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임의 삭제는 제재 대상으로, 문서를 삭제하려면 삭제 토론을 진행해야 합니다. 문서 보기문서 이동문서 삭제토론 나무위키 (문단 편집) == 기타 == * [[:파일:namuwiki_n2.jpg|사이트 초기 운영진 중 한 명인 ztirf의 답변]]에 따르면 [[나무]]의 열매가 맺히는 것처럼 지식이 맺히는 이미지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 [[2015년]] [[4월 17일]] 10시 00분 48초 개설자에 의해 [[나무위키:대문]]의 첫 편집이 이루어졌으며 [[2015년]] [[4월 18일]] 00시 55분 37초 [[음차]] 문서를 시작으로 일반 사용자들의 편집이 시작되었다. 사족으로 [[나무위키:대문]] 문서는 원래 [[FrontPage]] 문서였지만 네임스페이스가 적용되면서 이동하게 되었다. * [[2016년]] [[5월 7일]] 08:00([[PYT]])에 [[namu]]로부터 [[파라과이]]의 유한책임회사 [[umanle S.R.L.]]로 운영권이 넘어갔다. * [[CC]] BY-SA인 [[위키백과]]나 [[리브레 위키]]의 내용은 CC BY-NC-SA인 나무위키로 퍼 올 수 없으며, 반대로 나무위키의 문서를 위키백과나 리브레 위키로 퍼갈 수도 없다. * 외국에 있는 서버치곤 [[핑]] 속도가 빠른 이유는 [[Cloudflare]]이라는 [[CDN]] 업체의 서비스인 엔터프라이즈 플랜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https://board.namu.wiki/notice/1196242|#]] * 게시판은 사이트 관련 건의 사항에 대한 글을 쓰는 건의 게시판, 사이트와 관련해서 궁금한 점을 묻는 문의 게시판, 반달 및 허튼 글[* 뻘글의 맞춤법 적용] 신고를 위한 신고 게시판으로 나누어져 있다. 하지만 일부 유저들이 이를 눈여겨보지 않고 신고 게시판에 올려야 하는 게시물을 건의 게시판 또는 문의 게시판에 올리거나, 그 반대의 행위를 하는 경우가 있다. 게시판의 용도에 따라 맞는 글을 쓰지 않으면 정리가 되지 않아 일 처리가 지연될 수 있으니 게시판의 용도를 잘 확인하고 게시물을 올리도록 하는 게 좋다. * [[인터넷 익스플로러]] 10 이하 버전에서는 레이아웃이 깨지고 검색이 안 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IE11 미만의 구버전들이 [[HTML5]]와 [[jQuery]] 2.x 이상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거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을뿐더러, '''이미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공식 지원이 종료된 지 꽤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만약 궁금하다면 F12를 눌러서 개발자 도구 창을 띄우고 에뮬레이션 탭으로 가보자. 거기서 문서 모드를 8로 바꾸면 화면이 깨져 보일 것이다. 따라서 나무위키 이용 시에는 [[웹 표준]]을 준수하는 IE 최신 버전이나 [[Chrome|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파이어폭스]] 등의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한다. [[Windows XP]]는 IE8까지만 지원하므로 크롬이나 파이어폭스 등의 브라우저로 접속을 해야 한다. Windows XP 환경에서 갑자기 접속이 안 될 경우 SSL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으니 [[http://no-ssl.namu.wiki]]로 접속해 보자.[* 다만 이것은 현재 작동 안 한다.] 대부분 해결된다. 가급적이면 [[Windows 7]] 이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좋다. 그래도 2015년 8월 들어서는 IE8에서도 아래와 같이 꽤 그럴듯하게 출력된다. '''그러나 2019년 12월 들어서는 IE9 환경과 IE10 환경에서조차 레이아웃이 깨지고 검색 기능이 먹통이 된다.''' 9월 업데이트 이후에는 IE11에서도 문서 버전 비교 기능이 먹히지 않는 등 IE가 점점 배제되는 상황이다. 나무위키에서 위키질을 하고 싶다면 크로뮴 엣지 브라우저[* EdgeHTML을 사용하는 기존 엣지 브라우저는 IE11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으며 2020년 1월 15일 정식 크로뮴 버전으로 대체되었다.]나 구글 크롬, 파이어폭스로 갈아타야 한다. [[파일:namuwiki_s2.png]] * 페이지 하단부에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라는 문구가 있다.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논란]]을 의식한 것. 개설 당시의 문구는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전적으로 기여자에게 있습니다.'''였으나 오해의 소지가 있어 변경되었다. [anchor(나무는_러브라이버)] * [[2015년]] [[5월 24일]] 확인, 나무위키에 자동 로그인을 하지 않고 로그인을 할 시, [[러브 라이브!|lovelive]]라는 쿠키가 추가된다. IRC에서 나무위키 개설에 대한 의견을 받던 시절에 관리자가 리그베다 위키 사진 테스트 때 러브 라이브 문서를 가지고 와서 제대로 보이는지 테스트해달라고 했던 걸 보면 노린 게 확실하다. * [[2015년]] [[5월 24일]] 확인. 자동 로그인을 하고 쿠키 목록을 보면 [[코사카 호노카|honoka]]라는 쿠키가 있다는 게 확인되었다. * [[2015년]] [[6월 13일]] 확인. 나무위키 메타 태그 중 어떤 프로그램으로 생성되었는지 나타내는 generator 태그가 [[the seed]]인 게 확인되었다. * [[2015년]] [[10월 9일]] 확인. [[https://ycqtbzuhwvpgfqpk.onion.to/|나무위키 DB 덤프 사이트의 루트 폴더]]를 들어가면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lovelive!]] 라는 글을 올려놨다. 이쯤 되면 [[러브라이버|완전히 확인사살]].. * [[2015년]] [[10월 19일]] 확인, 나무위키의 선거를 진행할 때 쓰인 https://namu.wiki/vote/? 주소에서 4번, 5번 투표에 가면 [[러브 라이브!]] 투표 항목이 뜬다. [[https://namu.wiki/vote/4|1]] [[https://namu.wiki/vote/5|2]] * [[2015년]] [[11월 9일]] 확인, 나무위키의 HTML에 [[센카와 치히로|senkawa]]라는 클래스가 있다. * 누군가가 [[나무위키 미러]]라는 본관의 미러 버전을 만들기도 했다. 광고가 달렸지만 비영리를 추구한다. 수익에 대한 정보는 위쪽 광고 아래 "본 광고는 영리 목적이 아닙니다."라는 문구 옆에 있는 "광고 정보"를 클릭하면 더 자세히 나온다. [[https://namu.mirror.wiki/wiki/%ED%8A%B9%EC%88%98:%ED%86%B5%EA%B3%84|광고 정보]] * 혹시 나무위키의 gTLD인 .wiki는 .travel, .insurance 등과 함께 2008년 이후 신규 생성된 [[도메인#s-2.1|new gTLD 도메인]]으로, 한국 도메인 등록 대행업체를 통하면 1년 이용료 3~4만 원에 등록이 가능하다. * 보컬로이드 [[시유(VOCALOID)|시유]]가 부른 [[https://youtu.be/_fbxHm9eVYI|나무위키 비공식 노래]]도 있다. * 나무위키를 포함한 대부분의 위키는 '''회원가입은 자유지만 탈퇴는 불가능하다.''' CCL의 저작권자 표시 규약(BY) 때문. 다만 이는 문제의 소지가 있다. CCL에서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한다고 쓰여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가 표시된 것과 저작권자가 탈퇴하는 것은 완전히 별개다!''' 저작권자가 탈퇴할 경우 저작권자가 본인이 저작권자임을 증명할 수가 없지만, 저작권 표시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저작권자 표시를 이유로 탈퇴가 안 된다는 사이트들은 보통 멀쩡히 탈퇴가 되는 사이트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블로그 등의 이용자 또한 CCL로 글을 한 번이라도 썼다면 탈퇴가 불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실명으로 자신의 작품에 CCL을 건 사람은 저작권자 표시를 위해 죽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 왜 회원 탈퇴 기능이 없느냐, 탈퇴 기능 만들어 달라 등의 의견이 꾸준히 올라오지만, 위키백과를 비롯한 거의 모든 위키 사이트는 회원 탈퇴 기능이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개인 정보를 지우고 탈퇴해 달라고 소송이 걸리면 질 수밖에 없는 부분이나 그렇게까지 하는 사람이 없다 보니 넘어가는 것이다. * 만약 나무위키에 로그인하지 않고 자신이나 타인의 기여 목록을 확인하고 싶다면 로그인 사용자는 {{{#ff5e00 https://namu.wiki/contribution/author/(기여자 이름)/document}}}를, 아이피 사용자는 {{{#ff5e00 https://namu.wiki/contribution/ip/([[IP 주소]])/document}}}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된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서 참가자 서명을 할 때나 특정 반달을 신고할 때 증거 자료를 제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알아둘 경우 꽤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그러나 1월 초반쯤에 [[사용자 문서]]가 생겨 그걸로 서명 등이 대체되는 추세다. * 모바일 글자 크기가 작다는 불만이 계속 제기되는데, 나무위키의 [[https://namu.wiki/settings|스킨 설정]]에서 글자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안드로이드면 기본 브라우저나 구글 크롬에 글자 크기 조정 옵션이 있다. 해당 앱 설정에 들어가서 확인해 보자. * 덤프 파일을 이용해 오프라인에서 위키 열람을 할 수 있다. 자세한 건 [[나무위키 MDict]] 문서 참고. * [[리그베다 위키]]에 있는 '[[나무위키]]' 문서의 역사를 보면 [[2013년]]부터 이미 대한민국에 '나무위키'라는 동명의 웹사이트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무위키는 2013년 3월 1일에 만들어진 한국어 위키다. http://namuwiki.bl.ee/wiki/ 위 링크로 접속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 있다. 혹시나 들어가려는 위키러들을 위해 설명해 두 자면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웹사이트다. 호스팅어에서 받는 [[웹호스팅]]이었던 듯하다. * [[2015년]] [[10월 10일]] 새벽에 새로운 스킨이 적용되었다. 각주가 위키백과처럼 렌더링 되고 최근 변경 및 토론 기록이 페이지 우측에 배치되는 등 기존의 스킨에서 여러 의미로 달라졌다. 모바일에서는 새 스킨이 더 좋은 듯. 하지만 PC에서는 불편해졌다. 각주가 화면 밖으로 나오는 문제는 모바일, PC 양쪽 다 있는 듯하다. * 지상파 뉴스에 진출했다. [[조카몬]] 참고. * [[채널A|케이블 뉴스]]에도 진출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관련된 내용으로 등장. * [[그것이 알고싶다]]에도 진출했다. [[101경비단]] 참고. * 나무위키에 lazyload, 즉 화면에서 보이는 범위만 이미지를 로드하는 jquery 스크립트가 적용되면서 이미지를 불러올 때, 약간의 지연이 생기게 되었다. 이는 후에 패치되어 [[https://namu.wiki/settings|설정]]>위키 탭의 '이미지' 란에서 설정할 수 있게 바뀌었다. 기본값은 비활성화. 모바일 유저라면 필히 켜두도록 하자. * 사용자 지정 아바타 시스템, [[Gravatar]]가 추가되었다. 즉, 이제 로그인 시 상단에 보이는 이미지를 변경하여 프로필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자세한 적용법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자. *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5.0 이상 버전, 또는 크롬 49 이후의 안드로이드 4.1 이상 버전에서 밝은 화면으로 접속 시 휴대폰의 상단 바와 나무위키 자체 상단 바까지 초록색으로 변하고, [[나무위키:어두운 화면|어두운 화면]]에서는 휴대폰 자체 상단 바와 나무위키 자체 상단 바가 어두운색으로 변한다. [[파일:비교2.png|width=500]] [[라이트닝]]에서는 설정 - 일반 설정 - 색상 모드 사용을 통해 색상을 바꾸도록 할 수 있지만, 그 색상은 파비콘의 색상으로 나온다. * 나무위키의 설립 날짜는 2015년 4월이기 때문에 2015년 1월 1일 첫 수정 문서는 기록되지 않았다. [[2016년]]부터 기록되었으며, 새해의 첫 수정 문서는 첫 번째로 [[사이버펑크 2077]]이, 두 번째로는 [[항공사고수사대]]가 되었다. * 이 문서는 '''나무위키 자체에서 단독으로 작성된 첫 문서'''다. 나무위키 자체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편집'''은 과거 본 문서의 최상단에 적혀 있었던 [[나무위키:대문]] 문서의 [[https://namu.wiki/history/%EB%82%98%EB%AC%B4%EC%9C%84%ED%82%A4:%EB%8C%80%EB%AC%B8?until=98|'''나무 위키로 바꾸자 :)''']]다. 그 후 몇몇 편집 테스트가 이루어지다가 본 문서를 시작으로 자체 문서 개설이 이루어졌다. [[https://namu.wiki/w/나무위키?rev=1|1판 보러 가기]] * 종종 폰트가 깨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할 때가 있는데, userScriptCSS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나무위키에 적용되는 폰트를 보다 가독성 좋은 글자로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쓴다면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다른 브라우저를 쓰자. * 나무위키 파일 서버 중 하나인 [[https://live.namuwikiusercontent.com]] 도메인으로 핑을 보내보면 149.56.19.207이라는 아이피가 나오는데, 이 아이피로 들어가면 [[미트스핀]]이라는 사이트로 리다이렉트된다. * 나무위키는 공식적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지원하지 않는다. [[https://board.namu.wiki/tech/20172|관련 글]] 따라서 각종 설정 기능이 익스플로러에서 먹히지 않았으나 2018년 1월 27일부터 다시 적용되기 시작했다. * 검색창의 자동완성 기능 중 초성만 입력하면 해당 초성으로 시작하는 문서의 목록이 나오는 기능이 있는데, 이에 관한 [[버그]]가 3개 있다. * 입력된 문자열로 시작하는 문서가 없으면 초성 자동완성이 적용된다. * 겹받침 글자[* ㄳ, ㅄ 등]는 이를 구성하는 각 글자로 인식되는데[* ㄳ→ㄱㅅ], ㄶ이 ㄴㅎ이 아닌 ㄹㅎ으로 인식되는 버그가 있다. * [[풀어쓰기]]가 적용된다.[* ㄴㅏㅁㅜㅇㅟㅋㅣ → 나무위키 (단 이는 ㅜㅣ를 ㅟ로 바꾸어 주지는 않는다) ] 이는 자동완성한 줄에 띄워주는 것이 아니라 '''선택하지 않고 직접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된다!'''[* 아래 사진에서 검색을 클릭하면 나무위키 문서로 들어온다는 뜻이다. [[파일:풀어쓰기.png|width=400]]] * 한동안 [[warning.or.kr]]로 막힌 음란물 사이트 이미지 파일 주소를 나무위키로 링크하면 정상적으로 이미지가 출력되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모든 쿼리가 나무위키 측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더 특이한 건 이미지 주소를 그대로 치면 워닝이 뜬다는 점이다! 물론 지금은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나무위키 내의 파일 첨부 기능을 이용해야지만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은 의미 없다. * 2017년 [[만우절|4월 1일]] 만우절 이벤트로 나무위키 테마가 온종일 리브레 위키 테마로 변경됐다. 그 이후로는 다시 기본 테마로 돌아왔다. * 언제부턴가 유명 인터넷 방송인이나 유튜버 사이에서 나무위키를 켜서 자신에 관한 문서를 보는 게 하나의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주로 디테일한 내용에 놀라면서도 잘못된 프로필이나 정보에 대해서는 정정한다. 이런 방송을 보고 나무위키를 이용하지 않던 유저들에 의해 취소선 등의 문서 훼손이 일어나기도 한다. * [[2017년]] [[12월 25일]]에는 [[크리스마스]]를 맞아 상단 바의 색이 빨간색으로 바뀌었고, 뒷배경이 마우스의 방향을 따라 눈이 내리게 됐다! [[나무위키:어두운 화면|어두운 화면]]으로 보면 더 잘 보이고, 눈이 맨 밑에 도달하면 녹아 없어진다. 스크롤을 내리면 눈도 쌓이지 않고 계속 따라온다. * 2018년 2월 4일부터 데스크톱 PC에서 IE를 사용하는 사용자 한정으로 나무위키 생성 당시 리그베다 위키에서 넘어온 문서들의 수정 내역 상단에 있던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 생성되었으며..."라는 문구가 들어간 파란 박스가 사라졌다. 아울러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들의 상단에 표시되는 파란 박스 역시 사라졌다. * [[2019년]] [[4월 1일]]에는 [[나무위키:대문]] 문서가 [[꺼무위키]]로 바뀐 [[만우절]] 이벤트가 있었다. [[https://namu.wiki/w/%ED%8C%8C%EC%9D%BC:Namuwiki_2019_Aprilfools.png|보러 가기]]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namu.wiki.browser|나무위키 전용브라우저]]라는 앱이 있고, [[사칭|개발자 이름도 namu.wiki로 되어있어서]] 공식 앱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나무위키에서는 공식적으로 나무위키 전용 앱을 만든 게 없다. 한마디로 비공식 앱이니 공식 앱으로 착각하지 말자.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당신이 기여한 내용을 CC-BY-NC-SA 2.0 KR으로 배포하고,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캡챠저장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