1. 개요[편집]



2. 얼리액세스 당시[편집]


서비스 시작 전에는 완전한 완성을 위한 개발 시간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이며,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우선 얼리액세스판을 낸다는 점에서 불안감이 있기도 했으나, 서비스 개시 후 멤버들의 생방송인 스쿨 아이돌 커넥트[1]와 스토리인 활동일지가 호평을 받으며 기대감을 키웠다. 다만 스토리를 다 보고 나면 생방송이 없는 날에는 할 수 있는 게 없어 방송 시청 앱과 다를 게 없었으며, 이 형태로 약 1개월 간 서비스되었다.

정식 릴리즈가 2023년 5월 20일로 정해졌지만, 20일을 30분 남길 때까지 연장 점검을 실시하고 그 후로도 연신 튕김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기도 했다.


3. 긍정적 평가[편집]


정식 릴리즈 후, 가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캐릭터 카드는 지금까지의 러브라이브 시리즈의 게임들 중 가장 품질이 높은 Live2D 연출로 호평을 받았으며, 게임은 지금까지 리듬 액션 게임을 주축으로 했던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게임과는 다른 장르를 시도하여 신선한 반응을 모았다. 다만 게임 내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이 전무[2]하다시피 하여 유저들이 직접 게임의 룰을 분석하여 공유하기도 했다. 개발사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후 튜토리얼을 추가하는 것으로 대응하였다. 일단 자동 플레이 기능이 있기 때문에 쉬운 난이도라면 이를 사용하여 클리어하는 것에 큰 무리는 없는 편.

가챠 관련으로는 천장이 300이라 스쿠페스 시리즈보다 높아 불만이 있었지만 1트럭(=1만엔 팩)으로 6.6회[일반], 9회(월 3회 한정) 10연차를 돌릴 수 있어서, 스쿠페스2의 1트럭이 3.3회[일반], 4.3회(월 2회 한정) 10연차를 돌릴 수 있고 천장이 250이라 천장을 치는 비용으로 치면 한정 패키지 상품 제외 기준 링크라 4만 6천엔, 스쿠페스2 7만 5천엔로 2/3 수준에[3], 가챠 포인트가 같은 시즌[4] 안에서는 이월되는 사양이라 과금 부담이 스쿠페스2보다는 적다는 평가다.

각 레어리티별 배출 확률은 UR 3%, SR 18%(이하 R)로 스쿠페스2에 비해 SR 배출 확률[5][6]이 낮지만, 카드의 속성별 깡 스탯이 중요한 스쿠페스에서는 카드가 쌓일 수록 UR에 비해 한참 스탯이 낮은 SR을 쓸 일이 없어지는 반면, 카드별로 코스트/특성이 존재해 다양한 스테이지 조건에 맞춰 SR 등급도 활용처가 많다는 점도 호의적으로 작용한다.

'365일 리얼타임'을 강조했기에 마치 실재하는 하스노소라 학원에서 진행되는 이야기를 보는 것과 같은 몰입감을 준다는 점이 장점이면서도, 한편으로는 가챠와 생방송 역시 스토리에 맞추어 진행되므로 가챠 시즌이나 생방송을 놓치면 해당 컨텐츠를 충분히[7] 즐기기가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방송은 중계가 끝나면 아카이브를 제공하며, 1주일 가량 후에는 유튜브 채널에도 올라오기 때문에 실시간 중계를 놓치더라도 즐기는 데는 지장이 없다.


3.1. 철저한 설정과 압도적인 몰입감[편집]


상술했듯이 '365일 리얼타임'을 강조하며 게임, 더 나아가서는 프로젝트 그 자체가 진행되기 때문에 모든 이야기가 계절에 맞게 진행된다. 또한 설정이 이미 구축되어 있고 캐스트들의 롤플레잉도 철저하게 준수하기 때문에 몰입감이 엄청난 수준이다.

역대 러브 라이브 시리즈 중에서도 몰입감은 최상위라는 평을 받는다. 과몰입을 하는 유저들의 수가 상당히 많으며, 일례로 활동을 개시하지 얼마 되지 않은 2023년 상반기부터 벌써 멤버들이 졸업하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슬퍼하던 팬들도 상당수 있었을 정도.[8] 이는 다른 러브 라이브 시리즈에서는 주매체(주로 애니메이션)에서 멤버들이 졸업을 하여도 애니메이션을 제외한 타 매체에서는 사자에상 시공을 적용해 멤버들이 계속해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는 반면, 하스노소라와 링크라만은 '리얼타임'을 강조하고 그렇게 강조한 만큼 철저한 리얼타임으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사자에상 시공을 적용받지 못하고 졸업시킨 뒤 활동을 중단하는 것이 아니냐는 두려움이다. 러브라이버들은 이미 비슷한 경험을 해본 적이 있기 때문에, 과거의 트라우마가 되살아나는 것 같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RP가 철저한 점은 초창기 버츄얼 유튜버들을 떠올리게 하며, 이러한 점은 인방에다 캐릭터 스킨만 덧씌운 듯한 쪽으로 흘러가던 최근 버튜버 업계에서 오히려 역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초창기 버츄얼 유튜버들(주로 코로나 유행 이전)의 활동 방식인 '전신 3D로 짧은 시간 안에, 철저한 RP를 하는 영상'을 하스노소라가 거의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공개된 기사에 따르면 하스노소라 프로젝트를 구상하기 시작한 것이 5년 전(2018년 경)이라고 하는데 구상을 하기 시작한 시기와 당시 유행하던 버튜버들의 활동 방식 또한 맞물린다.

예를 들면 2023년 10월 페스 라이브의 경우, 하스노소라 여학원의 문화제인 '린도제 공연'과 러브 라이브 지역예선의 2단 구성으로 치러졌는데 린도제 공연 후 잠깐 쉬는 텀에 앱에 린도제 후일담 공개, 그리고 잠시 후 지역예선 라이브, 라이브 후 또 후일담을 앱에 공개하는 식으로 모든 과정을 실시간으로 따라가는 느낌이 들도록 구성했다.

또한 철저하게 설정을 지키는 것은 비단 스쿠코네에만 적용되지 않고 링크라 전체에 해당된다. 한 마디로 앱 전체가 철저한 세계관 하에 굴러간다는 소리. 이하는 그 예시이다. 스토리 스포일러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니 열람 시 주의.

[ 스토리 최신화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 유기리 츠즈리스쿠스테 카드 중 멘탈을 회복시켜주는 치어리더 역할군의 카드가 단 1장도 없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멤버들은 초창기 담당 역할군에서 벗어난 다른 역할군의 카드도 받기 시작하였는데[1] 오직 츠즈리만은 치어리더 카드가 전혀 나오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 게임 정식 발매 약 7달 후인 2023년 11월에 스토리 13장이 공개되었는데, 해당 화에서 츠즈리의 멘탈이 불안정하고 외로움을 잘 타며, 이별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는 이유,[2] 더 나아가서는 그런 츠즈리가 왜 멘탈 회복 스킬을 가진 카드가 여태껏 단 1장도 없었는지가 완벽하게 설명되었다. 자세한 것은 여기 참고.
13화에서 서로의 속마음을 털어놓고 난 후 츠즈리가 트라우마를 극복하였고, 이윽고 개최된 103기 11월 Fes×LIVE에서 ツバサ・ラ・リベルテ가 공개됨과 동시에 해당 곡의 카드가 나왔는데, 드디어 츠즈리에게도 치어리더 카드가 생겼다. 심지어 그간 치어리더 카드를 못 받은 것에 대한 보상 차원인지는 몰라도 굉장한 성능의 사기 카드로 나오기까지 했다.
  • 2023년 12월에는 메인 스토리가 하스노소라 여학원 측이 내린 학교 내 인터넷 금지령을 중심으로 진행됐는데, 이에 맞춰 정말로 앱 내에서 스쿠코네 방송 예정을 띄우지 않고 있다. 방송 일정은 전날에 공식 X를 통해 공지하고, 멤버들이 스튜디오를 빌려서 방송을 한다는 것으로 설정하여 그간의 클럽 동호회실이나 기숙사방이 아닌 장소로 구성하는 치밀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방식은 운영진 입장에서도 귀찮을뿐더러, 어찌보면 비효율적일 수도 있지만 그만큼 운영 측이 효율보다도 실시간 전개를 중시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인터넷이 금지되었다는 설정이기 때문에 매 월말에 진행되는 Fes×LIVE를 진행하기 위해[3] 팬들이 데이터를 모아 멤버들에게 전달해준다는 컨셉으로 따로 이벤트까지 열었을 정도로 세계관을 철저하게 지킨다. 심지어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진행된 Fes×LIVE 마저도 시간을 줄여 데이터를 아끼기 위해 MC를 초고속으로 진행하였고, 종료 후 감사인사를 하는 도중에 방송이 뚝 끊겨[4] 팬들에게 웃음을 주었다.


4. 부정적 평가[편집]



4.1. 멀티태스킹 불가[편집]


스쿨 아이돌 커넥트의 경우, 멀티태스킹 지원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백그라운드 재생이나 PIP 기능 등을 지원하지 않고 스마트 기기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멀티 윈도우 기능도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링크라가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기기 한 대만으로는 방송 시청 중에 인앱 채팅, 혹은 기프트 전달 이외의 다른 작업을 하기 어렵다. 방송 중에 SNS나 인터넷 사이트 등지에서 바이럴을 늘리는데 실시간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앞에 앉아 스마트 기기로 링크라를 실행해 시청하면서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스마트 기기 2대를 두고 시청해야 하는 것. 이는 버추얼 요소를 접목해 런칭한 러브 라이브! 하스노소라 여학원 스쿨 아이돌 클럽의 성격을 생각하면 작지 않은 패널티일 수 있다. 개발사에서도 이 문제를 인지했는지 유저 대상 앙케이트에서 PC판 필요성에 대해 묻기도 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페스 라이브는 앱보다 더 접근성이 좋은 식 유튜브를 통해 동시송출하고, 스쿠코네 방송 아카이브 역시 유튜브에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완벽하진 않더라도 나름의 보완책을 보이고 있다.


4.2. 서양권 팬덤의 시차 문제[편집]


서양권 팬덤에서는 시차에 관한 불만도 존재한다. 스쿨 아이돌 커넥트에서 방송되는 위드미츠나 페스라이브는 대부분 한국&일본 시간 기준 저녁 8시 반, 혹은 9시에 진행되는데,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서양권 팬덤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미국, 캐나다, 멕시코의 경우, 시차 때문에 대부분의 방송이 새벽 3시[9]에서 아침 6시[10] 사이에 송출된다. 이 때문에 라이브 방송을 즐기기가 어렵다는 것. 물론 다른 러브 라이브 시리즈의 라이브 방송(니코나마 등)도 거의 대부분이 한국 시간 기준 저녁에 방영되었지만, 스쿠코네는 그 빈도가 매우 잦아 매번 실시간으로 참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주요 불만 사항이다. 유럽에서는 대체적으로 늦은 아침이나 낮에 진행되어 그 불만도가 미국에 비하면 낮다. 남미는 시차가 딱 12시간이여서 아침 7, 8시이기에 여기에 거주하는 팬들도 유럽과 같이 사정이 나은 편이다. 아프리카 지역 팬들의 경우는 불명.

[1] 모션 데이터를 직접 송출하여 시점 변경 등이 가능하며, 펜라이트 사용을 할 수 있는 등의 신선한 시도에 대한 반응이 좋았다.[2] 간단한 안내문 정도는 찾아볼 수 있지만, 게임 방법을 가르쳐 주는 단계나 상세한 설명문이 별도로 없었다.[일반] A B [3] 패키지로 비교하면 훨씬 저렴하다.[4] 스프링, 섬머, 어텀, 윈터로 연 4회 바뀐다.[5] 27%[6] UR은 3%로 같다.[7] 캐릭터 카드는 일부 복각 등이 있지만, 방송 참여 보너스나 스토리 감상 보너스는 한 번 놓치면 받을 수가 없다.[8] 2024년 3월에 졸업 예정인 101기 멤버가 팬덤의 엄청난 애정을 받고 있기에 이는 주역 6인방(102기, 103기)을 제외하고도 적용되는 문제이다.[9] 미서부(로스앤젤레스, 시애틀 등)[10] 미동부(뉴욕시, 애틀랜타 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1-04 17:20:17에 나무위키 Link! Like! 러브 라이브!/평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