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사운드 볼텍스 부스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수록곡]][[분류:제목이 프랑스어인 문서]] ||<:>{{{#!wiki style="font-weight:350;font-size:11pt;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HelveticaNeue, Serif, sans serif" {{{+3 [ruby(éclair,ruby=에끌레흐,color=#808080)] [ruby(au,ruby=오,color=#808080)] [ruby(chocolat,ruby=쇼콜라,color=#808080)]}}}}}}|| ||<:>'''[[에클레르#s-2|에클레르]] [[에클레르 오 쇼콜라|오 쇼콜라]]'''|| [목차] == 개요 == ||<-7> [[kamome sano]]의 KAC 과자곡 시리즈 || || '''éclair au chocolat'''[br][[KAC 2012]] || → || [[choux à la crème]][br][[KAC 2013]] || → || [[crêpe suzette]][br][[The 4th KAC]] || → || [[petits fours]][br][[The 8th KAC]] || [[BEMANI|BEMANI 시리즈]] [[사운드 볼텍스]] 의 수록곡. 작곡은 [[kamome sano]]. [[에클레르 오 쇼콜라]]라고 읽는다. kamome sano의 개인 앨범 夏の星空+beta20130812 에 롱 버전이 수록되어 있다. == [[사운드 볼텍스]] == [youtube(2-HH6FHBUn8)]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2012|KAC 2012]] 오리지널 곡 컨테스트'의 당선곡이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GRAVITY || || 자켓 ||[[파일:external/p.eagate.573.jp/s187_jk_001_0121_1.jpg|width=150]]||[[파일:external/p.eagate.573.jp/s187_jk_001_0121_1.jpg|width=150]] ||[[파일:external/p.eagate.573.jp/s187_jk_001_0121_1.jpg|width=150]] || [[파일:attachment/éclair au chocolat/3.jpg|width=150]] || || 레벨 || 03 || 09 || 13 || 17 || || 체인 수 || 0513 || 0860 || 1355[* 6볼 이전 1283] || 1869[* 6볼 이전 1745] || || 일러스트 담당 ||<-3> わたあめコモンセンス || わたあめコモンセンスQ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 博多の男 ||<-2> 逆球レジェンド || しばまる子 || || 수록 시기 ||<-3> {{{#084fc5,#3981f7 BOOTH 19(2012.11.22)}}} || {{{#e28712,#ec921d III 16(2015.04.01)}}} || || [[BPM]] ||<-4> 182 || 변경점 || 변경일 || 변경사항 || || 2013/06/05 || EXH 패턴 난이도 하락 (14 → 13) ||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The 4th KAC 당선곡 해금 순서)] [include(틀:BLASTER GATE/III 16)] 자켓의 주인공은 [[사운드 볼텍스/캐릭터#리본_와타가시|리본과 와타가시]]. === 채보 상세 === [youtube(jybBY0fg--g, width=420, height=680)] EXH 패턴 PUC 영상 [[caramel ribbon|같은 캐릭터가 등장하는 곡]]을 연상케 하는 좌우우좌 노브 발광이 특징적이다. 그래도 caramel ribbon보다는 조금 쉬운편. 이 외에도 중후반에 나오는 트릴과 계단을 주의해야 한다. 극후반의 동시치기 폭타에서 게이지가 깎일 수 있으니 주의. 그 외의 부분은 평범한 동시치기 위주의 곡. [youtube(hhqsfQ-W-ac, width=420, height=680)] GRV 패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2015년 4월 1일 다른 KAC 2012 당선곡들과 같이 GRV 패턴이 업데이트되었다. 패턴은 EXH를 강화한 듯한 모양새로, 중반부의 노브 발광은 노브의 비중이 살짝 줄어든 대신 노트의 비중이 늘어나 손이 상당히 바쁘게 움직여야 한다. 또한 메인 멜로디의 계단형 노브+원핸드 노트도 기습적으로 등장하므로 주의할 것. [[사볼 메들리]]에서의 패턴이 활용되긴 했으나 크게 특징적이지 않은 탓에 알아채기는 조금 힘들다. 과거 [[INFINITE BLASTER]]를 통해 해금할 때, 난감한 배리어 트랙이 있었다. 그 중 하나가 현 18레벨인 [[tricky trick]]이 있으며, 배리어 랭크도 1이 아니라 2였기에 꽤나 난감했다. [[Ganymede]]도 있었지만 클리어 난이도는 tricky trick보다 낮고 배리어 랭크도 1.5로 나왔다. 여담으로, 극초반부의 원핸드 BT 노트는 '''정박이 아니다'''. 채보를 자세히 보면 짝수번째의 노트가 아주 미세하게 더 늦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판정작을 할 때 제일 걸림돌이 되는 부분 중 하나이다. 이는 EXH 패턴에도 해당되는 부분. === 당선자 코멘트 === ||KAC! 14문자로 바꾸면 éclair au chocolat! -당선자 코멘트-||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4>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3> 난이도 || ||<|2> 182 || {{{#green,#7fff7f BASIC}}} || {{{#orange,#ffa500 MEDIUM}}} || {{{#red,#ff0000 HARD}}} || || {{{#green,#7fff7f 3}}} || {{{#orange,#ffa500 9}}} || {{{#red,#ff0000 12}}} || || SKILL RATE || {{{#green,#7fff7f 11}}} || {{{#orange,#ffa500 37}}} || {{{#red,#ff0000 58}}} || || 오브젝트 || {{{#green,#7fff7f 106}}} || {{{#orange,#ffa500 314}}} || {{{#red,#ff0000 534}}} || || MAX COMBO || {{{#green,#7fff7f 133}}} || {{{#orange,#ffa500 387}}} || {{{#red,#ff0000 657}}} || || JUST REFLEC || {{{#green,#7fff7f 0}}} || {{{#orange,#ffa500 12}}} || {{{#red,#ff0000 15}}} || || 수록버전 ||<-3> [[리플렉 비트 콜레트]] || ||<-4>{{{#green,#7fff7f BASIC}}} : 오브젝트 14 증가 (리플레시아)[br]{{{#orange,#ffa500 MEDIUM}}} : 오브젝트 1 증가 (리플레시아)[br]{{{#red,#ff0000 HARD}}} : 오브젝트 1 증가 (리플레시아)|| [youtube(C0vyu8fs_zs)] 하드 난이도 영상 2013년 7월 3일 [[리플렉 비트 콜레트]]와의 연동 이벤트인 [[FLOOR INFECTION]]을 통해 이식되었다. FLOOR INFECTION 2탄 레벨 1을 달성시 해금된다. 노트의 구성은 [[Castle on the Moon]]+[[Fly to Next World]]정도의 비슷한 구성. 주 처리는 롱 노트+잡 노트 처리 그리고 적절하게 내려오는 3TOP 처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