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노)] ||<-2><#182842> '''{{{#fff {{{+1 무제}}}[br] 가칭 Кино(키노) / Чёрный альбом(검은 앨범)}}}'''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검은앨범.png|width=100%]]}}} || || '''발매일''' ||[[1991년]] [[1월 12일]]|| || '''녹음 기간''' ||[[1990년]] [[7월]] ~ [[10월]]|| || '''장르''' ||[[뉴웨이브]], [[얼터너티브 록]], [[포스트 펑크]], 러시안 록, [[인디 록]], [[쟁글 팝]] || || '''재생 시간''' ||42:27|| || '''곡 수''' ||8곡|| || '''프로듀서''' ||유리 아이젠시피스 || || '''레이블''' ||Метадиджитал(매탈디지털)|| [목차][clearfix] == 개요 == || [youtube(ooU9H_HZQIk, width=450,height=315)] || [youtube(Sk0mt-jbiIs, width=450,height=315)] || || 2021년 maschina records 재발매판 || 데모 버전 || '''Кино(키노)''' 또는 '''Чёрный альбом(검은 앨범)'''는 소련의 록그룹 키노의 7번째 정규 앨범이자 마지막 정규 앨범이며 [[빅토르 초이]]의 유작이기도 하다. == 제작 및 발매 == ||[[파일:빅토르 초이 플리엔치엠스.jpg|width=100%]]||[[파일:플리엔치엠스 다챠 게스트룸.jpg|width=100%]]|| || 플리엔치엠스 해변에서 휴가를 즐기는 빅토르 초이 || 데모 녹음이 진행된 카스파랸의 게스트룸 || 1990년 5월, [[키노(밴드)|키노]]의 맴버들은 소련 각지를 순회하는 대규모 투어에 나섰고, 6월 24일에 열린 [[모스크바]] [[루즈니키 스타디움]] 콘서트를 끝으로 여름 투어를 마무리 지었다. 이때 키노의 인기는 절정에 다다랐으나 맴버들은 점점 커지는 인기와 잦은 공연으로 인해 큰 피로감을 느꼈다. [[빅토르 초이]]는 지난 3년 동안의 여름들처럼 연인 나탈리야 라즈글로바와 함께 [[라트비아]]의 작은 휴양지 플리엔치엠스(Plieņciems)[* 이곳은 초이를 아는 사람이 없었기에 팬들의 과도한 관심에 지친 초이가 몇 안되게 편하고 조용히 지낼 수 있는 장소였다. ] 휴가를 보내기로 했다. 6월 22일, 초이는 운전면허를 취득하고 투어에서 번 돈으로 [[자동차]]를 구매했다. 얼마 뒤 초이는 플리엔치엠스로 향하기 시작했다. [[리가]]의 한 교차로에서 초이는 작은 [[교통사고]]를 당했으나, 그리 큰 사고는 아니였기에 초이는 이 일은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플리엔치엠스에 도착한 후, 초이와 라즈글로바는 지난 여름 휴가 때도 머무른 젤티니(Zeltini)라는 [[다챠]]에 정착했다. 초이는 차와 담배를 즐기고, [[배드민턴]]을 치고, 낚시를 하고, 해변에서 [[모래성]] 쌓고, [[버섯]] 따고, 낚시를 하며 휴가를 즐겼다. 7월 중순, 유리 카스파랸이 Yamaha MT-44 포르타 스튜디오[* 조안나 스팅레이에게 제공받은 것으로 [[혈액형(키노)|혈액형]]과 [[Звезда по имени Солнце|태양이라는 이름의 별]] 데모, 마지막 영웅을 녹음할 때도 사용했다.]를 비롯한 녹음 장비들을 가지고 뒤따라 초이가 머물던 다챠에 도착했다. 본래 초이는 가을에 전문 스튜디오에서 새 앨범 녹음하고 마지막 [[프랑스 파리]]에서 믹싱할 계획이었지만, 추후 작업을 순조롭게 진행하기 위할 초안을 제작하기로 했다. 초이와 카스파랸은 카스파랸이 머물던 게스트룸에서 새 앨범에 수록할 7곡의 데모를 녹음했다. 카스파랸의 회고에 따르면 초이는 보컬과 리듬 기타를, 카스파랸은 리드 기타 파트와 베이스 및 드럼을 프로그래밍 녹음했다고 한다. 8월 12일, 데모 작업을 마무리 지었다. 13일에 카스파랸은 [[레닌그라드]]로 돌아갔고, 빅토르 초이는 좀 더 휴식을 취하기로 했다. 8월 15일 새벽 5시, 초이는 자신의 자가용을 몰고 다챠에서 몇 킬로미터 떨어진 어느 작은 호수로 [[낚시]]를 하러 갔다. 오전 11시경, 초이는 낚시를 마친 뒤 집으로 돌아가던 길이었다. 라트비아 [[투쿰스]] 북쪽 도로에서 버스([[이카루스(자동차 제조사)|이카루스 250]])와 충돌하였다. 초이는 그 자리에서 즉사하고 말았다. 자세한 내용은 [[빅토르 초이 의문사 사건]] 참고. 초이 사후, 남은 키노 멤버들은 라트비아에서 녹음된 데모 테이프를 바탕으로 앨범을 완성하기로 결정했다. 멤버들은 9월부터 11월까지, 약 두 달 정도 [[모스크바]] 비데오필름(Видеофильм) 스튜디오에서 앨범을 녹음했다. 녹음 당시 멤버들은 초이의 보컬과 리듬 기타 녹음본을 최대한 보존한다는 전제조건하에, 멤버들은 곡들을 편곡하고 키보드, 드럼, 기타 파트를 녹음하며 고품질의 앨범을 만드는 것에 집중했다. == 제목 및 앨범 커버 == 공식적인 제목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래 앨범 제목을 정하는 것은 [[빅토르 초이]]의 몫이었는데 이걸 정하기도 전에 사망했기 때문이다. 키노 맴버들은 이 앨범을 부른다면 КИНО(키노)라고 부르기로 정했으나, 밴드 명칭와 혼동할 여지가 있기에 보통은 검은 표지에서 이름을 따와 Чёрный альбом(검은 앨범)이라고 불린다. == 평가 == [include(틀:RYM, type=album, code=/кино/кино-чёрный-альбом/, 점수=3.79)] [include(틀:AOTY, code=134433--kino-.php/, user=82)] == 트랙리스트 == === Кончится лето (여름이 끝나간다) === [youtube(iOvYGQtFBNM)] === Красно-жёлтые дни (빨갛고 노랬던 나날) === [youtube(1YQE7_56GdU)] === Нам с тобой (너와 나) === [youtube(XXBNC3QwJQc)] === Звезда (별) === [youtube(RLgBi6N7JOw)] === Кукушка (뻐꾸기) === [youtube(iXk8QXhr7Fk)] === Когда твоя девушка больна (네 여자친구가 아플 때) === [youtube(X1TyisQ1bNk)] === Муравейник (개미집) === [youtube(6R55hCfHT_k)] ||(1절) {{{+3 '''Начинается новый день''' }}} 새 하루가 시작됐어 {{{+3 '''И машины туда-сюда''' }}} 자동차들이 이리저리 움직이고 있어 {{{+3 '''Раз уж солнцу вставать не лень''' }}} 해가 게으름 피워 늦게 뜨지만 않는다면 {{{+3 '''И для нас, значит, ерунда''' }}} 우리에겐 큰 문제가 아니야 {{{+3 '''Муравейник живёт''' }}} 개미집은 계속 살아가 {{{+3 '''Кто-то лапку сломал — не в счёт''' }}} 누군가의 다리가 부러졌지만 그건 별로 중요한 일은 아니야 {{{+3 '''А до свадьбы заживёт''' }}} 시간이 지나면 곧 나을 거니까 {{{+3 '''А помрёт, так помрёт''' }}} 하지만 죽는다면 뭐 그냥 죽는거지 (후렴) {{{+3 '''Я не люблю, когда мне врут''' }}} 난 누군가가 나에게 거짓말하는게 싫지만 {{{+3 '''Но от правды я тоже устал''' }}} 진실만 듣는 것도 이젠 지쳤어 {{{+3 '''Я пытался найти приют''' }}} 난 숨을 곳을 찾아 봤지만 {{{+3 '''Говорят, что плохо искал''' }}} 모두들 잘 찾아보지 못 한다고 말해 {{{+3 '''И я не знаю, каков процент''' }}} 난 모르겠어, 얼마나 많은 {{{+3 '''Сумасшедших на данный час''' }}} 사람들이 지금 미쳐버렸지 말야 {{{+3 '''Но если верить глазам и ушам''' }}} 하지만 내 눈과 귀를 믿어 본다면 {{{+3 '''Больше в несколько раз''' }}} 몇 배는 더 많이들 미쳐버린거겠지 (2절) {{{+3 '''И мы могли бы вести войну''' }}} 우리는 전쟁을 시작할 수 있어 {{{+3 '''Против тех, кто против нас''' }}} 우리와 맞서는 사람들에 대하여 {{{+3 '''Так как те, кто против тех, кто против нас''' }}} 우리와 맞서는 사람들과 맞서는 사람들은 {{{+3 '''Не справляются с ними без нас''' }}} 우리들 없이는 그들과 맞설 수 없으니까 {{{+3 '''Наше будущее — туман''' }}} 우리의 미래는 안개와 같고 {{{+3 '''В нашем прошлом то ад, то рай''' }}} 우리의 과거는 지옥 이거나 천국이겠지 {{{+3 '''Наши деньги не лезут в карман''' }}} 우리 돈은 주머니 속에 들어오지 않아 {{{+3 '''Вот и утро, вставай''' }}} 이제 아침이야, 일어나 (후렴) {{{+3 '''Я не люблю, когда мне врут''' }}} 난 누군가가 나에게 거짓말하는게 싫지만 {{{+3 '''Но от правды я тоже устал''' }}} 진실만 듣는 것도 이젠 지쳤어 {{{+3 '''Я пытался найти приют''' }}} 난 숨을 곳을 찾아 봤지만 {{{+3 '''Говорят, что плохо искал''' }}} 모두들 잘 찾아보지 못 한다고 말해 {{{+3 '''И я не знаю, каков процент''' }}} 난 모르겠어, 얼마나 많은 {{{+3 '''Сумасшедших на данный час''' }}} 사람들이 지금 미쳐버렸지 말야 {{{+3 '''Но если верить глазам и ушам''' }}} 하지만 내 눈과 귀를 믿어 본다면 {{{+3 '''Больше в несколько раз''' }}} 몇 배는 더 많이들 미쳐버린거겠지 || === Следи за собой (몸 조심해) === [youtube(4sbnQ7qpmkI)] === 1996년 Moroz Records 재발매판 보너스 트랙 === == 참여인원 == [[분류:제목이 러시아어인 문서]][[분류:러시아의 음반]][[분류:1991년 음반]][[분류:록 음반]][[분류:키노(밴드)]]