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vg/ League]] [[분류:THE iDOLM@STER]] [include(틀:링크시 주의, 링크=[[문서:/@/]] 또는 [[문서:/@/|/@/]])] ||<-2> '''/@/ ''' - The iDOLM@STER General[br][[후타바 안즈|If You Work, You Lose.]] || ||<-2> [[파일:900px-@_logo.png|width=320]][br] || || 팀 아이콘 ||[[파일:50px-@_icon.png]] || || 창단연월 ||2015년 5월 || || 현재순위 ||21위 (VGL 21) || || 역대최고순위 ||6위 (VGL 6, 17) || || 역대최저순위 ||52위 (VGL 15) || || 매니저 ||JntP / TheBird[* VGL 정규 해설자 중 한 명] || || 주장 ||[[노노와씨|のヮの]] || || 홈구장 ||[[도쿄 돔|Starlit Dome]] || * 상위 항목: [[문서:/vg/ League/팀 목록|/vg/ League/팀 목록]] [목차] [clearfix] == 소개 == [[문서:/vg/ League|/vg/ League]](이하 VGL)에 참가 중인 [[THE iDOLM@STER|아이돌마스터 시리즈]] 대표팀. 2015년에 시리즈 10주년을 기념하며 창설하였다. 본가,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신데]],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밀리]], [[아이돌 마스터 SideM|사엠]].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샤니]], [[학원 아이돌 마스터|학원]] 여섯 프랜차이즈에서 모두 출전한다. 홈 구장은 [[Project LUMINOUS|프로젝트 루미너스]]의 꿈이 실현된 [[도쿄 돔|스탈릿 돔]]이고, 경기장 입장 시 앤섬은 [[VOY@GER]][* 일요일 경기(한국 시각으로는 월요일 새벽 경기)일 때는 [[O-Ku-Ri-Mo-No Sunday!]]가 나오기도 한다.], 경기 승리 시 앤섬은 [[Do the IDOL!! 〜断崖絶壁チュパカブラ〜#s-2.2|추파카브라 노래 근하신년 믹스]]가 나온다. 다른 VGL 팀들보다 다양한 유니폼을 갖추고 있으며,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의상#s-2.1|데레스테 기본의상]],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의상#s-2.1.1|밀리시타 기본의상]],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의상#s-2.1.2|추파카브라 연습복]],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의상/유닛/2023년#s-2.14|스타 피스 메모리즈]], 이외에도 일반적인 축구복 상의를 입는 2종을 포함해 총 여섯 키트를 번갈아가며 입는다. == 로스터 == === 현역 === VGL 22 기준. 처음으로 학원마스 선수가 추가되었고, 2023년에는 전멸했던 사이드엠 단일 선수가 추가되었다. 굵은 글씨로 등번호와 포지션이 표기된 선수는 주전 로스터 * '''1 CF''' '''[[노노와씨|のヮの]]''' [[파일:주장 아이콘.svg|height=15]]: 주장이자 최전방 공격수. 골 혼은 홀수 번째(1,3,5...) 골은 [[https://youtu.be/QPntjTPWgKE?feature=shared|WHERE THE IDOLS AT]], 짝수 번째(2,4,6...) 골은 [[https://youtu.be/C1VL88Knido?feature=shared|Who put the bomp]] * 3 CB [[카미야 나오|Nao]] > [[요코야마 나오|Nao]] > [[오카무라 나오|Nao]]: 카미야 등에 요코야마와 오카무라가 업힌 모양 * 4 LB [[유우키 하루|Football idol on the team]]: 배드맨에 이어 중복출전 * 5 RB [[유코쿠 키리코|mochiWHAT]]: 바운시처럼 인게임 모델이 아닌 [[https://furyu-hm.com/products/fnx-5yy38pse|후류 모찌후와또]] 인형을 기반으로 나온다 * 6 CB [[하나무라 쇼마|Queen of /@/]] * '''7 CB''' [[호시이 미키|Mikibot]]: 주전 로스터에는 있으나 요즘은 실제로 주전으로 뛰지는 않는다. * '''8 DMF''' [[타나카 코토하|FAT BITCH]]: [[:파일:mill.tokyo/frame2976.jpg|볼을 부풀린 짤]]과 아이스크림을 좋아하는 취향이 합쳐져서 나온 닉네임. 양손에 아이스크림을 들고 뛰어다닌다. VGL22에선 기존 공격형 미드필더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후진했다. * '''9 SS''' [[마유즈미 후유코|UGH]]: 본가 신호등 듀오 못지 않은 골 결정력을 보여주는 스트라이커. 골 혼은 [[Hide & Attack]] * '''10 CMF''' [[시마무라 우즈키|Dookie]]: 주전 로스터에는 있으나 요즘은 실제로 주전으로 뛰지는 않는다. * 11 DMF [[아사쿠라 토오루|Mentally Chill]]: 머리 위에 YEA가 떠있다. * 12 GK [[이쿠타 하루키|Garuru]]: 요잉키 스플로잉키에 이어 중복 출전 * 13 DMF [[프로듀서(푸치마스!)|BAD MAN]]: [[유사 코즈에|4명]][[사사키 치에|이나]] [[스오 모모코|매달려]] [[유우키 하루|있어서]] 5명이서 한 선수로 뛰어다니게 된다. * 15 CB [[카자노 히오리|HioHio]]: 이전 닉네임은 [[친구비|Monthly Friendship Payment]] * 17 DMF [[아베 나나|Feeling old yet?]] * '''18 SS''' [[아케타 미코토|Bouncy Bouncy]]: 모찌왓처럼 인게임 모델이 아닌 [[https://www.gift-gift.jp/nui/nui912.html|Gift 누이구루미]] 모습으로 나온다. 골 혼은 닉네임의 유래인 [[Bouncy Girl]] * 21 GK [[시라이시 츠무기|MOOGY]]: 서브 골키퍼. 난난 표정을 짓고 있다. * '''23 GK''' [[시노사와 히로|Please eat a burger]]: VGL22 주전 골키퍼. 영어권에서도 살부터 쪄야겠다 생각하는 모양이다. * '''72 SS''' [[키사라기 치하야|72]]: 노노와와 영원히 함께 할 스트라이커 듀오. 골 혼은 첫째 골은 [[目が逢う瞬間|눈이 마추친 순간]], 둘째 골은 [[アライブファクター|얼라이브 팩터]][* 인트로가 워낙 길다 보니 치하야 골 혼이면서도 시즈카 파트를 더 많이 듣게 된다(...)], 해트트릭 달성 시엔 [[約束(아이돌 마스터)|약속]]도 준비되어 있다. * '''142 RB''' [[후지타 코토네|The people's idol]] * 149 LB [[아카기 미리아|Gen]][[이치하라 니나|ki]] [[류자키 카오루|Train]]: 셋이서 한 몸인 선수.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U149/애니메이션|U149 애니]] 1화에서 나온 모습대로 일렬로 움직인다. * '''333 LB''' [[CoMETIK|Yoinky Sploinky]]: 코메틱 셋이서 한 몸인 선수. 움직일 때마다 [[無自覚アプリオリ|게다리춤]]을 춘다. * 346 DMF [[프로듀서(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애니메이션)|TakeP]] * '''666 CB''' [[센카와 치히로|Jewhiro]]: 인종차별 드립이 난무하는 4챈이다 보니 [[유대인/편견 및 음모론|유대인처럼 돈을 탐한다면서]] 지어준 닉네임. 오랫동안 주전 골키퍼로 뛰었다가 VGL22에선 수비수로 약간 전진했다. === 비현역 === 다른 게임 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회 시즌마다 로스터 물갈이가 많이 되는 편은 아니지만 아이마스라는 IP 자체에 등장인물도 많을 뿐더러, 팀 역사도 긴 만큼 비활성화된 선수들도 많다. 아래 목록은 VGL17 이후 비활성화된 선수들이다. * [[코시미즈 사치코|Sachikong]]: 잠시나마 [[코이와이 요츠바]]를 제치고 [[4chan]]의 마스코트를 맡은 적도 있었던 만큼 로스터에서 장수했었다. VGL21을 마지막으로 은퇴 * [[에밀리 스튜어트|You will never be Japanese]]: 말버릇인 Wao! 를 닉네임으로 쓰기도 했다. * [[모치즈키 안나|Vivid mode]] * [[miroir|Sunday Twins]]: 나기는 거들 뿐이고, 실제로 뛰는 건 하야테이다. * [[타치바나 아리스|It's Tachibana]]: 태블릿을 품에 안고 뛴다. * [[오사키 텐카|Tenka the Genius]]: 유모차에 실려 아마나가 끌고 다닌다. * [[신겐 세이지|Live Seiji Reaction]] * [[타카죠 쿄지|Fucking Big Kyoji Wide]]: 닉네임 그대로 초고도비만인 모습으로 출전했다. * [[텐도 테루|Big Dick Teru]] * [[사카가미 요조|Buy My Book]]: [[https://www.idolmaster.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20568|자서전]]을 낸 적이 있어서 붙은 닉네임 * [[오쿠조라 코하쿠|Play Kohaku's Game]] * [[나나쿠사 니치카|Nichijoker]]: [[아서 플렉]]을 연상시키는 [[:파일:nichika-s-SSR4.png|조커 서폿 카드]]에서 나온 닉네임 == 특징 == ##축알못의 뇌피셜이므로 더 정확하게 수정해주실 분의 도움을 언제나 기다리고 있습니다.## 팀의 데뷔 때부터 함께한 근본 주축 노노와-72 듀오에게 공격을 전담시키지 않고 예비용 공격수들을 추가로 두면서 꾸준하게 세컨드 스트라이커(SS)를 두 명 이상 쓰며 공격적인 플레이를 시도하는 팀이다. 아직 우승은 없지만 공백기간의 전후인 VGL12와 15 때를 제외하면 그룹 스테이지는 메번 통과하는 안정적인 성적을 내고 있다. 여러 명을 한 몸으로 묶어서 출전시킨 멤버가 많아서 매 경기마다 13명 이상의 선수들이 뛰고 있다. == 주요 기록 == * '''공식전 전적: 62전 27승 11무 24패 (43.5%)''' * '''비공식전 전적: 47전 26승 21패 (55.3%)''' ===# 대회별 전개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문서:/vg/ League/팀 목록, version=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