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KO

덤프버전 :

파일:MEKO 200.jpg
파일:1200px-Turgutreis_F241_Diego_Quevedo_Carmona.jpg

1. 개요
2. 상세
3. 형식
3.1. MEKO 360
3.2. MEKO 140
3.3. MEKO 200
3.4. MEKO 100
3.5. MEKO A200
3.6. MEKO A100
3.7. MEKO A300
4. 수출
4.1. 나이지리아
4.2. 아르헨티나
4.3. 튀르키예
4.4. 포르투갈
4.5. 그리스
4.6. 호주 & 뉴질랜드
4.7. 말레이시아
4.8. 폴란드
4.9. 남아프리카 공화국
4.10. 알제리
4.11. 이집트
4.12. 브라질
5.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독일의 블룸+포스 조선소에서 만든 호위함. 현재는 독일의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에서 판매, 생산하고 있다.


2. 상세[편집]


MEKO는 독일어로 Mehrzweck-Kombination의 약자로, 다목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표준화와 모듈화 덕분에 무장과 전자시스템, 추진기관 등을 구매국의 요구에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때문에 운용하는 나라마다 세부적인 무장이나 센서가 각기 다르다.

건조비가 절감되고 도입 이후에도 필요한 부분만 교체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MEKO 200 시리즈가 대표적이지만 다양한 형식이 있다. MEKO란 건조 방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초기 모델인 MEKO 360H 계열, 초계함급인 MEKO A100 계열, 3000톤급 호위함급인 MEKO A200 계열 등 다양한 형식이 있다. 이 외에도 현대 독일 해군의 주력함인 브란덴부르크급, 작센급, 바덴-뷔르템베르크급, 브라운슈바이크급도 MEKO 시리즈에 속한다.

세계적으로 최소 17개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61척 이상이 건조 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앤잭급 호위함도 이 함급이며, 튀르키예, 그리스, 포르투갈 등에서도 여러 척이 운용 중이다.

MEKO의 설계 기법은 대한민국의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의 설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3. 형식[편집]



3.1. MEKO 360[편집]


약 3,000톤급의 전투함 설계이다. 도입 국가에 따라 호위함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구축함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현대의 군함 분류 추세상으로 보면 호위함 정도의 규모이다.

3.2. MEKO 140[편집]


1,700톤급 전투함 설계. 유일한 도입국인 아르헨티나가 초계함으로 분류했고 현대 기준으로도 초계함 수준이지만, MEKO 140이 나타난 1980년대에는 업체에서 호위함으로 분류되었다.

주앙 쿠티뉴급 초계함데스쿠비에타급 초계함의 설계에 어느정도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MEKO를 처음 만든 블룸+포스 조선소가 해당 함들의 건조나 설계에도 참여했던 이력이 있기 때문이다.


3.3. MEKO 200[편집]


약 3,000톤급의 호위함 설계.


3.4. MEKO 100[편집]


약 2,000톤급의 초계함 설계.


3.5. MEKO A200[편집]


약 3,000톤급의 호위함 설계. MEKO A200부터 후대의 MEKO 시리즈에는 'A'가 붙는다. MEKO A200과 그 이후의 MEKO 시리즈에는 현대적 스텔스 설계가 적용되어 이전의 MEKO 시리즈와 외형상 확연히 구별된다.

3.6. MEKO A100[편집]


약 2,000톤급의 초계함 설계. MEKO A100의 기본 설계는 경무장한 초계함이지만, 모듈식 설계 특성상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라 VLS를 포함한 다양한 무장을 탑재할 수 있다.

3.7. MEKO A300[편집]


약 5,000톤급의 호위함 설계. 업체가 제시하는 MEKO A300 표준 설계 기준으로 보면 VLS 최대 64셀, 대함 미사일 16발, CIWS 4기에 레이저 무기까지 탑재된 엄청난 과무장을 자랑한다. 물론 저 무장은 어디까지나 최대치의 영역이고 고객이 원한다면 무장 탑재량을 줄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현재까지 도입 국가는 없다. 그리스와 폴란드의 차기 주력함 사업에 도전했었으나 각각 아미랄 로나크급 호위함31형 호위함에 밀려 탈락했다.

4. 수출[편집]



4.1. 나이지리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라두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시리즈를 처음으로 도입한 국가이다. MEKO 360 설계 기반 호위함 1척을 도입했다.

4.2. 아르헨티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알미란테 브라운급 구축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에스포라급 초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360 설계 기반 구축함 4척과 MEKO 140 설계 기반 초계함 6척을 도입했다.


4.3. 튀르키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야부즈급 호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바르바로스급 호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200 호위함 4척을 도입했고, 추후 4척의 발전형 MEKO 200을 추가 도입했다.


4.4. 포르투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바스코 다 가마급 호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200 호위함 3척을 도입했다.


4.5. 그리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히드라급 호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200 호위함 4척을 도입했다.


4.6. 호주 & 뉴질랜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앤잭급 호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호주군뉴질랜드군이 공동 사업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호주는 8척, 뉴질랜드는 2척의 MEKO 200 호위함을 도입했다.


4.7. 말레이시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케다급 원양초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100 설계 기반의 초계함 6척을 도입했다.[1]


4.8. 폴란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가브론급 초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A100 설계 기반의 초계함 1척을 도입했다.


4.9. 남아프리카 공화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밸러급 호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A200 호위함 4척을 도입했다.


4.10. 알제리[편집]


MEKO A200 호위함 2척을 도입했다.


4.11. 이집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알 아지즈급 호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A200 호위함 4척을 도입했다. 1척은 이집트에서 라이선스 생산한다.


4.12. 브라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타만다레급 호위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EKO A100 설계 기반의 호위함 4척을 도입했다. 타만다레급은 전부 브라질에서 라이선스 생산한다.


5. 관련 항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1:33:31에 나무위키 MEKO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초 최대 27척을 도입하겠다는 계획이었으나 사업이 축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