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샤먼킹의 2001년판 애니메이션 오프닝, rd1=샤먼킹(2001년 애니메이션))]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703_sv_10.jpg]] [목차] == 개요 ==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BlackY]]. BlackY의 메이저 앨범 ΑΩ에 익스텐드 버전이 수록되었다. == [[사운드 볼텍스]] == 'The 6th KAC 오리지널 악곡 컨테스트' 부문 입상(入賞)곡이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오버소울NOV.jpg|width=150]] || [[파일:오버소울ADV.jpg|width=150]] || [[파일:오버소울EXH.jpg|width=150]] || [[파일:오버소울MXM.jpg|width=150]] || || 레벨 || 06 || 13 || 16 || 18 || || 체인 수 || 0511 || 1024 || 1224 || 1650[*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까지는 1563] || || 일러스트 담당 || 極東の刺客 "忍寇" 京終始果 $ ぺぬ[* 극동의 자객 "인구(도적 닌자)" 쿄우바테 하루카] || 境界の番人 "契剣" 不律灯色 $ ぺぬ[* 경계의 파수꾼 "계검(약속한 검)" 후리츠 히이로] || "只、星の満ちる儘に集いて" $ ぺぬ[* "그저, 별이 가득 찬 채 울며"] || "――夜 襲 開 始" $ ぺぬ[* "――야 습 개 시"]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TEK-A-RHYTHM]] || || 수록 시기 ||<-4> {{{#0099ff,#0098ff IV 08(2017.03.17) }}} || || [[BPM]] ||<-4> 155 ||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The 6th KAC 당선곡 해금 순서)] === 채보 상세 === [youtube(NudPopWMzIo, width=420, height=600)] EXH 플레이 영상 [youtube(Sa20CrTCJTM, width=420, height=600)] MXM 손배치 포함 '''PUC''' 영상 155라는 사운드 볼텍스 내에선 그렇게 빠르지 않은 BPM으로 인해 체인 수가 18레벨 중에선 상당히 적은 쪽에 속한다. 때문에 니어나 에러 하나하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애매한 박자와 더불어 24비트 계단이 자주 등장하는 등 수시로 니어를 유발하는 패턴들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는 18레벨 중에서도 탑을 달리는 수준. 제목에서 따온 듯한 Ω모양의 노브가 총 4번 등장하는데[* 비비드 웨이브까지는 직각만 돌려주면 보정에 의해 둥근부분이 처리가 되었다. 단 정말 직각만 짧게 돌려줘야한다. 익시드 기어부터는 보정이 사라져 전부 돌려야 한다.] , 마지막 Ω는 바깥쪽으로 돌려줘야 하기 때문에 은근 탈선이 자주 나는 편. 이외에도 3연타 재봉틀이나 낚시 패턴, 조작하는 노브와 같은 쪽 방향의 버튼을 처리해야 하는 원핸드 등으로 인해 직접 플레이해보면 손이 상당히 정신없이 움직이게 된다. 첫 다단계 해금곡임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난해한 요소들로 인해 수많은 플레이어들이 폭사하거나 난민이 되는 경우가 잦았다. === 당선자 코멘트 === ||BlackY입니다. 감사합니다. 올해도 싸움의 계절이 왔군요. KAC 곡 콘테스트는 항상 빠르고 빠른 곡들만 만들어 왔지만 이번에는 툭하고 BPM을 떨어뜨려 보았습니다. 이것도 역시 혼(魂). 오버 소울해가도록 하죠. 정말 예쁜 그 아이도 웃어줄 터입니다.|| == [[DanceDanceRevolution]] == ||<-12>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싱글 플레이''' ||<-2> {{{#blue,#0000ff BEGINNER}}} ||<-2> {{{#orange,#ffa500 BASIC}}} ||<-2> {{{#red,#ff0000 DIFFICULT}}} ||<-2> {{{#green,#7fff7f EXPERT}}} ||<-3> {{{#purple,#ff7ffe CHALLENGE}}} || ||<-2> {{{#blue,#0000ff 3}}} ||<-2> {{{#orange,#ffa500 6}}} ||<-2> {{{#red,#ff0000 12}}} ||<-2> {{{#green,#7fff7f 15}}} ||<-3> {{{#purple,#ff7ffe 17}}} || || {{{#blue,#0000ff 132}}} || {{{#blue,#0000ff 10}}} || {{{#orange,#ffa500 216}}} || {{{#orange,#ffa500 13}}} || {{{#red,#ff0000 387}}} || {{{#red,#ff0000 19}}}|| {{{#green,#7fff7f 507}}} || {{{#green,#7fff7f 25}}} || {{{#purple,#ff7ffe 656}}} || {{{#purple,#ff7ffe 11}}} || {{{#purple,#ff7ffe 0}}} || ||<|3> '''[[더블 플레이]]''' ||<-2><|3> - ||<-2> {{{#orange,#ffa500 BASIC}}} ||<-2> {{{#red,#ff0000 DIFFICULT}}} ||<-2> {{{#green,#7fff7f EXPERT}}} ||<-3> {{{#purple,#ff7ffe CHALLENGE}}} || ||<-2> {{{#orange,#ffa500 6}}} ||<-2> {{{#red,#ff0000 12}}} ||<-2> {{{#green,#7fff7f 15}}} ||<-3> {{{#purple,#ff7ffe 17}}} || || {{{#orange,#ffa500 207}}} || {{{#orange,#ffa500 13}}} || {{{#red,#ff0000 386}}} || {{{#red,#ff0000 13}}} || {{{#green,#7fff7f 498}}} || {{{#green,#7fff7f 23}}} || {{{#purple,#ff7ffe 641}}} || {{{#purple,#ff7ffe 11}}} || {{{#purple,#ff7ffe 0}}} || || BPM ||<-11> 155 || || 아케이드 버전분류 ||<-11> [[DanceDanceRevolution A20]] || [[FLOOR INFECTION]] 38탄 1번째 해금곡으로 이식되었다. 자켓은 사볼의 MXM의 것을 사용. [youtube(BFMNxDPpFro)] ESP(좌) & DSP(우) 영상 [youtube(iOONIShZEjg)] EDP FC 영상 [youtube(jtYsOR-fDr0)] CSP PFC 영상 [youtube(cgL-duaMiJE)] CDP FC 영상 [[DDR A20 PLUS]]에서 DDR CHALLENGE Carnival PLUS 이벤트를 통해 챌린지 난이도가 추가되었다. 사볼 MXM난이도 채보처럼 중간 중간에 3연타가 등장하는데, 번갈아 밟기를 활용하지 않으면 미스가 나기 쉽다. 다만 같은 이벤트를 통해 나온 사운드 볼텍스 출신곡들의 채보들이 다 특징이 확실해[* MXM 채보의 일자 115연타를 그대로 쑤셔넣은 [[び]], 무지막지한 쇼크애로우 물량때문에 Shockstorm 소리를 듣는 [[Firestorm]], 그리고 이식곡 최초로 19레벨을 찍은 [[Lachryma《Re:Queen’M》]].] 유저들의 어그로를 끌어서 4개 채보중에서는 제일 언급이 안되는 편이다. == [[팝픈뮤직]] == ||<-5> 배너 이미지 링크 || [[BPM]] || 155 || || 곡명 ||<-6> '''ΩVERSOUL''' || || 아티스트 명의||<-6> [[BlackY]] || || 담당 캐릭터 ||<-6> Vela[br]벨라 || || 수록된 버전 ||<-6> [[팝픈뮤직 peace|pop'n music peace]] ||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3> EASY || NORMAL || HYPER || EX || || 50단계 ||<-3> 15 || 30 || 43 || 49 || || 노트 수 ||<-3> -(?) || 602(?) || 1089(?) || 1555(?) || [youtube(OFXcwcegtbA)] EX 영상 2020년 9월 16일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로 이식되었다. 이식곡 최초의 짠게이지로, 게이지 특성상 체감 난이도는 49 중급 수준. 49레벨 짠게곡중에는 그래도 쉬운 편이다. 마지막 후살 부분이 혹평이 좀 있긴 하지만,[* 사볼에서는 24비트 계단이었던 곳이 팝픈에서는 32비트로 나온다. 이는 초반의 유사구간이나, 하위 난이도 채보에서도 32비트로 나오기에 일부러 그런건 아닐 수 있다.] 다른 이식곡과 달리 짠게이지기 때문에 연주감이 떨어지는 구간이 전혀 없어 채보의 평가가 꽤 좋다. [* 이전의 이식곡인 [[Lachryma《Re:Queen’M》]]가 짠게이지 기준점인 1536노트 이하로 억지로 채보를 짜 쓰레기 패턴이 만들어진만큼 이에 대한 비판이 반영되었을수도 있다.] 여담으로 사볼 곡이 이식될 때마다 항상 담당 캐릭터가 레이시스 아니면 구미[* [[GUMI 5th Anniversary party Presented by BEMANI]]의 일환으로 개최된 12탄 한정]가 담당했지만 이 곡 담당 캐릭터는 벨라가 맡으면서 최초로 레이시스,구미가 담당 캐릭터가 아닌 곡이 되었다. [[분류: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 A20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peace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