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ZL P.37

덤프버전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ill-p_37-naljava69.jpg
PZL.37 Łoś

1. 개요
2. 제원
3. 마무리 작업의 지연
4. 실전에서
5. 파생형
6. 미디어




1. 개요[편집]


폴란드의 국영 항공기 생산업체인 PZL(Państwowe Zakłady Lotnicze : 국립 항공기 공장)에서 전간기에 만들어낸 중형 폭격기 PZL P.37은 폴란드어말코손바닥사슴을 뜻하는 워시(Łoś)라는 애칭으로 불렸으나 PZL 37이라는 약칭으로도 불렸다. PZL 개발진들은 지상 공격기정찰기를 겸하는 PZL 23 카라시를 공개한 직후인 1934년에 신형 쌍발 폭격기 제작에 착수했다. 그 무렵 최첨단 스타일인 전금속제 구조에 저익 단엽기에다 인입식 착륙장치까지 갖춘 P.37은 당시의 기준으로는 충분히 현대적이었다. 이 설계안은 다른 동급의 쌍발 폭격기에 비하면 컴팩트하게 정리되어 있었던 탓에 스탭들의 예상에 따르면 빠르고 기동성이 좋은데다 폭탄 탑재량도 많을 것이었다. 원형기는 1934년부터 PZL의 개발주임인 예지 돔브롭스키가 설계와 제작이 책임지고 시작되어 대략 2년 후인 1936년 6월 30일에 첫 비행에 성공했다.

시험 비행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었고 시제기에 흔히 나타나는 원인불명의 결점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에 만족한 폴란드 정부는 이 기체의 양산을 결정하고 1938년부터 일선 공군 부대에 배치를 시작했다. 첫 번째 양산형의 엔진은 이륙출력 873마력의 브리스톨 페가수스 VII 엔진을 달고 한 장의 수직 미익을 지니고 있었지만, 초기 운용 도중에 횡방향의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드러나 나중에 쌍수직 미익 사양으로 개조를 받게 된다.


2. 제원[편집]


초도비행 : 1936년 6월 30일
승무원 : 3명
전장 : 12.92 m / 전폭 : 17.93 m / 전고 : 5.08 m / 익면적 : 53.5 m2
중량 : 8,560 kg
동력 : 브리스톨 페가수스 20 공랭식 14기통 엔진(925 hp) 2기
최대속도 : 445 km/h
상승한도 : 6,000 m
항속거리 : 1,500 km
무장 : 7.7mm 기관총 3정(기수 / 동체 상부 / 동체 하부) / 폭탄 2,580 kg
생산수 : 120대
설계 : 예지 돔브롭스키


3. 마무리 작업의 지연[편집]


1938년 말에는 출력이 925마력으로 증강된 브리스톨 페가수스 XX 엔진으로 동력계가 보강되어 생산에 들어갔다.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하기 직전에, 닥쳐오는 전운을 감지한 폴란드 공군은 장비 현대화 계획을 서둘러 추진하고 있었다. 항공기 증산과 전술 연구, 개발이 계속되던 이 시기에 현지 부대와 군사령부 사이에는 폭격기 부대의 용병술에 관해 의견 차이가 컸던 탓에 P.37의 생산 사양은 제대로 정해지지 못한 채 표류하며 시간을 낭비했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1939년 9월에 독일폴란드 침공을 감행하는 시점에서 P.37의 최신 개량형들은 간신히 프로토타입을 완성해 막 테스트를 받고 있는 단계였다. 폴란드 공군은 P.37 같은 강력한 신예 폭격기는 한 줌만 보유하고 있었고 주력 폭격기로는 여전히 구식인 LWS-3과 LWS-4 같은 낡은 기체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워시는 1939년 개전 당시 폴란드 공군의 폭격기 중에서는 가장 현대적인 기체였다. 하지만 폴란드가 항복할 때까지 완성된 기체는 전부 합쳐도 100대 남짓했고, 독일군이 국경을 넘었을 때 일선 폭격기 부대에는 4개 비행대에 36대밖에 준비되지 못했다. 그 외에도 초기형 30대가 훈련 부대에 있었는데, 이 기체들도 독일군에 맞서 싸우는 동안 10대가 보충을 위해 일선 부대로 돌려졌지만 그 숫자는 너무 적어서 물밀듯이 밀려오는 독일 육군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주는데는 실패했다. 전쟁 동안에도 PZL은 본사 공장뿐만 아니라 얼마전에 새로 지은 공장에서 P.37의 생산에 계속 박차를 가하고 있었다.


4. 실전에서[편집]


전투에 투입된 P.37은 기본적인 비행성능은 독일제 폭격기에 못지 않을 정도로 뛰어났고, 특유의 큰 무장 탑재량을 잘 활용하면 침략군에게 꽤 심각한 타격을 입힐 수 있었다. 그러나 원래 거점 공습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폭격기인데다, 방탄 설비가 없는 기체여서 줄지어 진격해오는 독일 지상군을 공격하는 용도로는 알맞지 않았다. 사실 이런 임무에는 지상에 낮게 날며 기총소사를 퍼부을 수 있는 공격기가 더 효과적이었지만 저고도에서 폭탄을 떨구는 P.37은 대공포화에 의해 많은 피해를 입었다. 게다가 주력 부대를 앞질러 달려나간 독일 기갑부대가 폴란드의 전선 비행장들을 차례차례 점령해버리자 출격과 작전 행동에도 큰 제약이 따르게 되었다.

얼마 후 빈사 상태에 빠진 폴란드를 뜯어먹기 위해 소련군도 침공을 시작했고, 개전에서 약 보름 후에 9월 17일, 폴란드 공군은 결국 조직적인 저항을 포기하고 사령부는 우방국인 루마니아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된다. 이때 P.37 폭격기 27대가 루마니아로 탈출했는데, 이 기체들은 루마니아 공군에게 넘어가 2개 폭격비행대대를 새로 편성하여 대소련전에 투입되었다.

P.37은 우수한 성능으로 인하여 수출 전망도 서 있었고 불가리아터키,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같은 외국에서 수입을 타진하기도 했다. 그리하여 C형과 D형 같은 수출용 형식도 만들어졌지만 폴란드가 함락되면서 더 이상의 개발과 생산은 중지되었다.


5. 파생형[편집]


PZL.37/I:프로토타입 1호기
PZL.37/II:원형 1호기를 쌍수직미익 타입으로 개조한 타입으로, 시리얼 넘버 72.1은 유지됨,
PZL.37/III:프랑스제 놈-론(Gnome-Rhone) 엔진으로 교체한 수출형의 원형기.
PZL.37A:초기 생산형으로 페가수스 VIIB 엔진을 탑재하고 한 장의 수직미익을 갖췄으며 10대만 생산됨,
PZL.37A bis:1차 개량형으로 페가수스 XII 엔진으로 강화하고 쌍수직 미익을 도입하여 19대만 생산됨.
PZL.37B:주력 생산형으로 페가수스 XX 엔진을 얹고 1차 생산분 50대, 2차 생산분 45대 출고됨.
PZL.37C:불가리아와 유고슬라비아 수출형으로 놈-론 14N01 엔진을 장비하고 독일이 침공하기 전까지 생산됨.
PZL.37D:터키와 루마니아 수출형으로 놈-론 14N21 엔진을 장비하고 독일이 침공하기 전까지 생산됨.
PZL.49 미시(Miś) : 새로운 인입식 총탑을 장비하는 등 설계를 세련되게 다듬어내고 엔진도 브리스톨 허큘리스로 강화한 발전형이지만, 2차 대전 발발로 인해 개발 중지.


6. 미디어[편집]


  • 스틸 디비전 2 - 1944년 중순 시점 루마니아군 폭격기로 다수 등장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22:02:39에 나무위키 PZL P.3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